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부터 2박 3일 동안 대전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열린 아홉 번째 전국장애인운동활동가대회. 매년 꾸준히 참가자가 늘면서 그만큼 새로운 얼굴도 늘어나고 있다. 오랜 시간 시설에서 살다가 탈시설한 이들도 있고,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통해 탈시설-자립생활 이념을 접하며 장애인인권 운동에 관심이 생겨 참가한 이들도 있다.
올해 활동가대회엔 어떤 이들이, 어떤 까닭으로 참여하게 됐을까. 각지에서 온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경남 진주 참샘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강은경 소장
▲참샘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강은경 소장 |
강은경 소장(29세, 뇌병변장애)은 활동가대회에 올해 처음 참가했다. 올해 소장이 되면서 견문도 넓히고 권익옹호 활동을 더욱 열심히 하기 위해 경남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속 활동가들과 함께 왔다.
강 소장은 작년부터 진주에서 저상버스 타기 운동을 하고 있다. 강 소장은 “여전히 많이 부족하지만 인식은 많이 좋아진 것 같다”라고 지난해 시작한 저상버스 타기 운동에 대해 평했다.
“장애인콜택시(아래 장콜) 놔두고 왜 굳이 저상버스 타려고 노력하는지 이해 안 간다는 사람도 있어요. 그때마다 이야기해요. 장콜은 장애인만 타는 건데, 이건 일정한 분류가 있잖아요. 탈 수 있는 사람이 정해져 있어요. 그런데 버스는 아무나 탈 수 있어요. 장콜은 늘리는 데 한계가 있지만 저상버스는 100% 도입하면 비장애인, 아이, 노인 모두에게 좋고 모두가 탈 수 있어요.”
저상버스 타기 운동을 시작한 지난해,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과 함께 30분, 1시간을 기다려 버스를 탔다. 처음엔 버스 타는 것을 두려워했던 이들이 이젠 “나도 한번 타볼래”라고 먼저 말한다. 그리고 버스를 탈 때마다 휠체어 리프트가 잘 내려오는지 등 ‘기계 점검’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기계 고장 났는데 왜 타려고 하느냐”라며 면박 주던 운전기사분들도 이젠 기계 고장 난 것에 대해 먼저 미안해하는 등 사람들 인식 변화도 보인다.
▲활동가대회 중 강의를 듣는 강은경 소장의 모습 |
강 소장은 장콜에 대해서도 말했다. 진주시의 경우, 현재 운행되고 있는 장콜은 22대로 법정대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여기에 진주 지역만의 특성도 작용한다. 거창군 등 큰 병원이 없는 인근 지역에서 진주에 있는 경상대학교병원에 왔다가 다시 자신의 지역으로 돌아갈 때는 진주시의 장콜을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진주 장콜이 다른 지역으로 나가면 나갈수록 장콜 대기시간은 오래 걸리고 그만큼 진주 시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콜 대수는 줄어든다.
“예를 들어 22대 중 6대가 나가면 진주시 내 장애인들은 나머지 16대로 써야 하는 거죠. 거제시에 사는 장애인이 경상대병원 왔다가 거제로 돌아간다고 하면, 거제까지 2시간 정도 걸리거든요. 그러면 왕복 4시간. 그만큼 대기시간은 길어지고.”
그래서 장콜 대수 확보와 함께 현재 2교대로 운행되고 있는 것을 3교대로 바꾸는 요구도 하고 있다.
“진주시 장콜은 현재 2교대로 이뤄져 있어서, 점심시간(낮 12시~1시)과 교대시간에 운행이 안 될 때가 있어요. 그런데 창원은 3교대로 점심시간이 없어요. 장콜 대수 늘리고 3교대로 바꾸는 게 목표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