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힘, 쇄신한답시고 좌파 어젠다에 골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사건 1심 징역형이 나온 이후 국민의힘이 대야(對野) 공세에 과몰입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나서 이재명 공격에 집중하다 보니 ‘오버’한다는 얘기다. 이재명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를 앞두고 징역형을 기정사실화하는 등 사법부 압박으로 보이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정작 여권의 숙제인 쇄신을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다.
국민의힘이 믿는 결정적인 무기가 이재명의 사법 리스크라는 것, 마찬가지로 민주당과 이재명의 유일한 무기가 김건희 여사 문제라는 것은 정치권뿐만 아니라 국민적 상식이다. 좀 고상한 표현을 빌리자면 ‘적대적 공존’ 관계로 자신의 생존을 상대에게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나라의 운명을 이들에게 맡겨야 하는 국민의 처지가 딱하고 안타까울 따름이다.
민주당이야 절대다수 의석을 장악하고 있어도 기본적으로 야당이다. 이들에게 국정 실패의 책임감 따위는 애초에 기대할 수 없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다르다. 5년간 자신에게 주어진 국정 운영의 기회를 반드시 성공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그래서 2027년 정권을 재창출해야 한다. 이것이 2022년 대선에서 국민이 이들에게 맡긴 역사적 소명이다.
국민의힘도 이런 사실을 의식하고 있다. 민생경제 종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당 차원의 특별위원회를 발족한다는 것도 나름 고민의 소산이다. 각종 민생 현안을 발굴해 현장을 방문하고 해결책을 찾는다는 것이다. 한국노총과 중소기업 경영진을 찾아 ‘민생’과 격차 해소를 강조했다. 경력 단절 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체인력 지원금을 확대하는 등의 법안도 추진한다고 한다.
국민의힘 쇄신 노력에서 중요한 것은 그 방향성이다. 민생이니 격차 해소니, 경력 단절 여성이니 천편일률적으로 좌파의 어젠다에 몇십 년 동안 등장해온 화두들이다. 대한민국 정치권은 그래서 좌우 진영의 구별이 사라졌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저런 좌파 어젠다에 소홀했나? 정반대다. 그 결과가 산업 경쟁력의 추락 등 총체적인 경제 위기다.
이러다가는 동덕여대 총학생회를 찾아 "더 열심히 투쟁하라"고 격려할 판이다. 한동훈 대표 등 뒤에 숨어 귀를 붙잡고 있다는 좌파들의 존재를 의심하게 된다. 국민의힘의 진짜 고민은 김 여사가 아니라 이들일지도 모른다.
관련기사
자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