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은 어떻게 겨울을 났을까?
⑴겨울철 한복의 특징
①추위를 막기 위해 무명과 비단으로 한복을 만들어 입었다.
②따뜻하게 만들기 위해 저고리,바지,두루마기 속에 솜을 얇게 넣어 입었다.
③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여러 벌 겹쳐 입었다.
④겨울철에 한복을 입는 순서
ㆍ남자:속고의→바지→저고리→버선→대님→조끼→마고자→두루마기
ㆍ여자 윗옷:속적삼→속저고리→저고리→배자→두루마기
ㆍ여자 아래옷:다리속곳→속속곳→바지속곳→단속곳→너른바지→무지기 치마
⑵무명과 비단
①무명
ㆍ고려 말 공민왕 때 문익점에 의해 우리 나라에 들어왔다.
ㆍ목화에서 씨를 발라 내고 솜만을 거두어 실을 뽑아 내어 옷감을 짠다.
ㆍ천이 부드럽고 손질하기가 쉬워서 어느 계절에나 사용되었다.
ㆍ겨울에는 두겹의 목화 사이에 목화솜을 넣어 누빈 옷을 입기도 하였다.
ㆍ만들어지는 과정:목화가꾸기→말리기→씨빼기→고치를 말아 다발묶기→실뽑기→베틀로 옷 감짜기→옷만들기
②비단
ㆍ누에가 만든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서 옷감을 짠다.
ㆍ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여 겨울철 옷감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ㆍ누에를 키우기가 까다롭고 옷감을 만드는 과정이 어려워서 주로 귀족층에서 입었다.
ㆍ만들어지는 과정:누에키우기→누에고치에서 실뽑기→실내리기→베틀로 옷감짜기→옷만들기
⑶우리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①방한용 모자:남바위,조바위,풍차,굴레 등이 있다.
ㆍ남바위:주로 부인과 노인이 겨울철 나들이할 때 쓰던 모자이다.속에는 털이 붙은 가죽을 대고 겉은 비단 등의 천으로 만들었다.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귀를 거쳐 목과 등을 덮으 며,위쪽에는 구멍을 뚫었다.부인용에는 수,구슬 등의 장식을 달았는데 조바위는 이것이 변 형된 것이다.
ㆍ조바위:여자들이 착용한 방한용 모자이다.
ㆍ풍차:남녀 모두 사용하였으며,귀와 뺨,턱을 가리는 볼끼가 달려 있다.
ㆍ굴레:조선 후기 상류층 가정의 어린이들이 쓰던 수놓은 모자이다.
②겨울용 신발:목화,둥그니신,설피 등이 있다.
ㆍ목화:사슴가죽으로 만든 반장화 모양의 방한용 신발이다.
ㆍ둥그니신:짚으로 엮어 만들었으며,서민층의 남녀 모두가 사용하였다.
ㆍ설피:눈이 많은 고장의 주민들이 신바닥에 덧대어 신는 물건이다.설피를 신으면 눈이 깊어 도 빠지지 않으며 비탈에서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③겨울용 버선: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나기 위해 두 장의 무명 사이에 솜을 넣고 누벼서 신었 다.남쪽 지방에서는 발 위쪽에만 솜을 넣었고,북쪽 지방에서는 발의 위아래에 모두 솜을 넣었다.
④목도리:목 부분에 둘러 추위를 막는데 사용하였다.
⑤토시:손목에서 팔꿈치까지 털가죽이나 솜을 둔 천을 끼워 추위를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