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아파트 경비원 44명과 입주민, 노동단체 관계자들이 경비원들의 해고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
전원 해고된 아파트 경비원 44명이 고용승계를 촉구하고자 거리로 나섰다.
서울 강서구 A아파트 경비원 44명 전원해고 대책위원회는 지난달 25일 강서구 A아파트 관리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위 결성 취지 및 활동 경과 ▲무인시스템 반대 입주민 발언 ▲경비원 발언 ▲기자회견문 낭독 등을 통해 경비원들의 안정된 일자리를 지켜달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대책위원회에는 A아파트 경비원 44명과 이 아파트 무인시스템 반대 입주민들, 노동단체 등 11개 단체가 참가했다.
위원회는 “1993년부터 각 라인에 경비원을 두던 아파트에 무인경비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지난달 29일자로 해고 예고가 돼 있었으나, 24일 경비원 상당수가 해고통지 문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위원회는 “무인경비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입주자대표회의는 2014년 4월과 지난해 5월 경비원 해고 안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했으나 부결됐음에도, 지난 1월 3차 주민투표를 불법적으로 진행했다”며 “아파트 관리규약상 주민투표는 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해야 하는데, 3차 주민투표는 대표회장 주관 하에 선거가 치러진 불공정 투표”라고 주장했다.
또한 “투표에 의해 660세대 중 406세대가 동의했지만, 90세대가 동의를 철회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8월 신임 입주자대표회장이 무인경비시스템 도입을 가결해 경비원 44명의 해고를 강행함에 따라 경비원 해고를 반대하는 입주민들이 대표회장 직무정지 해임투표 발의 공고를 지난달 14일에 진행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위원회는 “지난달 21일 입주자대표회의 정기회의 결과를 분석하면, 기존 경비비가 8억4000만원 정도이고, 무인경비시스템 입찰가격은 9억원이 넘는다”며 “무인경비시스템을 도입하면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주장하는 경비원 해고를 통한 인건비 절감이라는 논리가 무색하게 최소 6000만원의 관리비가 인상될 것이고, 추가로 공사비용 업계 평균 추정액인 7억~10억원의 장기수선충당금이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여기에 자동화시스템과 연동된 인터폰 설치 비용은 빠져 있어 30만~100여만원의 추가 비용을 각 세대가 부담해야 할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따라서 위원회는 “입주민들의 반대를 무시하고, 대표회장의 전횡으로 무인경비시스템이 도입되면 관내 아파트뿐만 아니라 서울과 전국 아파트에도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경비원 44명의 고용승계를 통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아파트 대표회장 B씨는 “시스템 도입은 작년 8월 장기수선충당금 정기 조정시 이미 의결된 사항으로 법률 검토를 거쳤다”며 자동화시스템 도입은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일부 입주민들은 대표회장 B씨를 상대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민사소송을 제기한 상태이며, 지난달 29일자로 경비원 44명은 해고됐다.
첫댓글 입대의 절차위반이 있는지는 제쳐두고..이런행위자체가 넌센스라고 봅니다.
만약 입대의가 절차에 따라 무인시스템으로 결정했다면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700세대로 안되는데 경비원이 44명이면 엄청많지 무인시스템하면 한꺼번에 목돈이 들어갈지 모르나
경비비와 비교하면 주민으로서 관리비절감효과는 있다고 봅니다.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면 그건 바로잡아야 겠지만
비용에서만큼은 문제가 있다고 봐집니다..
일년 경비비 세대당 평균 127만원
월 일십만원
저희집
개별난방 약 20만원
선택의 문제이지만 과하네요.
950세대 17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