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V리베이트 혐의로 복지부에 이첩된 8개 제약사들의 표정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전전긍긍’ ‘유감과 우려’의 모습이 역력해 보입니다.
특히 혐의를 인정한 1곳의 제약사를 제외한 나머지 7곳은 ‘강한 부정의 목소리와 암묵적 인정의 입장’ 등 다소 상반된 모습을 보였지만 당해 사안이 복지부로 이첩된 사실에 대해서는 우려와 유감의 뜻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당해 제약사들이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우려와 염려의 뜻을 나타내고 있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바로 리베이트 혐의를 조사하기 위한 정부의 실사와 압수수색.
이 과정에서 더 많은 리베이트 문건 발견 시 자칫 ‘약가인하 폭탄’을 피해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해 제약사들은 ‘리베이트 연동 약가인하의 시범케이스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태산입니다.
<인터뷰>A제약사 관계자: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자료(조사결과)를 복지부에 이첩한 것은 분명 잘못된 판단이라고 생각되구요, 많은 제약사들이 리베이트 자정 노력에 동참하고 이 같은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진짜 청천벽력같은 소리죠.”
때문에 업계 관계자들은 사실관계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그리고 악의적 리베이트 신고·조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인터뷰>B제약사 관계자:“진짜 다음에는 형평성의 문제가 생기는 거죠. 그걸 매번 다른 외부(복지부ㆍ공정위)에 넘기면 유통부조리신고센터 존재 의미가 없어지는 거고….”
<인터뷰>C제약사 관계자: “유통부조리신고센터로 접수된 리베이트 접수 건을 복지부나 공정위로 이첩하지 않더라도 자체 징계에 대한 명확한 선별기준 확립과 조사기준도 의문스럽고….”
하지만 이와 관련해 유통부조리신고센터 관계자는 “이른바 6하 원칙에 근거한 리베이트 접수문건을 바탕으로 진위 조사가 진행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며 “리베이트 조사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공정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약협회로부터 당해 사안을 이첩받은 현시점에서 과연 복지부가 ‘실사와 압수수색’이라는 고강도 카드를 꺼내들지 아니면 근거자료의 불명확성을 이유로 ‘혐의 없음’의 판단과 해석을 내릴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데일리팜뉴스 김지은입니다.
[영상뉴스팀]=노병철·김판용·김지은 기자
|
|
데일리팜 영상뉴스팀 기자 기사 입력 시간 : 2009-12-08 06:20:3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