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겨울바다가 그리워 경기도 화성시 서해바다 제부도에서
영하의 날씨 바다바람을 맞으며 일몰도 보고 왔습니다~^^*

간조시간을 맞춰 바닷길이 열려 모세의 기적을 본듯 합니다^^*



해안선 따라 산책로가 있어 확트인 바다를 맘껏 느낄수 있어 좋아요^^

해수욕장 해안선에 매바위는 영화촬영 장소로 연인이 촬영하기 좋은곳


어촌계에서 갯펄체험 프로그램을 하고있어 가족단위로 많은 이용^^


서울에서 가까운 제부도는 바지락칼국수와 조개구이로 유명하답니다


가브리, 백합, 홍합등 싱싱한 조개구이를 시키면 무한리필 된답니다


해변가 산책로에서 바라본 새해 일몰전경^^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조그만 섬 제부도에 있는 보건소와 소방서가 친근감을 더하네요^^*


석양빛을 바라보며 서울로 향하며 바닷길과 섬마을 풍경을 한컷^^





오후5시30분에 물이 들어와 저녁 8시30분 되어야 다시 물길이 열려요

모세의 바닷길이 막히기 전에 서둘러 육지로 향했습니다~ㅎ




섬 초입에 있는 관문 매표소를 보고서야 안심^^~~ㅋㅋ

제부도의 향기를 되세기고자 차를 세워 섬을 향하여 촬영^^~ㅎㅎㅎ





섬 매표소 초입에도 조개구이집이 많아요^^ 해수탕도 있어요^^*

3번에 걸쳐 특수여과한 해수는 각종 피부질환과 노인성 질환에 좋으며
그리고 해수김치와 초당두부와 음용도 할 수 있다하네요^^




해수온천을 하고 나오니 조개구이, 횟집간판이 유혹합니다~ㅎㅎㅎ

귀경길 도로변 생산지에서 판매하는 호박 군고구마를 시식후 매입
했는데 서울 보다 많이 저렴하더군요~^^*

호박고구마는 밭에서 캔뒤 3일간 말리고, 비닐하우스에서 섭씨 30도
정도로 10일간 숙성하면 당도가 더욱 높아지며 보관을 오래할 수 있다

제부도 [濟扶島]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에 속한 섬으로 송교리 해안에서 서쪽으로 약 2km 떨어져 있다. 대부도·선감도·탄도·불도 등이 북쪽에 있다. 섬 중앙에 62m의 구릉이 솟아 있고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평지로 서쪽과 북쪽에는 농경지가 분포한다. 섬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며, 남서쪽 해안 끝부분이 제비 꼬리처럼 뻗어 있다. 해안선의 드나듦이 비교적 단조로우며, 간석지가 넓게 발달했다. 특히 썰물 때는 화성시 서신면 송교리 간에 놓여진 제방이 드러나, 이곳을 통해 버스가 왕래한다. 기후는 대체로 한서의 차가 크며,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주민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한다. 농산물로는 쌀·보리·콩·고구마·땅콩·마늘 등이 생산되며, 연근해에서는 장어·농어·숭어 등이 잡히고, 굴·김 등의 양식이 활발하다. 취락은 동쪽 해안가의 도로변에 분포해 있다. 섬의 서쪽에 있는 제부도해수욕장은 여름철 피서지로 널리 알려져 이용객이 많다. 면적 0.98㎢, 해안선 길이 12km, 인구 668, 가구 339(2006).

|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위치한 0.98㎢의 작은섬입니다.
모세의 기적으로도 잘알려져 있으며 간조때마다 차량통행이 가능합니다.
바닷길 통행시간
미리 알고 떠나자!
모른다면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 |
제부도마을 현황
제부도마을주민-------약600명
농어업종사자------ 400명
상업 -------- 200명
제부초등학교
인원---------49명
교사---------4명 |

|
바닷길은 1969년도에 주민들이 돌을놓아 건너기 시작했고,그전에는 배나 갯펄을 걸어서 건너다녔습니다.
1988년 1차선으로 시멘트 포장이 되었습니다.
현재 바닷길 길이 2.3km
2차선 시멘트 도로 |
바다길 통행시간
바닷길통행시간을 모른다면
많은 시간을 기다 려야 할지
모른릅니다.
꼭 학인하세요. |

|
|
|

서해안 고속도로의 개통과 함께 국도도 대부분 정비되어 마치 고속도로 같은 국도가 쭉쭉 뻗어 있지요. 동서울에서도 약 1시간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고 수원 기점으로는 국도만으로 오셔도 1시간 정도입니다.
제부도 오시는 길-경기 화성
자동차
전에 제부도를 가보셨던 분들이라면 한 여름 뙤약볕에 막히는 교통체증으로 적잖이 짜증을 내셨던 경험도 있을 테지요.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다르답니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개통과 함께 국도도 대부분 정비되어 마치 고속도로 같은 국도가 쭉쭉 뻗어 있지요. 동서울에서도 약 1시간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고 수원 기점으로는 국도만으로 오셔도 1시간 정도. |
※ 고속도로 이용
① 서울 → 안양 대림대학교 지나 안양유원지 못 미처 있는 서해안 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 진입로 →진입로 지나 곧 오른쪽으로 빠지면 서해안 고속도로로 들어 설 수 있음 → 비봉IC(여기부터는 지방도로)를 나와 우회전 → 남양(306번 국도) → 마도 → 송산, 사강에서 309번 도로로 진입 → 궁전회관 앞 갈림길에서 우회전, 5km가량 더 가면 제부도 물길 입구
② 동수원IC, 북수원, 부곡 → 반월IC를 지나 당진방면으로 표시되어있는 서해안고속도로로 들어선다 → 비봉IC(여기부터는 국도)를 나와 우회전 → 남양(306번 국도) → 마도 → 송산, 사강에서 309번 지방도로로 진입 → 궁전회관 앞 갈림길에서 우회전, 5km가량 더 가면 제부도 물길 입구
③ 인천 → 수원, 안산선을 타고 서창분기점, 월곳IC → 군자매표소(요금 1,400원)→ 서안산IC를 지나 안산 분기점에서 서평택방면 서해안고속도로로 집입하여 매송IC → 비봉IC(여기부터는 지방도로)를 나와 우회전 → 남양(306번 국도) → 마도 → 송산, 사강에서 309번 도로로 진입 → 궁전회관 앞 갈림길에서 우회전, 5km가량 더 가면 제부도 물길 입구
※ 비봉IC 진출로는 다른 IC진출로보다 훨씬 길이가 짧으므로 매송IC를 지나서는 우측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서행하시기 바랍니다. (매송IC에서 약 2Km 거리임)
※ 사강을 지나 서신으로 오게되면 "제부도"와 "제부도 . 대부도"로 가는 두갈래 길이(지방도 309번) 있는데 어느 길로 와도 상관이 없습니다.
※ 국도 이용
① 서울 → 과천 → 신군포사거리 →군포시내 → 반월행47번국도 → 반월 → 39번국도(8.5km) → 비봉 사거리(306번지방도/16km) → 송산, 사강리(309번 지방도로) → 서신 → 송교리행(5km) → 제부도 입구(2.3km) → 제부도
② 수원역 앞 역전로 → 오산쪽으로 500m → 지하도를 타게되고 지하도에서 우회전 → 발안쪽으로 빠지는 43번 지방도로(5km) → 오목천삼거리에서 남양쪽으로 향하는 오른쪽길 306번 지방도로(1차로) → 화성군 송산면(22.3km) → 서신쪽으로 연결되는 309번 지방도로(1.7km)
③ 인천 → 수인산업도로 → 시화신도시(정왕동) → 시화방조제 → 대부도 → 서신(광평리에서 우회전) → 제부도
◆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 제부도로 오시기 위해서는 수원역, 금정역까지 먼저 오셔야 합니다.
(1) 서신까지 또는 제부도 입구까지 가는 방법
① 수원역 수원역(애경백화점) 앞 버스정류소에서 아래의 버스를 타십시오.
▼ 400-1, 999번 좌석버스 승차 →서신(종점) 하차 (소요시간 50분~1시간) → 택시 또는 마을버스를 이용 제부도 안까지 이동
▼ 490번 좌석버스 승차 → 제부도입구(종점) 하차 (소요시간: 1시간5분~1시간15분) → 마을버스 또는 도보로 제부도 안까지 이동
※배차시간 수원역 > 서신 ... 04:50 ~ 00:30 ... 10분 간격으로 운행 서신 > 수원역 ... 05:00 ~ 23:30 ... 10분 간격으로 운행
② 금정역 금정역 육교 건너 정류장에서 좌석버스 330번 승차 → 제부도입구(종점) 하차 → 택시나 마을버스 또는 도보로 제부도 안까지 이동
※배차시간 금정역 > 제부도입구 ... 05:45 ~ 23:30 ... 15분 간격으로 운행 제부도입구 > 금정역 ... 04:30 ~ 22:10 ... 15분 간격으로 운행
【참고사항】 제부도 입구에서 하차하시는 경우 도보로 바닷길을 건너셔도 됩니다만(약 1시간 소요) 섬에 들어오시고 난 후에도 섬 안의 목적지까지 긴 시간 걸어가실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가급적 마을버스를 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2) 서신 또는 제부도 입구에서 제부도까지
서신에서 마을버스(제부여객에서 운행중임)나 택시를 이용해 제부도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마을버스는 물때에 따라 운행 시간이 조금씩 바뀌지만 바닷길이 열려있을 때는 평일엔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금 토요일은 아침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운행됩니다. 서신면 →제부도(마을버스) 수시운행 (문의:**********, 2480) ※ 택시이용시 문의처: ********** (이용요금/12,000원. 2003년 3월3일 현재)
서신에서 마을버스(제부여객에서 운행중임)나 택시를 이용해 제부도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서신면 →제부도(마을버스) 수시운행 (문의:**********)
※ 마을버스는 물때에 따라 운행 시간이 조금씩 바뀌지만 바닷길이 열려있을 때는 평일엔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금 토요일은 아침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운행됩니다. |
제부도입구
바다냄새가 풍기는 제부도 바닷길을 들어서기 전부터 도로 좌우에는 바지락 칼국수 전문점, 횟집과 조개구이를 파는 식당, 카페 등이 즐비합니다. 입구에 다다르면 노란색 매표소가 있고 제부도 진입로가 보입니다. 그 끝에는 바다와 바닷길이 있습니다.
입장료는 쓰레기 처리 등을 위한 것으로 화성시청이 한 사람 당 1000원(초등학생 500원)씩 징수합니다. 또 이 곳에서는 군이 검문을 할 때도 있습니다.(신분증필요) 매표소 위에는 전자 시계로 바닷길이 열리고 닫히는 시간을 표시하고 있어 당일에 돌아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려줍니다. 또 매표소에 계시는 분들도 표를 주면서 '몇 시까지 나오셔야 합니다'라고 말씀해 주기도 하지요.
매표소를 지나면 개펄 속에 묻힐 듯이 꾸불꾸불 이어진 포장도로로 들어서게 되는데 왼쪽은 발이 푹푹 빠지는 진흙밭이고 오른쪽은 모래와 자갈이 섞여있어 마치 강변 같은 분위기를 느끼게 한답니다.
한적한 평일에도 길 오른쪽에는 갯벌에 웅크리고 있는 허름한 차림새의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모두들 호미나 꼬챙이 같은 것을 들고 뻘을 파헤치고 있는데 조개나 바지락, 굴, 낙지, 게 등이 심심찮게 잡히기 때문이랍니다. 이곳은 그래도 제부도를 꽤나 찾았던 분들이 주로 찾는 장소입니다.
※ 주 의 !!! 길에 들어서 왼쪽 갯벌에 철조망으로 표시된 어촌계 양식장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바닷길 도로에는 주차하지 말아주세요. 요즘에는 평일에 제부도를 방문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차가 세워져 있으면 그렇지 않아도 좁은 길이 더 좁아져 얼굴을 붉히게 하는 일이 발생키도 하답니다. 차는 안전한 곳에 대시고 조금 멀더라도 갯벌에는 걸어서 들어가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
첫댓글 좋은 사진이네요
반가워요~^^*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제부도 다녀온지도 오래 되었네요
조개 구워 먹는 재미가 솔솔합니다~><
ㅎㅎㅎ시간 나실때 다녀오셔요^^*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야아, 멋지네요
ㅎㅎㅎ 한번 다녀오세요^^*
싱싱한 조개도 구워 드시고..
좋은시간 되셨군요~~
ㅎㅎㅎ 서해안 제부도는 경관이 좋아 영화촬영을 많이 하지요^^
그리고 조개구이와 바지락 칼국수도 맛있기로 소문난 곳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