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펀드구분 | 1호 | 2호 | 3호 | 4호 |
---|---|---|---|---|
만 기 | 4년 | 5년 | 6년 | 7년 |
예상수익률 | 연4.19% | 연4.29% | 연4.40% | 연4.50% |
판매처 | 우리은행 IBK 기업은행 |
신한은행 | 국민은행 하나은행 |
국민, 하나은행 신한금융투자 |
가입인원수 | 1,362명 | 1,332명 | 989명 | 1,132명 |
판매현황 및 판매율(16시 기준) | 250억원 (100%) |
250억원 (100%) |
177억원 (71%) |
208억원 (83%) |
판매완료시간 | 11:10 | 09:50 | 국민은행 판매중 | 국민은행 판매중 |
감사원, 고속화열차 수요분석 '불합리' 적발
감사원이 20일 고속화열차 도입을 위한 수요분석에서 요금기준의 부적합으로 수요가 부풀려지는 등 건설ㆍ환경 분야에서 부적절한 세출예산 편성 사례를 다수 적발했다고 연합뉴스가 밝혔다.
감사원은 중앙선 현대화ㆍ고속화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총사업비 3조6천474억원 규모의 모구간 복선전철사업에서 이 같은 사례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 4월 타당성조사 기본계획수립을 하면서 최고운행속도가 시속 250㎞에 달하는 EMU250 열차와 시속 180㎞의 EMU180 열차를 운행키로 하고 평균 열차속도를 각각 시속 186.3㎞와 시속 131.8㎞로 적용했다.
그러나 요금 결정에서는 최고운행속도가 시속 120∼150㎞에 불과한 일반열차의 운행 거리대 별 요금을 적용했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감사원이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 경춘선 ITX열차의 요금을 기준으로 수요를 재산정한 결과 2036년에는 수요가 예비타당성조사 대비 76%,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대비 73%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감사원은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합리적인 통행비용 산정기준을 마련할 것을 통보했다.
철도시설공단, 잉여자산 매각으로 20억원 수익 창출
한국철도시설공단 시설장비사무소는 수익을 창출하고 유지비용 및 부채절감을 위해, 잉여장비인 자갈화차 212대를 처분하기 위한 매각공고를 11월21일부터 7일간 온비드(www.onbid.co.kr)를 통해 진행한다고 밝혔다.
당초 경부고속철도는 전 구간 자갈궤도로 건설할 계획으로, 이에 필요한 자갈화차 322대를 구입하여 철도건설사업에 운영하였으나, 경부고속철도 2단계 동대구∼부산구간은 자갈궤도 대신 첨단공법인 콘크리트궤도로 건설함에 따라, 자갈궤도 공사를 위해 구입한 자갈화차의 운용률이 떨어지는 반면, 화차의 기능유지를 위해 유지보수 비용은 매년 2천만원씩 지출되는 상황이었다.
철도공단은 매년 발생되는 자갈화차 유지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고속철도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필수차량 110대를 제외한 212대에 대해서는 매각을 결정했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자갈화차 매각이 완료되면 매각금액 약 20억원 뿐 아니라, 매년 투입되는 유지보수 비용 2천만원을 줄일 수 있어, 공단 부채 절감과 경영합리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H·철도공사 등 부채감축·경영개선실적 매월 점검
제1차 산하공공기관 부채점검회의 결과...과잉복지 등 반드시 개선키로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는 11.20(수) 박기풍 제1차관 주재로 14개 산하 공공기관 부사장단이 참여한 가운데 「제1차 산하 공공기관 부채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본 회의에서 LH, 철도공사 등 산하 공공기관별 부채현황과 대책을 점검하였으며, 특히 불합리한 경영사항에 대한 조치계획에 대해 중점 논의하였다.
박기풍 차관은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의 부채가 214조원(‘12년말 기준)에 이르고, 작년 한 해 동안의 이자가 7조 5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부채가 심각한 상황임을 지적하고,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참고 : 발언내용)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기관별로 사업조정, 자산매각, 원가절감, 수익창출 극대화 등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추진하고,
무엇보다도 직원자녀 학비 과다지원 등 과잉복지와 관련된 불합리한 경영사항에 대해서는 이번에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강도 높은 개선대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영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성찰과 전열정비가 필요한 만큼, 공공기관장과 간부들이 솔선수범하여 조직 내부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국토부에서도 산하 공공기관의 부채 감축을 최우선과제로 하여 재무건전성 대책을 추진하고, 방만경영, 불합리한 경영사항을 근절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산하 공공기관에서 이러한 상황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이고 선도적으로 부채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당부했다.
국토부는 앞으로도 매월 산하 공공기관별로 부채 및 불합리한 경영사항 개선실적을 점검하고, 분기별로 차관 주재 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는 등 산하 공공기관 관리를 보다 강화해 나갈 계획
2.2부터 동해남부선 안락 - 기장구간 운행선 변경
약 2.6km 단축된 신운행선 으로 달려...해운대역,송정역은 신설역사로 이전
코레일 부산경남본부(본부장 최덕률)는 12월 2일부터 동해남부선 안락~기장구간 운행선이 변경됨에 따라 현재 해운대역, 송정역을 이용하는 고객은 변경된 운행선 내에 있는 신설 해운대역, 송정역에서 열차를 이용해야 한다고 19일 전했다. 따라서 그동안 우동에서 해운대~청사포~송정으로 이어지며 열차에서 바다를 보며 달리는 현재 노선은 12월 1일까지만 운행하게 된다.
이번에 개통하는 새 운행선은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사업 구간중 가장 먼저 개통하게 되는 구간으로 기존 노선(약 21km)보다 약 2.6km를 단축해 운행시간은 약 5.3분 단축됐다.
운행선이 변경됨에 따라 현재의 해운대역, 송정역은 12월 1일까지만 이용가능 하며, 2일부터는 변경 운행선에 신설된 해운대역, 송정역에서 열차를 타야한다. 신설 해운대역은 국군부산병원 정문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설 송정역은 송정초등학교 맞은편에 자리를 잡았다.
* 시내버스 안내
(신해운대역) 38, 63, 100-1, 115-1, 181, 1001, 1001(심야) 동부아파트 정류소 하차 후 도보로 5분 거리 / 139번, 마을버스 8번 해운대신역사 앞 정차
(신송정역) 38,39,40,63,100,139,182,200,182(심야), 1003(심야)
코레일은 운행선 변경에 따른 열차 운행횟수는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해 총 40회(상하행 각 20회)를 운행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운행선 변경으로 열차내에서 해운대~송정구간의 바닷가 풍경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해운대~송정구간을 찾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코레일 부산경남본부가 10월 1일부터 11월 17일까지 해운대역과 송정역의 승하차 인원을 조사한 결과 10월의 경우 해운대역은 작년에 비해 약 6천명, 송정역은 약 4천명 가까이 증가했다.
(단위:명)
구 분 | 2012년 10월 | 2013년 10월 | 2012년 11월 | 2013년 11월 |
---|---|---|---|---|
해운대역 | 99,601 | 105,515 | 52,459 | 65,812 |
송정역 | 8,227 | 12,160 | 4,877 | 6,010 |
구분 | 열차 번호 | 기존('13.12.1일까지) | 변경('13.12.2일이후) | ||||||
---|---|---|---|---|---|---|---|---|---|
시발역 | 종착역 | 시발역 | 종착역 | ||||||
하행 | 1251 | 서울 | 7:50 | 해운대 | 13:41 | 서울 | 7:50 | 해운대 | 13:44 |
1253 | 서울 | 16:13 | 해운대 | 21:56 | 서울 | 16:13 | 해운대 | 21:56 | |
1621 | 청량리 | 8:25 | 부전 | 16:13 | 청량리 | 8:25 | 부전 | 16:10 | |
1623 | 청량리 | 21:13 | 부전 | 4:17 | 청량리 | 21:13 | 부전 | 4:09 | |
1681 | 강릉 | 13:20 | 부전 | 21:29 | 강릉 | 13:20 | 부전 | 21:21 | |
1761 | 포항 | 5:40 | 부전 | 8:19 | 포항 | 5:50 | 부전 | 8:20 | |
1771 | 동대구 | 7:00 | 부전 | 10:11 | 동대구 | 7:00 | 부전 | 10:09 | |
1773 | 동대구 | 7:30 | 부전 | 10:24 | 동대구 | 7:30 | 부전 | 10:22 | |
1775 | 동대구 | 8:30 | 부전 | 11:39 | 동대구 | 8:30 | 부전 | 11:37 | |
1777 | 동대구 | 9:30 | 부전 | 12:26 | 동대구 | 9:30 | 부전 | 12:25 | |
1779 | 동대구 | 10:30 | 부전 | 13:51 | 동대구 | 10:30 | 부전 | 13:41 | |
1781 | 동대구 | 11:35 | 부전 | 14:48 | 동대구 | 11:35 | 부전 | 14:44 | |
1783 | 동대구 | 14:00 | 부전 | 17:09 | 동대구 | 14:00 | 부전 | 17:04 | |
1785 | 동대구 | 16:00 | 부전 | 19:09 | 동대구 | 16:00 | 부전 | 19:03 | |
1787 | 동대구 | 17:00 | 부전 | 20:05 | 동대구 | 17:00 | 부전 | 19:50 | |
1789 | 동대구 | 17:30 | 부전 | 20:42 | 동대구 | 17:30 | 부전 | 20:35 | |
1791 | 동대구 | 19:05 | 부전 | 22:25 | 동대구 | 19:05 | 부전 | 22:21 | |
1793 | 동대구 | 20:00 | 부전 | 23:07 | 동대구 | 20:00 | 부전 | 23:08 | |
1795 | 동대구 | 21:20 | 부전 | 0:25 | 동대구 | 21:20 | 부전 | 0:21 | |
1943 | 포항 | 16:10 | 순천 | 22:33 | 포항 | 16:13 | 순천 | 22:28 | |
상행 | 1252 | 해운대 | 7:50 | 서울 | 13:47 | 해운대 | 7:50 | 서울 | 13:47 |
1254 | 해운대 | 16:40 | 서울 | 22:31 | 해운대 | 16:38 | 서울 | 22:22 | |
1622 | 부전 | 7:10 | 청량리 | 14:52 | 부전 | 7:20 | 청량리 | 14:52 | |
1624 | 부전 | 22:30 | 청량리 | 5:38 | 부전 | 22:45 | 청량리 | 5:38 | |
1682 | 부전 | 9:05 | 강릉 | 17:17 | 부전 | 9:12 | 강릉 | 17:17 | |
1762 | 부전 | 18:40 | 포항 | 21:25 | 부전 | 19:15 | 포항 | 21:47 | |
1772 | 부전 | 5:45 | 동대구 | 8:41 | 부전 | 5:47 | 동대구 | 8:41 | |
1774 | 부전 | 6:00 | 동대구 | 9:11 | 부전 | 6:03 | 동대구 | 9:11 | |
1776 | 부전 | 7:40 | 동대구 | 10:50 | 부전 | 7:45 | 동대구 | 10:50 | |
1778 | 부전 | 9:20 | 동대구 | 12:28 | 부전 | 9:24 | 동대구 | 12:28 | |
1780 | 부전 | 11:50 | 동대구 | 14:54 | 부전 | 11:52 | 동대구 | 14:54 | |
1782 | 부전 | 13:00 | 동대구 | 15:56 | 부전 | 13:05 | 동대구 | 15:56 | |
1784 | 부전 | 13:55 | 동대구 | 17:11 | 부전 | 14:00 | 동대구 | 17:11 | |
1786 | 부전 | 14:50 | 동대구 | 18:04 | 부전 | 14:57 | 동대구 | 18:04 | |
1788 | 부전 | 15:30 | 동대구 | 18:51 | 부전 | 15:35 | 동대구 | 18:51 | |
1790 | 부전 | 21:00 | 동대구 | 0:02 | 부전 | 21:07 | 동대구 | 0:02 | |
1792 | 부전 | 17:35 | 동대구 | 20:47 | 부전 | 17:38 | 동대구 | 20:47 | |
1794 | 부전 | 19:50 | 동대구 | 22:55 | 부전 | 19:58 | 동대구 | 22:55 | |
1796 | 부전 | 16:30 | 동대구 | 19:42 | 부전 | 16:40 | 동대구 | 19:42 | |
1944 | 순천 | 6:00 | 포항 | 12:13 | 순천 | 6:10 | 포항 | 12: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