ㅇ 반드시 정확한 닉네임을 사용해야 합니다. ㅇ 위의 글제목에는 시청한 프로그램의 이름을 기입해야 합니다. ㅇ 시청한 시각, 프로그램 내용 12줄 이상, 느낀점 12줄 이상을 작성해야 합니다(글자크기 14pt). ㅇ 줄바꿈(Enter키 입력)을 하지 않습니다. ㅇ 다른 친구의 글을 복제하면 안됩니다. 발각되면 모든 것이 무효화됩니다. ㅇ 주당 1편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2편 이상 작성하여도 1편만 인정됩니다. ㅇ 꾸준히 작성하여 8편 이상을 기록한 경우 수행평가에 점수(20점)를 부여 받을 수 있습니다. ㅇ 전입생의 경우 학교생활 개월수에 따라 만점 기준이 달라지므로 불리함이 없습니다. |
시청시각 : 7:00~7:10
내용(12줄 이상) : 송전탑은 고압 전선을 설치하기 위해서 높이 세운 철탑으로, 주로 산 위에 설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커다란 철탑을 산 위에 어떻게 설치했을까? 이런 커다란 철탑을 산 위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진입로를 통해서 화물차에 시공 자재를 싣고 산 위까지 운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관 훼손이나 차량 전복 등의 사고, 산사태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서 규제가 많은 방법으로 쉽게 할 수 없다. 두 번째는 삭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삭도는 공중에 로프를 가설하고 여기에 운반기구를 걸어서 동력 또는 운반 기구의 자체 무게를 이용해 운전하는 장치로, 이해하기 쉽게 케이블카를 떠올리면 된다. 산림훼손이 첫번재 방법보다 적고 진입로의 길이가 길 때는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세 번째는 헬리콥터를 이용해 자재를 싣고 옮기는 방법이다.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방법으로 자재를 운반할 수 없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하는데 단순하고, 빠르고, 산림훼손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송전탑의 종류에는 765kV, 345kV, 154kV가 있다. 송전탑을 지을 대 가장 먼저 시작하는 작업은 기초 공사로 송전탑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는 작업을 말한다. 철탑을 완공 후에는 연선과 긴선 작업을 한다. 연선은 메신저 와이어를 송전 구간에 늘여놓고 연선구간의 한 쪽에는 드럼장을 설치하고 반대쪽 끝에는 엔진장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메신저 와이어 끝에 전선을 연결하면 엔진이 와이어를 끌어당긴다. 그러면 전선드럼에서는 송전선을 내보내고 송전선이 송전 구간에 놓인다. 긴선은 연선된 전선을 적정 이도로 맞추는 작업을 말한다. 이도는 전선이 처진 정도로 바람이 강하게 불 때 끊어지지 않게 하려면 약간 쳐지게 설계해야 한다. 전선을 송전탑에 설치된 블록 위로 와이어를 올린 다음에 애자(절연 구조물)에 연결하면 끝이다.
느낀점(12줄 이상) : 평소에 자동차를 타고 놀러갈 때나 장거리 이동을 할 때 산 위에 설치된 송전탑들을 보고 산 위에 저 높은 송전탑들을 어떻게 올렸는지 궁금했을 때가 많았다. 내가 지금까지 본 송전탑들은 주로 산 위나 넓은 들판 같은 곳에 세워져 있었다. 들판은 그렇다 쳐도 산 위에 설치되어 있는 송전탑들을 보면 정말 신기하다. 송전탑의 높이도 있지만 산의 높이도 있기 때문에 설치하는 데 상당히 애를 먹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나는 처음에 송전탑을 통째로 헬기로 들어올려서 옮기는 것인 줄 알았다. 송전탑을 높은 산 위에 어떻게 설치하는지 몰랐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 송전탑을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게 되었다. 이 영상에서 가장 신기했던 송전탑 설치 방법은 두 번째 방법이다. 고작 송전탑 하나 설치하겠다고 케이블카 같은 구조물을 만든다는 게 신기했다. 송전탑 하나 설치한다고 그렇게 삭도라는 케이블카 같은 구조물을 만드는 게 정말 효율적인 방법인지 궁금했다. 가설한 삭도가 과연 송전탑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을지도 의문이었다. 송전탑을 보면 전선 쪽에 항상 달려있는 고리가 여러개 합쳐져 있는 듯한 구조물의 역할이 뭔지 궁금했었는데 알게 되어서 좋았다. 애자를 청소할 때 전기공급을 끊으면 많은 사람이 전기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는 상태로 청소를해서 감전사하시는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우리의 편의를 위해서 위험을 무릅쓰고 일을 하시는 이런 분들이 정말 존경스러웠다. 또한 송전탑에 보면 전선에 농구공 같이 동그란 구조물들이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들의 이름과 역할이 궁금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