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정신을 간직한 대구의 큰 자랑
도동서원
다람재에서 바라본 도동서원 전경
조선 시대 성리학을 이끈 다섯 명의 대가를 가리켜 ‘조선오현(朝鮮五賢)’이라 부른다. 김굉필(1454~1504)은 영남학파 종조(宗祖)
김종직의 제자이자 사림파 영수(領袖) 조광조의 스승으로 그중에서도 단연 으뜸으로 꼽힌다. 이황도 그의 학문을 논하며 ‘공자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고 칭송할 정도다. 그러한 대학자가 남긴 선비 정신을 찾아 떠나는 길. 목적지는 낙동강이 유유히 흐르고 대니산 자락이 강을 향해 자세를
낮춘 곳에 있는 도동서원이다.
성리학의 기본에 심취한 대학자, 김굉필
[왼쪽/오른쪽]김굉필 선생의 시비가 있는 다람재 모습 / 김굉필 선생의 외 증손 한강 정구가 식수한
400년 수령의 은행나무
낙동강을 따라 달성군 현풍면에서 구지면으로 향하다 보면 ‘다람재’라는 작은 고개가 나온다. 이곳에 오르면 잠시 여행의 속도를 늦추게 된다.
산을 따라 굽이굽이 돌아 흐르는 낙동강이 여러 산줄기와 어우러져 절경을 자아내고 있는 것. 아름다운 경치에 빠져 있노라니 산자락의 경사면을 따라
정갈하게 건축된 서원이 눈에 들어온다. 바로 김굉필의 학문과 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도동서원이다.
김굉필 선생 오백주기추모비와 유물전시관
어린 시절을 대니산 자락 동쪽의 솔례촌(현 달성군 대리)에서 보낸 김굉필은 18세에 장가들며 처가가 있던 합천군에서 생활했다. 당시
함양군수로 있던 김종직의 수제자로 들어가며 조선 성리학의 맥을 잊게 되었다. 이후 26세 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연산군
시절인 1498년에 조카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어 발생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평안도 회천으로 귀양을 떠났다. 이후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사약을 받았다. 비록 그는 정쟁에 휘말려 역사의 희생양이
되었지만, 유배 당시 양성한 후학들에 의하여 명예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표적인 제자가 바로 조광조이다. 이처럼 성리학의 큰 줄기를
이어받아 죽을 때까지 후학 양성과 유학의 본질을 세상에 전하기에 헌신했던 사람. 그가 유학자로서의 본분을 다한 데에는 성리학의 기본이라 일컫는
《소학》에 심취했기 때문이라 한다. 스스로 ‘소학동자(小學童子)’라 칭할 정도였다.
담장까지 보물로 지정된 국내 유일의 서원
도동서원의 문루인 수월루
대학자가 걸어온 역사의 흔적을 되새기며 서원 앞에 다다랐다. 문루인 수월루 앞에 도착하니
땅을 향해 가지를 늘어트린 커다란 은행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도동서원이 사액된 것을 기념하여 김굉필의 외 증손인 한강 정구가 식수한 것으로
수령이 400년을 헤아린다. 잠시 나무에 시선을 빼앗기고 있노라니 문화해설사가 다가와 설명을 곁들인다.
“이 은행나무는 김굉필 선생을 닮았습니다. 자세히 보면 나무 안에서 다른 나무 여럿을 키우고 있거든요. 스스로 터전이 되어 후학을 양성한
선생을 닮았잖아요.”
과연 커다란 줄기 안에서 서로 다른 나뭇가지가 보인다. 해설사의 설명이 이어진다. “이 나무의 영험함은 이것만이
아닙니다. 40년 전에 태풍이 불어 8톤 트럭 두 대 분량의 가지가 잘려나갔습니다. 당시 며칠간 나무가 소리 내며 울었다고 하더라고요. 평소
나무 밑은 아이들의 놀이터였는데, 아무도 다친 이가 없었고요. 서원에 깃든 남다른 기운이 나무에도 서린 게 아닐까요.”
[왼쪽/오른쪽]강학공간의 입구인 환주문 / 서원의 중심영역인 강학공간
굴곡진 역사를 견디며 자리를 지켜온 은행나무를 뒤로하고 서원으로 들어선다. 수월루에 이어 나온 서원 정문 위에 ‘환주문’이라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갓 쓴 유생이라면 고개를 숙여야만 들어설 수 있을 만큼 아담한 크기다. 환주문 안쪽이 강당인 중정당과 기숙사로 쓰였던 동재와 서재로
이루어진 강학공간이다. 중정당의 기둥 윗부분에는 하얀색 칠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국 서원 가운데 유일한 것으로 ‘대한민국 최고 서원’을
나타내는 것이다.
[왼쪽/가운데/오른쪽]서원의 강당으로 사용되는 중정당 / 사당의 입구인 내삼문 / 김굉필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
중정당 뒤편의 내삼문을 넘어서면 제를 지내는 사당이 나온다. 서원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사당은 제향을 받는 날 외에는 공개하지 않는다.
도동서원은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의 이론에 따라 수월루, 환주문, 중정당, 내삼문, 사당이 차례로 정렬해 있다. 이러한 서원의 구성과 배치
방식은 우리나라 서원 건축 중 가장 규범적이라 한다. 또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담장까지 보물로 지정될 정도로 그 가치가 높다. 유네스코에서도
이를 인정하여 도동서원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상태이다.
대학자의 묘소를 찾아가는 사색의 길
신도비각 앞의 산길을 오르면 김굉필 선생의 묘소가 나온다
도동서원을 나왔다면 서원 뒤편의 대니산 자락에 조성된 김굉필 묘소를 찾아보자. 서원 입구에서 불과 800m 떨어져 있기에 가벼운 걸음으로
10분 남짓이면 도착한다. 유학자의 곧은 절개를 나타내듯 묘소로 향하는 길은 소나무가 우거져 있다. 이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넷째 아들과
부인의 묘’가 모습을 드러내고, 이어 ‘셋째 딸의 묘’가 나타난다.
가족 묘역에 함께 묻힌 김굉필 선생 셋째 딸의 묘
출가한 사대부의 딸이 친정묘역에 함께 묻히게 된 사연에서 효심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겨 본다. 어머니가 병환 중일 때 미음을 끓여 백여 리
떨어진 길을 걸어와도 미음이 식지 않았다고 한다. 비록 다른 집안으로 시집간 출가외인이지만, 어머니는 먼 걸음을 수차례 오가며 효심을 다한 딸을
가까이 두고 싶다 하여 딸의 묘소를 이곳으로 정했다는 것이다.
대학자의 면모는 집안을 다스림에서도 남다르다는 생각을 하며 걸음을 옮긴다. 이어 낙동강 일대의 산세가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 나온다. 이곳이
바로 김굉필의 묘소다. 살아서는 유학자로서 기본을 되새기며 올곧은 삶을 지키고, 비록 정쟁에 휘말려 죽임을 당했을지라도 자신이 키운 후학에게
끝을 모르는 믿음을 받아온 사람. 나아가 유학의 가장 기본인 《소학》을 평생토록 가슴에 새기며 살다간 사람. 《소학》을 읽고서 썼다는 그의
시에서 선비 정신을 되새겨본다.
김굉필 선생의 묘소
“글을 읽어도 아직 천기를 알지 못하였더니/ 《소학》속에서 어제의 잘못을 깨달았도다/ 이제부터 마음을 다하여 자식의 직분을 하려 하노니/
구차스럽게 어찌 잘살기를 부러워하리오?”
여행정보
도동서원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문의 : 053-616-6407, korean.visitkorea.or.kr
1.주변 음식점
현풍박소선할매집곰탕 : 곰탕, 양곰탕 /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현풍중앙로 56-1 / 053-615-1122
현대식당 : 소구레국밥, 추어탕 /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비슬로130길 51-1 / 010-2711-8787
2.숙소
엘레강스모텔 :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현풍동로 196 /
053-611-4533
영빈장여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현풍중앙로16길 2 /
053-611-4454
첫댓글 알듯 모를듯한 한훤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