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직 ‘김건희 스토킹’ 국민 외면 민주당 제 무덤 파는 중
참으로 한심한 민주당이다. 할 줄 아는 게 ‘김건희 스토킹’뿐이다. 정당이 정당으로서 할 일 안 하면 결국 제 무덤 파는 길밖에 없다. 지금 민주당이 그 길로 가고 있다.
민주당은 오는 14일 국회 본회의에 ‘김건희 특검법’ 수정안을 제출하겠다고 한다. 수정안을 들여다보면 잔머리를 굴려도 한참 굴린 것 같다. 민주당의 김 여사 특검법은 이번이 세 번째 발의다. 21대 국회 막바지에 첫 발의 후 22대 국회 개원 직후, 그리고 지난달 17일이 세 번째다. 이때마다 수사 대상을 계속 늘렸다. 처음엔 도이치모터스 등 8가지에서 이른바 공천 개입 의혹까지 14가지로 늘렸다.
그런데 이번엔 이를 확 줄였다. 11일 민주당 대변인실은 "수사대상을 도이치모터스와 명태균 게이트, 공천 개입·선거 개입 의혹에 국한한다"고 발표했다. 또 야당만 추천하도록 한 특검 후보도 제3자 추천이 가능하도록 했다.
배경은 뻔히 보인다. 국민의힘 내부 교란용이다.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특검법안이 통과된다 해도 대통령 재의요구권 발동으로 이어질 것은 민주당도 알고 있다. 문제는 그 이후다. 국회에서 재표결에 들어갈 경우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인 200석이 필요하다. 현재 전체 야권 의석수는 192석. 나머지 8표가 국민의힘에서 이탈돼야 한다. 지난번 두 번째 재표결에서 국민의힘 이탈이 4표 나왔다. 4표가 더 필요하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내부를 흔들어 4표를 더 이탈시키기 위해 수사대상 축소, 제3자 특검후보 추천 수정안을 만든 것이다.
결국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에 당의 명운을 건 셈인데, 사회 전체 분위기는 ‘아니올시다’ 쪽으로 흐르고 있다. 지난 9일 서울 시내에서 열린 친북좌파 단체들의 ‘윤석열 퇴진’ 집회는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후속 동력을 상실했다는 느낌이 눈에 보일 정도였다. 이날 일부 민노총 세력의 폭력시위도 조급함을 드러낸 대목이다.
현 민주당 지지 세력도 합리적 중도 좌파까지는 이재명의 사법 리스크를 계속 안고 가다간 다같이 망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 이재명도 맹목적 충성파들에 둘러싸여 객관적 정치 현실을 못 보고 있는 셈이다. 오는 15일, 25일 이재명 재판 결과가 법대로만 나오면 민주당은 무덤으로 직행하게 된다. ‘김건희 스토킹’에 매달린 참혹한 정치 후과다.
관련기사
자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