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파랑길 12코스 : 창원 암아교차로 - 고성 배둔시외버스터미널
일시 : 2021년 9월25일 토요일
가는길 : 네비게이션에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배둔시외버스터미널을 쳐서 찾아감.
산행코스 : 창원 암아교차로 - 창포항 - 동진교 입구 - 소포항 - 시락항 - 생태터널(창원, 고성경계) - 어선마을 갈림길 - 노벨컨트리클럽 입구 - 한산마리나 리조트 - 당항포관광지 - 당항포둘레길 - 배둔천 - 배둔2교 - 고성 배둔시외버스터미널.
교통 :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배둔시외버스터미널 주변에 차량주차. 배둔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택시를 타고 창원 암아교차로로 이동함(택시비18,000원)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CU편의점이 있는 암아교차로에서 남파랑길 12코스를 시작합니다.
남파랑길 12코스는 창원 진전면에서 경남 고성군으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고성의 대표 관광자원인 "경남고성 공룡세계엑스포" 행사장인 당항포관광지를 경유하는 코스입니다.
암아교차로에서 한국의 아름다운길1.1km 방향의 해안도로를 따라 남해바다로 흘러가는 진전천 이창교를 건너면 창원 진전면 근곡리 벌판은 황금벌판을 이루고 있습니다.
암아교차로 : 창원11코스 시점까지16km - 종점까지9.9km, 광암해수욕장9.3km - 한국의 아름다운길1.1km
이창교를 건넌 걸음은 왼쪽의 창원 진천면 근곡리 황금벌판과 남해바다를 바라보며 한국의 아름다운길 시작점으로 해안도로를 따라 이어갑니다.
이어진 걸음이 작은 "장좌교"에 이르면 한국의 아름다운길 빨간 이정표가 한국의 아름다운길 시작점임을 알려줍니다.
2006년 국토해양부에서 한국의 아름다운길 100선에 선정된 창원시 진전면 이명리에서 동진교 건너 경남 고성군 동해면 양촌리까지 총 연장9.5km입니다.
한국의 아름다운길 시작점인 장좌교에서 남해바다 창포만 너머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율티마을 쪽을 봅니다.
한국의 아름다운길 시작점 : 시점까지1.1km, 광암해수욕장10.4km - 고성 종점까지17.1km, 동진교3.4km
창원 남해바다 창포만을 바라보면서 가는 한국의 아름다운길은 벽화로서 멋을 낸 아름다운 방파제 축대를 따라 이어집니다.
이어진 한국의 아름다운길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이명리 작은 방파제를 지납니다.
한국의 아름다운길 해안도로를 따른 걸음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창포리, 공기좋은 내 고향 창포마을로 들어갑니다.
충효의 마을이기도 한 창원 창포마을 입구에는 300년 약수터가 있는 서피랑 쉼터가 있습니다.
창포마을 입구에서 시원스레 펼쳐지는 창포만 뒤로 걸음을 출발한 창원 암아교차로 쪽을 봅니다.
창포마을을 지나는 걸음은 작은 어선들이 정박한 창포항을 지납니다. 창포항 뒤로 창원의 산들이 펼쳐집니다.
창포항을 지난 걸음은 창포버스정류장을 지나며 지나온 창포항과 검푸른 남해바다 창포만을 봅니다.
창포버스정류장을 지나면 해안도로는 남해바다 창포만 전망이 좋은 언덕위의 숙박시설들을 보면서 낮은 도로고개를 넘어갑니다.
낮은 도로고개를 넘으면 남해바다 창포만은 넓은 진동만으로 이어지고 바다 너머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입니다.
도로고개를 넘으면 한국의 아름다운길 갈림길인 동진교가 나무사이로 보입니다. 동진교는 경남 고성군 동해면을 지나 통영으로 가는 길목입니다.
동진교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창포리와 경남 고성군 동해면을 잇는 대교로 동해면의 "동"자와 진전면의 "진"자를 합하여 동진교라 불린답니다.
동진교 입구를 지나 남해바다 창포만을 가르는 한국의 아름다운길인 총연장 390m의 동진교를 봅니다.
동진교 입구 : 시점까지3.7km, 광암해수욕장13.8km - 고성 종점까지14.5km, 배둔리, 당항포국민관광단지 - 통영, 동해
동진교 입구를 지나 내려서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리, 작은 소포항을 지납니다.
작은 소포항을 지나면 좁은 협곡같은 창포만이 이어지며 아랫소포 마을을 지납니다.
이어진 해안도로는 시락리 쉼터가 있는 작은 아랫소포항을 지납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리 마을 앞 바다에는 바다낚시 겸용 시락어촌계 해상펜션(055-271-0700) 3동이 창포만 위에 떠 있습니다.
시락어촌계 해상펜션이 떠 있는 창포만 너머는 경남 고성군 동해면으로 고성 노인산(272.4m) 자락에는 놀터캠핑장(010-8844-1359)이 성업중에 있습니다.
이어진 걸음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리, 시락교를 건너며 지나온 아름다운 시락항을 봅니다.
시락교 : 시점까지7.7km, 광암해수욕장16.8km - 고성 종점까지10.5km
시락교를 지나 막개버스정류장으로 향하며 뒤돌아 지나온 남해바다 창포만을 봅니다.
남파랑길은 "남쪽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길"이라는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전남 해남 땅끝탑까지 남해안을 따라 연결된 총 90개 코스 1470km의 걷기 여행길입니다.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어지는 막개 해안을 지나면 넓어진 창포만 너머로 경남 고성 동해면의 고성 구절산(564.6m)이 펼쳐집니다.
이어진 해안선이 정곡마을 버스정류장을 지나면 정곡마을을 바라보며 도로고개를 넘어갑니다.
히든비치 리조트 입구인 도로고개는 창원 자연한방병원 간판이 먼저 눈에 들어오고 자세히 살펴보면 남파랑길 12코스 안내판이 있습니다.
정곡마을 입구 이기도 한 도로고개를 지나면 바로 생태터널이 있는데,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과 경남 고성군 회화면의 경계 고개입니다.
창원시와 경남 고성군의 경계 고개인 생태터널을 내려서면 왼쪽으로 멀리 고성 당항포관광지가 조망됩니다.
창원시 - 경남 고성 경계 생태터널을 내려서면 모시꽃 예술체험학교와 공룡발자국 화석 갈림길인 어선마을 사거리입니다.
어선마을 사거리 : 시점까지11km - 종점까지9km, 당항포관광지3.6km, 회우랑길4.1km - 모시꽃 예술체험학교1km
어선마을 사거리에서 모시꽃 예술체험학교(010-9635-2717)가 있는 경남 고성 어선마을 쪽을 봅니다.
경남 고성 어선마을은 면 소재지(배둔)에서 약6km 떨어진 동쪽에 위치하여 창원시 진전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은 당항만을 경계로 동해면과 접하고 있어 오지마을로 마을의 농경지는 경지정리가 되어 있으나 수리시설이 불안전한 지대랍니다.
경남 고성 어선마을 앞을 지나면 어선 모양의 주택이 지나는 길손들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경남 고성 어선마을을 지난 걸음은 어느새 해안선이 아름다운 노벨컨트리클럽 골프장 입구를 지나 지나온 해안선을 봅니다.
노벨컨트리클럽 입구 : 시점까지12km - 종점까지8km, 당항포관광지2.2km, 당항포횟집단지3km, 배둔시내5km - 동촌마을0.1km
노밸컨트리클럽 골프장 입구를 지난 해안선이 한산마리나 리조트 메리모나크 요트클럽 계류장에 이르니 소나기가 몰려옵니다.
한산마리나 리조트 고성점(055-673-7997)을 지난 동촌마을 버스정류장에서 잠시 소나기를 피해 쉬어갑니다.
이어진 길은 제법 긴 고성군 해양레저스포츠학교(055-673-5080) 울타리를 지나 당항포관광지에 이르니 임시휴장 안내로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현재 당항포관광지는 2021년 10월1일 ~ 11월7일까지 열리는 "경남고성 공룡세계엑스포" 축제 준비가 한창이였습니다.
당항포관광지를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을 안은 걸음은 오션포레글램핑과 경상남도교육청 종합복지관 입구를 지나 당항만 둘레길에 이릅니다.
당항만 둘레길은 임진왜란 당시 왜선 57척을 격파시키고 승전고를 울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해전지인 당항포에 멸사봉공의 뜻을 기리고자 조성되었습니다.
당항포 둘레길은 해안도로를 따라 바다위로 제법 긴 해상데크길로 조성되어 당항항으로 향합니다.
당항만 둘레길을 걸으며 뒤돌아 당항포관광지 안에 있는 충무공 전승기념탑을 봅니다.
경남고성 공룡세계엑스포 주 행사장이기도 한 당항포관광지에는 당항포해전관, 자연사박물관, 자연예술원, 가족휴양시설 등을 골고루 갖추고 있습니다.
당항만 둘레길을 따른 걸음은 저 멀리 고성 거류산(571m)과 마동호 방조재 마동교가 보이는 당항항을 지납니다.
경남 고성 당항항을 지난 당항만 둘레길은 당항포횟집단지를 지납니다.
잔잔한 호수같은 당항만에 해상데크와 야간조명을 설치하여 둘레길을 조성하였으며 둘레길을 따라 가다보면 당항만을 가로지르는 거북선 형상의 해상보도교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당항만 둘레길을 걸으며 잔잔한 호수같은 당항만 너머 경남 고성 거류산(571m)과 마동호 방조재 마동교를 봅니다.
이어진 당항만 둘레길은 바다위를 가르는 고가다리 형태의 해상보도교 위 쉼터를 지납니다.
지나온 고가다리 형태의 해상보도교를 봅니다. 해상보도교 뒤로는 고성 구절산(564.6m)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해상보도교를 지나 시그널을 따른 걸음은 바닷가 배둔2교를 건너 배둔천을 따라 마을쪽 배둔2교로 올라갑니다.
바닷가 배둔2교 : 배둔시외버스터미널1.3km - 당항포관광지2.7km
바닷가 배둔2교에서 당항만을 봅니다. 고가다리 형태의 해상보도교와 고성 구절산(564.6m), 마동호 방조재 마동교가 펼쳐집니다.
바닷가 배둔2교를 건너 배둔천을 따른 걸음은 황금벌판의 "마구들" 뒤로 오늘 걸음의 종점인 배둔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를 봅니다.
더 넓고 풍요로운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마구들은 일제시대 간척사업으로 만들어진 농경지로 이제는 기름진 옥토가 되었답니다.
배둔천을 따른 걸음은 마을쪽 배둔2교로 올라와 도로길을 따라 배둔시외버스터미널에서 약5시간30분의 걸음을 마칩니다.
마을쪽 배둔2교 : 배둔시외버스터미널0.7km - 당항포관광지3.4km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배둔시외버스터미널 앞에는 공룡나라 고성을 알리는 아치형 공룡조형물이 경남고성 공룡세계엑스포 축제를 홍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