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세계의 공장에서 스마트 제조국으로 도약2018-12-28 전진우 중국 난징무역관 - 2020년 중국 스마트 팩토리 시장규모 세계 1위 전망 - - 중국 제조기업, 중앙 및 지방정부 정책 지원 바탕으로 투자 대폭 확대 - - 한국 기업, 운영 솔루션 중심으로 중국 스마트 팩토리시장 적극 진출 필요 -
□ 중국 스마트 팩토리 시장 분석
ㅇ 스마트 팩토리란 제품을 조립·포장하고 기계를 점검하는 전 과정에 IT를 접목해 운영하는 지능형 공장으로 제4차 산업에 적합한 제조업 방식으로 평가됨. 독일(인더스트리 4.0), 중국(중국제조 2025) 등 다수 국가의 정부에서 스마트 팩토리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ㅇ 중국 스마트 팩토리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약 2조 위안(약 325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2020년에는 시장규모가 3조 위안(약 487조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스마트 팩토리 시장규모는 2010~2012년 3년간 연평균 약 14% 증가했고, 2015~2020년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20%를 웃도는 등 성장이 가속할 것으로 전망 - 중국 스마트 팩토리시장은 비교적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 대비 규모가 급격하게 확장되고 있는 것이 특징임. - 다수 전문가들은 2020년에 이르면 중국 스마트 팩토리시장이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중국 스마트 제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딜로이트 중국 스마트 제조 보고서, 产业智能官
ㅇ 중국산업정보에 따르면, 2017년 중국 공업 소프트웨어 시장규모는 약 140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약 12% 성장했고, 2021년 2000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임. - 이 중 연구개발설계류(CAD, CAE, PLM 등) 비중이 75.08%로 가장 높고, 생산제어류(MES, SCADA 등)가 13.15%, 업무관리류(ERP, SCM, HRM 등)이 4.17%를 차지함.
ㅇ 산업별 스마트 팩토리 수요 분석 결과 공정 완성도가 비교적 높은 자동차, 공장기계 산업군이 스마트 팩토리 수요층의 72.2%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 전기자동차기업 테슬라는 2019년 초까지 중국 상하이에 스마트 팩토리를 착공할 것이라 발표함. - 중국 전자 제품 대표 기업 하이얼은 자사 스마트 팩토리에서 세계 최초로 전 과정을 자동으로 세탁기를 제조함.
중국 내 산업별 스마트 팩토리 수요 비중
자료원 : 产业智能官
ㅇ 중국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업들은 솔루션보다는 로봇 제조분야에서 강세를 나타내는 추세임. - 로봇의 경우 자체 생산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솔루션은 해외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중국에 소재한 폭스콘 공장의 경우 스마트 팩토리 로봇은 자체 생산했지만, 운용 솔루션은 SK C&C에서 개발한 SCALA를 도입함.
□ 중국 스마트 팩토리 육성정책
ㅇ 중국은 2015년부터 <중국제조 2025> 정책을 추진, 2045년 글로벌 제조업 선도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고, ‘스마트 제조공정’은 5대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임. - 중국 정부는 2017년까지 스마트 제조 표준화 검증 프로젝트 428건 및 스마트 제조 시범 프로젝트 206건을 시행하는 등 제조업 선진화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중국 제조 2025 로드맵
자료원: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ㅇ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 관련 세부 정책으로 빅데이터, 로봇, 스마트 팩토리 관련 산업별 육성정책을 속속 발표함. - <2018 국가중점연구계획>에서는 네트워크 합작 제조 및 스마트 팩토리 관련 인력을 집중 양성한다고 밝힘. - <지능로봇 및 스마트 팩토리 가이드라인>, <빅데이터산업발전 13.5 규획> 등 정책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집중육성산업으로 지정함.
중국 주요 스마트 팩토리 육성정책
자료원: 중국 국무원, 딜로이트 중국 스마트 제조 보고서
ㅇ 각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에 정책에 발맞추어 스마트 팩토리산업 관련 계획 및 방안들을 발표함. - 일부 지방에서는 스마트 팩토리를 바탕으로 지방 특색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자 함. - 해당 지역 스마트 제조 우수기업들에 세금감면 및 금융 지원같은 방식으로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장려함.
지방정부의 스마트 팩토리산업 관련 정책
자료원: 정책별 원문 □ 중국 진출 스마트 팩토리 주요 기업 ㅇ 외국 기업들, 특히 독일 제조업기업들의 적극적인 중국 시장진출 상황이 돋보임. - 중국 정부는 2014년 11월 ‘독·중 협력행동강요: 공동혁신’을 발판 삼아 주도적으로 독일의 우수 제조기업들을 유치함. - 가격에 상관없이 완성도 높은 스마트 제조 기반시설을 희망하는 산업별 선두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독일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도입함. - 화웨이와 보강산철이 각각 훼스토와 지멘스의 합작 연구기관 또는 회사를 설립한 사례가 대표적임.
중국 시장진출 스마트 팩토리 관련 해외 기업
ㅇ 현재 중국 스마트 팩토리시장에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해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임. 중국 제조기업의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해 진출한다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중국 솔루션시장은 가격에 민감한 시장으로 이러한 특징등을 감안해 본격 진출 전 충분히 시장을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수립이 필요함.
작성자: KOTRA 난징 무역관 신명도 자료원: 중국 국무원, 중국 각 정부 부처, 바이두(百度), haier.com, 딜로이트 회계법인, 마켓앤마켓, SK C&C, LG CNS, 연합뉴스 및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