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 여행5 - 자오산공원에서 중국 정원을 구경하며 동양 3국 정원을 생각하다!

10월 25일 허페이 (합비) 역에서 8시 56분에 기차를 타고 난징(남경) 을 지나
10시 35분에 전장 镇江(진강) 에 도착해 역 근처 호텔에 체크인을 합니다.

북광장 버스 정류소에서 4 路 汽車(버스) 를 타고 베이구산 北固山(북고산) 감로사에서
49번 버스 로 환승해 종점인 종점인 자오산궁위엔 焦山公园(초산공원) 에 내립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너 섬 에 내리니 먼저 보이는건 후한때 창건된 정혜사 라고 하는데
중국의 절은 어느 곳이든 한결같이 기와집 에 담벽은 노랑색 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焦山行宮(초산행궁) 이라는 건물을 지나서는 푸른 색이 선명한 中国梦(중국몽)
포스터를 보면서 시진핑을 떠올리고는 조금 더 걸어서 정원 으로 들어갑니다.


여기 자오산(초산)의 정원 은 중국 다른 지방의 정원과 마찬가지로 여러 건물이
"담" 으로 분리되고 길은 "곡선" 으로 연결이 되는데 다음 경치 가 궁금해집니다.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 동양 3국 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원을 만들었는데 서양의
정원 문화와 다른 점은 동양은 "정신적인 관점" 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집니다.

"조형미" 를 살린 서양의 정원과는 다르게 자연 친화적 이며 권위적이기 보다 인간 중심적
으로 명상과 함께 자연을 생각 하면서 보는 기쁨을 얻는데 목적 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시 말해 동양 3국의 조경 은 "도가" 사상 혹은 "선" 사상의 영향으로 비정형적인
형태 를 띄고 있다는 점에서는 매우 비슷하지만 세부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많습니다.

그리고 3국에서 공통적으로 쓰인 자연적 요소는 "수목과 물 그리고 암석"
이라고 생각되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을 대표하는 정원으로는
소주의 "졸정원과 유원에 이화원, 승덕 이궁" 이 중국 4대 정원 으로 불립니다.

그중에서도 으뜸이라는 소주의 "졸정원" 은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지닌 곳으로
명나라의 어사였던 왕헌신 이 벼슬길에서 물러나 낙향 하며 조성했습니다.

중국의 전통 정원 은 "태호석" 을 사용해 기괴하면서 독특한 암석 가산 과 연못이며
호수를 만들고.... 주변에 정자나 각, 회랑 등을 세워 자연과의 조화 를 추구합니다.

반면에 일본 의 전통적인 정원을 보자면 정원에서 바위의 배치, 그림자의 형태,
식물 상호간의 조화 등에 "상징적이고 비유적" 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합니다.

또 중국은 정원내에 건물의 숫자가 많고 건물의 규모도 매우 크니... 베르사이유
정원에는 바로크 양식의 궁전 만 있을 뿐인데, 면적이 베르사이유의
3분지 일에 못미치는 이화원 에는 50개에 달하는 전각과 정자 가 건립되어 있습니다.

오늘 여기 정원을 보자니 건물이나 회랑, 내정 등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니 방문자 는
병풍을 한폭 한폭 을 감상하듯이 정원내를 돌아다니며 연속적으로 감상 하도록 합니다.

폐쇄된 회랑 을 거쳐가면 갑자기 확 트인 전망과 시계 를 마주치게
하든가 거꾸로 확 트인 시계(示界) 를 보고 나면.....
폐쇄된 회랑을 만나게 한다든지 하여..... 의외성 을 느끼도록 하네요?

중국에서는 "산은 男, 강, 부동" 을 상징하고 "물은 女, 유(柔)" 를 상징하는데 산과 물이
주가 되고 수목등은 보완하는 요소이니 소나무와 대나무의 푸르름은 덕을 상징 합니다.

또 구부러진 늙은 소나무 는 인생을 이겨냈다는 것과 비바람 에도
꺾이지 않는 진정한 "선비" 에 비유하니... 우리나라와 비슷합니다.


중국에서는 호수 를 중심으로 수경 을 하니 정자등이 호숫가에 위치해 있고 호수 위로
다리 를 놓아 호수 주위나 호수내를 거닐며 "호수경관" 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국은 암석을 쌓아서 산을 상징적으로 조성하는 철산기법 을 활용하는데 암석의 형태가
기묘하고 구멍이 뚫리고 비틀어지며 굴곡이 심한 형태일수록 높이 평가 된다고 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태호석 이 최고의 암석으로 평가되는데 호남성 북부의 동정호의 바닥 에서
채석된 것을 최고로 치고 다음은 소주 교외에 태호 서산 의 것을 친다고 합니다.

일본 정원의 4대 양식으로는 고산수식 정원, 선정식 수경정원, 문인조 정원 및
다정식 정원 을 들수 있는데 특히 고산수 정원 의 대표인
료안지 정원 은 고요한 명상의 장소 이자 추상적이며 축소의 정수 라고 불리웁니다.

료안지 정원 은 " 흰 모래와 15개의 돌" 로 구성된 정원으로.....
"인간은 불완전하므로 적당할 때 만족해야 한다" 는 메세지 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해서 일본 정원 은 전통적 선(仙)사상 에 입각하여 "명상" 을 하기 위한
곳이라고 하니... 중국의 전통 정원 양식과는 확연한 차이 를 보입니다.


일본 정원에서 가나자와의 겐로쿠엔 이나 오카야마의 고라쿠엔 등 회유식 정원 에는
다실 이 산재되어 있기는 하나.... 그 숫자와 규모에 있어서 중국에는 못미칩니다.

그리고 일본은 정원내의 건물 에서 "차경된 바깥 경관" 을 감상할 수 있도록
건물의 동향 혹은 남향에 문이나 창문 을 두는 방식을 많이 이용합니다.

일본은 중국에서는 볼수없는 기하학적 형태로 전정된 수목 이나 잘 다듬어진 잔디나 이끼
종류를 많이 사용하는데 좁은 공간의 정원에서 수목의 크기를 정원에 맞추기 위함이라?

또 일본에서는 연못, 폭포, 분천 등의 다양한 수경기법 을 도입하는데
연못이나 폭포 의 형태도 자연스러운 곡선형태 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정원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수경기법 은 물을 상징화 시켜....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수경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고산수기법 입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료안지 정원 에 15개의 암석과 왕모래 로 바다속의 섬 을 상징화
하고 있으며..... 교토 은각사 나 야마구치시의 조에이지 정원 도 그러합니다!

일본의 암석 활용 은 암석의 재질, 크기 및 비례 등을 고려하여......
암석간에 시각적 균형 을 이루도록 암석을 배치하는 기법을 씁니다.

또 정결한 모래 를 나무 밑동이나 바위의 가장자리 까지 빈틈 없이 깐후 갈퀴로 긁는데
직선, 유선, 타원과 동심원 등이 나타나면서 의도된 형상이 모래 위에 표현 됩니다.

맑고 정숙 하여 흐트러짐이 없으니 바라보는 사람들도 자세를 흐트러지게 할수
없으니, 교토 료안지나 오사카 사천왕사, 고야산 곤고부지 마당이 그러합니다!

중국과 일본 두 나라에 비해 우리 한국 의 전통적인 정원 은.....
신선, 유교, 도가, 풍수 등 여러 사상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합니다.

인공적인 연못 과 함께 세운 "누와 정자" 가 특징으로 사대부 선비들의 문화공간 으로
자연 경관이 수려한 곳에 누와 정 을 세워 주변 풍광을 감상하면서 풍류 를 즐겼습니다.

또 다른 형태로는 화계 를 들 수 있는데 계단 형태의 화단 으로 풍수사상의 영향 을
받아 배산임수 형태의 집 을 지었던 선조들은..... 집 후면의 언덕 을
계단으로 하여 화단 을 조성하고 화초나 관목 소교목 등을 심어 "후원" 을 꾸몄습니다.

한국 전통 조경 에서는 공간의 구성이 수평적인 구분 보다는 수직적인 공간구분
이 강하다는 것이..... 다른나라 중국과 일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특징 입니다.

특히 궁궐의 후원 에서 "돈대" 를 설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공간의 수직적 변화 를
느끼도록 하였으며 또한 수목이나 석물을 이용하여 수직공간을 장식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전통정원은 터를 잡을때 부터 주위경관을 고려하니 담장이 낮고 정원내의
정자나 건물에서 주위 경관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배치하니 이른바 차경 입니다.

연못의 형태 가 중국이나 일본은 자연스러운 곡선 을 띠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직선형의 방지 로 되어 있으며 원형의 섬 이 조성되어 음양오행의 원리 를 상징화 합니다.

우리나라 암석 활용 은 암석을 장식적 요소로 활용하여 형태가 특이한 하나의 암석 즉,
괴석 을 화분에 꽃을 심듯이 석분, 석함, 혹은 석대에 심어서 배치하는 방법을 씁니다.

일찌기 신라 는 서라벌에 별원 을 호사스럽게 조성 하였으니...
연못가 에 지은 건물에 임해전 (臨海殿) 이란 이름을 달았습니다.

정원의 양식 은 이렇듯 지역이나 국가, 시대에 따라 다양한데..... 이는
각 지역의 지연환경, 종교,문화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 되었기 때문입니다.

프랑스의 평면 기하학식 정원 은 프랑스라는 나라의 지형이 비교적 평평해
수면이나 파르테르 와 같은 평면적 요소 를 주로 사용 하였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후원 이나 일본의 축경식 정원 등은 산이 많은 자연환경 을 반영하고
상직적 심상의 세계를 표현 했듯... 정원의 양식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한다고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