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3D프린터 어디까지 왔나 | ||||||||||||||||
---|---|---|---|---|---|---|---|---|---|---|---|---|---|---|---|---|---|
작성일 | 2013-06-27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심재희(칭다오무역관) | ||||||||||||
--> -->
중국, 3D프린터 어디까지 왔나 - 중국에서도 산업화 박차 - - 향후 가장 큰 3D프린터시장으로 떠오를 것 -
□ 3D프린터란?
O 3D프린터는 인쇄 대상의 3D데이터에 근거, 물리적 재료를 이용해 인쇄 대상을 입체적 물품으로 만듦. - 작업원리는 인쇄 대상을 3D데이터로 전환한 후 가로로 잘게 잘라 분석해 한 층씩 쌓아 올리며 모양을 형성하고 층별로 점진적으로 재료를 축적시켜 3D 실물로 만드는 것 - 3D 프린터는 전통적 재료 가공기술에 비해 복제효과, 속도, 가격과 사용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우위
O 3D프린터 기술은 제조업 영역의 중대한 기술혁명으로, 제조업 전반에 보편적으로 보급될 경우 생산효율 제고 및 비용절감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전망 - 기존에는 특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맞는 설비, 금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물량이 보장돼야 생산을 할 수 있었으나 3D 프린터를 활용하면 대량 생산은 불필요하며 생산주기가 단축돼 기계가공과 금형이 필요없기 때문에 생산비용 절감과 원자재 낭비 감소효과가 있음.
O 주요 응용분야 - (의료분야, 보석장식과 명품, 건축분야) 3D프린터는 치과와 정형외과에서 이식물을 제조하는데도 많이 사용됨. 보석장식 디자인과 건축분야에서도 20%의 성장률을 보임. - (항공, 우주비행과 자동차분야) 3D프린터 기술은 항공과 우주비행, 자동차제조 분야에서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생활영역, 소규모의 개성화된 생산) 생산영역에서 3D프린터 기술은 개성화, 복잡성, 고난도의 생산기술에 뛰어나며 전통 제조업과의 서로 상호보완 관계를 이룰 것으로 보임. 3D프린터는 작고 가벼우며 개성화돼 주문제작에 뛰어남.
□ 전 세계 및 중국시장 규모
O 전 세계 시장규모 - Wohlers Associates의 보도에 따르면 2012년 전 세계 3D프린터시장 규모는 22억40만 달러로 작년대비 28.6% 성장함. 2015년에는 37억 달러, 2020년에는 52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됨.
2010~2012년 전 세계 3D프린트시장 규모 (단위: 억 달러)
자료원: Wohlers 沃勒斯
O 중국 내 시장규모 - 중국 3D프린터기술산업협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중국 3D 프린터시장 규모는 10억 위안. 2015년 말까지 중국 3D 프린터기술 시장규모는 매년 2배 이상의 속도로 성장해 규모 100억 위안에 달할 것이며,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3D프린터시장이 될 것이라고 예측함.
□ 중국의 주요 3D프린터 기업들 어디까지 왔나
O 중국에는 현재 100여 개 3D프린터 설비 제조상과 대리상이 있음. 3D기술 연구기구는 칭화대학, 시안교대, 화중과기대, 베이징항공대, 시베이공대, 중항공업베이징항공제조공정연구소 등이 있음. 시안교대는 지금까지 5개 품종, 11개 시리즈 제품을 개발함.
O 주요 기업 현황
□ 중국 주요 3D 프린터기술 산업화 사례
O 항저우셴린3D주식회사(杭州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 저장지역 3D프린터 선두기업 중 하나인 항저우셴린 3D기업은 각종 첨단3D 프린트서비스를 제공, 새로운 제품 개발 중 제품 설계, 샘플 제작, 제품소량 시험제작 등을 업무로 함. - 3D프린터 설비 공급업체로 대부분 기업이 구매하는 공업 프린터 설비를 제조하고 2012년 상반기의 판매량은 1000대 정도로 작년대비 60% 증가함. 한 대당 가격은 1만 위안에서 수백 만 위안까지 다양
O 징둥상청(京东商城) 인터넷쇼핑몰 - 미국 CUBE의 개인 3D프린터를 판매. 가격은 1만4999~3만1999위안으로 하루에 1~2대 판매 중 - 3D프린터 재료인 ABS플라스틱은 700위안 정도에 판매됨. - 3D프린터기술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3D프린터가 인터넷 쇼핑몰과 체험관에서 판매량 증가 추세
□ 3D프린터기술 발전 병목과 향후 발전방향
O 산업발전의 병목 - (소모품): 프린트 가능한 재료종류가 적음. 강도와 질감 조건부합이 어려움. - (표준): 통일된 업계표준이 없음. - (응용): 응용분야가 상대적으로 제한적 - (자본): 티타늄합금 등 관련 재료 단가가 높아 3D프린터 가격도 높음. - (시장): 시장규모가 작아 성숙기에 접어들지 못함. - (기술): 금속재료프린트와 3D모형 설계가 어려움. - (효율): 단품인쇄 시간이 오래 걸리며 대량생산을 할 수 없음.
O 향후 발전방향 - 중국 3D프린터시장은 신흥기술이기 때문에 설비가격이 높은 등의 병목현상이 있지만 3D 프린터체험관, 3D청첩장, 3D핸드폰케이스, 3D게임 캐릭터 모형, 보석 디자인 등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산업화 단계로 나아감. - 중국 내 3D프린터 보급이 확산될 경우 쉽게 복제품을 만들 수 있거나 범죄 등에도 악용될 소지가 있어 이를 대비한 제도적 보호장치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음.
자료원: 신화망, 국제상보, 코트라 칭다오 무역관 자체조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