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자전거 거점 도시 육성사업 낙제점”
- 김미희 시의원, “2년도 안돼 표층 떨어지고 이용자 안전 미흡” 주장
- 강릉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위원회 등 전문가 의견 청취해 정책 반영”
강릉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전거 거점 도시 육성 사업이 낙제점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강릉시의회 김미희의원은 21일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시정 질문을 통해 “강릉시 자전거도로는 검증되지 않은 공법으로 무늬만 자전거도로이지 주민들은 물론 자전거 동호인들조차 외면하고 있다. 관내 모든 도로를 누더기 넝마로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김의원은 “1년 전인 지난해 12월에도 생활형 자전거도로에 대해 질문했을 때 강릉시는 시가지 중심부의 대형 주거단지에서 시장과 학교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우선 정비, 개량한다고 답변했는데 지금 얼마나 진행됐느냐”고 추궁했다.
김의원은 특히 강릉시가 지금까지 개설한 자전거도로 중 48%가 육상 트랙 재질과 같은 탄성 포장인데, 이는 2년도 안 돼 점성 저하로 표층이 떨어져 나가 내구성이나 환경성 면에서 취약점이 많은 자재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얼마 전 개통한 포남2동 일대, 홍제동 노인 복지회관 근처 자전거도로에 대해 이용자 안전은 조금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자전거도로변 가로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경계석을 쌓아 턱을 만들고 기존 차도와 노면을 같게 한다는 이유로 자전거 도로 양쪽에 경계석이 튀어 나와 있는가 하면, 날카로운 화강암 모서리는 자전거 타이어 파손 등 이용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의원은 “강릉시가 올해까지 180억원이나 쏟아부은 이 사업이 왜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며 “그나마 지난 가을 조직개편 때 자전거도로 전담 부서가 생긴 것은 다행”이라고 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현재 구성돼 있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위원회뿐 아니라 시의회, 자전거연합회, 동호회, 전문가 등 많은 분의 의견을 청취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 참조 : 강원일보 고달순 기자님(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