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見利忘義)'…"의로움을 잊고 이익만 챙긴다"
고유선입력 2023. 12. 10. 15:02 합뉴스
전국 대학교수 1천315명 설문조사…2위는 '적반하장(賊反荷杖)'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가 쓴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견리망의' [교수신문 제공]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전국의 대학교수들은 올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로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라는 뜻의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1천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의 사자성어로 응답자의 30.1%(396표)가 '견리망의'를 선택했다고 10일 밝혔다.
'견리망의(見利忘義)'를 추천한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중어중문학과)는 "우리나라의 정치인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라며 "출세와 권력이라는 이익을 얻기 위해 자기편에 이로운 방향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한 경우로 의심되는 사례가 적잖이 거론된다"고 지적했다.
견리망의를 선택한 교수들은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들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나 자녀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 등도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교수들은 사회 전반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상실되는 시대가 됐다며 사회 지도층이 공동체의 의로움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2위는 25.5%(335표)를 얻은 '적반하장'이 차지했다. 적반하장(賊反荷杖)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이다.
적반하장을 추천한 이승환 고려대 명예교수(동양철학)는 "국제외교 무대에서 비속어와 막말을 해놓고 기자 탓과 언론 탓(을 하고), 무능한 국정운영의 책임은 전 정부 탓(을 하고), 언론자유는 탄압하면서 자유를 외쳐대는 기만을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위는 24.6%(323표)를 얻은 '남우충수(濫竽充數)'가 차지했다.
남우충수(濫竽充數)는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함부로 피리 부는 악사들 틈에 끼어 인원수를 채운다'는 뜻으로 실력 없는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한다.
cindy@yna.co.kr
------------------------------------------------------------------------------
남우충수(濫竽充數)
(1) 뜻
소리 나지 않는 피리(피리를 불 줄 모르는 악사)로 숫자를 채우다. 가짜 악사로 머릿수를 채우다.
능력이 없는 자가 능력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거나, 실력이 없는 자가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2) 출전
「제(齊)나라 선왕(宣王)은 우(竿, 생황) 합주를 좋아했는데 반드시 3백 명이 함께 불도록 했다. 남곽처사(南郭處士)가 왕을 위하여 우를 불겠다고 청원하였다. 선왕이 이것을 기뻐하여 수백 명 분의 곡식을 주었다. 선왕이 죽고 민왕이 즉위했다. 민왕은 한 사람 한 사람씩 부는 것을 듣기 좋아했다. 처사는 도망쳤다.(齊宣王使人吹竿, 必三百人. 南郭處士請爲王吹竿, 宣王說之, 廩食以數百人. 宣王死, 涽王立. 好一一聽之. 處士逃.)」
이 이야기는 《한비자(韓非子) 〈내저설 상(內儲說上) · 칠술(七術)〉》에 나온다. 한비자는 여기에서 임금이 신하를 다스리는 일곱 가지 방법을 설명했다. 첫째, 여러 가지 일의 발단을 참고하여 볼 것, 둘째, 잘못된 일은 반드시 처벌하여 위엄을 밝힐 것, 셋째, 잘한 일은 상을 주어 능력을 다하게 할 것, 넷째, 매일 신하들의 의견을 들을 것, 다섯째, 의심나는 명령을 내려 보고 일부러 잘못된 일을 시켜 볼 것, 여섯째, 아는 것을 숨기고 물어볼 것, 일곱째, 말을 거꾸로 하여 반대되는 일을 시켜 볼 것 등이다. 한비자는 그 실례로 남곽처사가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연주 때마다 악사들 속에 섞여 흉내만 내는 방법으로 후한 대접을 받은 이야기를 들었는데, 여기에서 ‘남우충수’라는 말이 나왔다. ‘남취(濫吹)’, ‘남곽남취(南郭濫吹)’, ‘남우(濫竿)’라고도 한다.
(3) 용례
조사에 의하면 20퍼센트만 열심히 일을 하고 나머지 80퍼센트는 일하는 척만 하면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묻어간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이 세상에는 ‘남우충수’에 불과한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