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의 노래에 관한 예술에서처럼 새의 노래에 관한 과학에서는 가설만 무성하고 결론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부분이 ‘새의 노래는 이런저런 이유에서 발달했을 것이다’든가 ‘새의 노래는 짝짓기나 싸움이 한창 진행 중일 때 이런저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든가 하는 식이다.
Current theory is buoyed by the arbitrary whims of sexual selection as a kind of random preference for peculiar traits.
새의 노래에 관한 최신 이론들은 특정 형질에 대한 일종의 임의의 선호로서 성선택이 부리는 변덕에 휘둘리고 있는 셈이다.
==>
현대의 이론들이 기반이 약한 것을 비판하고 있는 글입니다.
peculiar traits는 새들마다 울음소리가 다른 사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리고 아시겠지만 sexual selection은 다윈이 제창한 특정한 이론입니다.
이런 식으로 하면 어떨까요:
"현대의 이론들은 무작위적으로 특정 형질들이 선택적으로 발현된다고 하는
변덕스러운 성선택설에 의해 지탱되고 있을 따름이다."
It wants to measure the degree of complexity in a song, the number of motifs, the sheer length, the amount of variation, all tabulated, an asymptotic curve flattening out to a limit.
새의 노래를 곡마다 복잡도와 모티브의 개수, 길이, 변이의 정도를 측정하여 모두 도표화해 보라. an asymptotic curve flattening out to a limit
==>
앞에 이어서 현대의 이론들이 하는 작태를 꼬집는 문장입니다.
"그 이론들은 하는 일이라고는 어떤 새의 노래가 얼마나 복잡한지, 모티브는 몇 개나 되는지, 길이는 얼마나 되는지, 변화는 얼마만큼 일어나는지 측정하고 몽땅 도표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들은 수평선으로 평평하게 수렴하는 곡선을 이룬다."
실제 문장은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어떤 새의 노래를 들어가며 다른 식으로 우는 것이
몇 개나 될까를 조사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러면 처음에는 그 개수가 많이 늘어날
겁니다. 그런데 계속 들을수록 앞에 들었던 것이 반복될 확률이 높아져서 그 개수의
증가는 차츰 둔화될 겁니다. 이것을 xy 좌표로 그림으로 그리면 처음에는 빨리
증가하다가 자꾸만 수평해지는 곡선을 이룰 겁니다. 그런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문장에서는 in a song....으로 시작하고 있어서 문장이 정확치 않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이런 설명을 해석에 약간 넣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No more new songs, that's all I've got: Three for the pewee, twenty for the song sparrow, fifty for the thrush, one hundred for the nightingale, two hundred for the mockingbird, two thousand for the thrasher.
내 레퍼토리엔 새로운 노래가 더 없어. 이게 전부라구. 숲타이란트새는 3곡, 노래참새는 2십곡, 붉은꼬리지빠귀는 5십곡, 나이팅게일은 1백곡, 흉내쟁이지빠귀는 2백곡을 부른다. 그리고 갈색지빠귀사촌은 자신의 레퍼토리에 무려 2천곡을 담고 있다.
==>
현대 이론이 이런 식으로 말할 거라고 생각하고 기술한 것입니다.
"더 이상 새로운 노래가 없구나. 이게 내가 찾아낸 전부야: 딱새는 세 곡, 멧종다리는
이십 곡, 개똥지빠귀는 50 곡, 나이팅게일은..... 흉내지빠귀는.... thrasher(?)는
2000 곡."
Thresh, thresh, thresh, can anyone count so high without being moved by the relations of one sound to the next? Forty seconds for Webern, three minutes for your average pop song, twenty minutes for Mozart, one hour for Beethoven. Birds do not watch the clock.
하지만 무려 2천곡이란 말이다. 2천곡... 각각의 노래를 두 번씩 반복하여 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그런 노래 패턴으로 2천곡이나 부른단 말이다. 누가 그런 패턴, 그런 장황한 노래에 도전하겠는가? 안톤 폰 베베른(Anton von Webern. 1883~1945.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음악학자)이? 겨우 40초짜리 곡으로? 평범한 대중가요도 3분이면 끝난다. 혹시 음악의 신동 모차르트라면 가능할까? 하지만 그의 곡도 기껏 20분이다. 심지어 악성 베토벤의 곡조차 1시간이다. 새들에겐 아예 시계가 없다!
==>
thresh는 앞의 thrasher에서 이어서 말장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타작하는 소리를 형상화 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고저쩌고 재잘재잘...,[앞의 현대 이론들의 짓거리를 비꼬는 말] 그런데 말이다,
하나의 소리와 그 다음 소리가 이루는 관계에 감탄하지 않고 그렇게나 잔뜩까지
셀 수 있는 자가 어디 있을 수 있겠는가? 베베른은 40초고, 대중가요는 대개 3분이고,
모차르트는 20분이고, 베토벤은 1시간이다. 새들은 시계를 보지 않는다."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인간들이 만든 곡들에 비해 새들은 몇 시간이고 끊임없이
아름다운 곡을 연주한다는 뜻입니다.
좀 길었지만 즐거운 내용이라서 대답했습니다. ^^
- poesie / 은밤
첫댓글 정말 화려한 답변이네요. 감사합니다. ~~ thresh가 그런 용도로 쓰인 거군요. 전 thrasher를 잘못 쓴 건가 해서... 뒷부분도 이 새에 맞춰 생각했거든요ㅠ,ㅠ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한 군데 있어요. count so high란 게 뭘 의미하는지 분명하지가 않네요. 어쩌구저쩌구 하는 부분에서 언급되는 뭔가를 가리키는 것일까요? 아니면 몇 시간이고 끊임없이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이런 의미로 봐야할까요?
count so high는 2000 같은 큰 숫자의 회수까지 세는 것을 말합니다.
thresh의 경우는 용도는 맞는 것 같은데 해석은 보는 사람마다 달리 할 수 있을 겁니다.
정말 즐거운 내용이네요~ ../..소리(패턴?)와 숫자와의 관계 도출이라는 감흥에 빠지지 않고서는 2천곡까지나 세는 인간이란..없을 것이다..로 함 도전~~
정옥희님 의견을 참고로 이렇게 처리해 봤습니다. '곡과 그 다음 곡과의 관계를 설명하려는 동기가 없고서야 누가 2000곡이나 세고 있겠는가?'
마지막에 나온, 새들은 시계를 보지 않는다... 즉 새의 노래는 한 곡당 시간을 정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보고... 그렇다면 그런 (시간적으로) 무작위적인 노래를 그것도 2000곡이나 세고 있을 사람이, 이런 현대이론을 추종하는 우리 과학자들 외에 또 있을까? ...이런 의미로 봤어요.
제가 착각한 부분이 있네요. Three for the pewee, twenty for the song sparrow, fifty for ...에서 숫자는 곡 수가 아니라 소리의 가지 수를 말하는 걸로 봐야 겠습니다. 대체로 새에 대한 연구, 특히 새의 노래에 대한 연구는 지지부진한 편인데, 그나마 pewee(정확히 말하면 eastern wood pewee)를 비롯해 몇 종은 꽤 연구된 편입니다. pewee는 pee-ah-wee, pee-oh, ah-di-dee, 이렇게 세 종류의 소리(원서에서는 이 하나하나를 syllable로 처리되어 있습니다)로 노래가 진행되는데... 차례대로 A, B, C라 할 경우, 주로 CACB로 구성된 것(원서에서는 이걸 sentence라 할 때도 있고 motif, 혹은 (애매하긴 한데) phrase라고 할
때도 있어요)을 부른다네요. 때로 CACCACB 10번, C 2번, A 39번, CAB 1백번... 식으로 부를 때도 있고요.(CACCAC, C, A, CAB 등을 CACB에 대한 variation으로 본 것 같습니다) 물론 과학자들이 음악가는 아니니까 pee-ah-wee 따위를 노래라고 봤을 수도 있겠지만 공연히 독자들에게 혼란을 줄 것 같네요. 그래서 No more new songs, that's all I've got: Three ... 부분은 '더 이상 새로운 음절은 없군. 이게 내가 찾아낸 전부야. 숲타이란트새는 3종, ....'로 처리할까 합니다. 문제는 can anyone count so high without being moved by the relations ... 부분인데, 처음에 나온 '새의 노래에 대한 과학은 가설만 무성하고 결론이
없다'는 걸 보면 이 부분은 아마 2000이라는 숫자에 기가 꺾여 이들 syllable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엄두가 나지 않는 상황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thrasher(정확히 말하면 brown thrasher)는 각 syllable을 보통 두 번씩 부른다네요. 그러니까 AABBCC... 식으로요. 하지만 이 syllable의 종류가 2000가지나 되니, 이런 것이 조합되어 짝짓기나 싸움판에서 어떤 기능(즉 언어적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 OTL. 그래서 Thresh, thresh, thresh, can anyone count so high without being moved by the relations... 은 '어쩌구저쩌구(궁시렁 거리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말이지, 음절 간의 관계를 알고 싶어 환
장하지 않은 다음에야 음절 2000종으로 그런 연구를 할 엄두가 나겠어? 베베른의 곡이라면 40초에 끝나고, ... 베토벤의 곡도 1시간이면 끝난다구. 새는 시계도 안 보나?"'로 해 봅니다.
EnHope 님, 저 같으면 이런 거 번역하고 있느니 혀 깨물고 자살하겠습니다. 뜨악!
아윽... 죽겠습니다. 그래도 오늘 중으로 마무리짓고 한 번 검토 후 내일 오전 중으로 넘어갈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