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직교절환 실패로 인한 "교류모진"발생시에 교본에 명시된 현상과 조치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실념으로 인해 직교절환 미취급 상태에서 교류구간에 진입하려 할 시
- 가선전압이 없는(절연구간)에 진입했으므로 0.5초 후(시한계전-DCVRTR에 의해) MCB 차단
- 이 상태에서 교류구간에 진입해도 MCB는 재투입 되지 않음. 이 상태에서 ADS를 돌리면 MCB가 투입됩니다.
- 단 66미터의 절연구간을 0.5초 이내로 통과한다면 MCB 차단전에 교류모진이 발생할 수 있음.
2. ADS를 교류로 절환했으나 MCB가 차단되지 않았을 때(즉 MCB ON등은 꺼졌는데, OFF등이 점등되지 않은 - MCB양소등)
- 이 상태로 교류구간 진입시 교류모진 발생(전차선 단전 - 즉 ACV등 소등, 고장등(Fault) 점등, 모니터엔 "AC과전류" 고장 표시)
- 이 경우 기관사는 EPanDS 취급 후 최근정거장 도착 즉시 해당 유닛을 "완전 부동 취급(해당 유닛만 팬터그래프를 내려 완전 차단)" 후 잔여 유닛으로 운행
3. ADS를 교류로 절환하여 MCB가 차단됐는데 절연파괴가 발생해 전류가 샜을 경우
- 주휴즈(MFs)가 터집니다. 즉 교류기기 사용이 불가능 해집니다.
- 교류 진입 후 확인이 가능한데 정상적으로 투입이 되어보이다가 60초 후 모니터에 "주변압기 오일모터 고장" 표시가 뜨면서 해당 유닛의 MCB가 차단(즉 MCB양소등), 고장등 점등이 발생합니다.
- 역시 이 경우에도 기관사는 해당 유닛을 완전부동 취급합니다.
휴... 일단 기본 개념만 이렇습니다 -_-;;;
- 역행넛치를 OFF위치에 두지 않고 ADS를 돌리면... 일단 MCB는 차단되므로 역행도 자연스레 차단되지요.
- 절연구간 통과 후 MCB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라면 위의 모진이나 기계적 고착에 의한 투입불능 상황입니다. 이 경우에는 최근역에서 완전부동취급합니다.
- 임의의 고장상황 연출이라... 기관사 면허 시험의 기능시험 고장 조치사항은 60가지가 넘습니다만 이중에서 주로 나오는 것을 한가지 정도 설명하자면 운행 중 갑자기 출입문(DOOR)등 소등이 발생했을때(이 경우 즉시 정차하여 출입문 상태를 모니터로 확인 후 이상 없을시 출입문 비연동 스위치(DIRS)를 취급)가 가장 좋겠군요^^
첫댓글 번거롭게 해드려서 죄송한데 '완전부동취급'이라 함은 정확히 어떤 조작을 취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지요?
또한 사구간을 완전히 통과 후에 MCB가 투입되지 않은 유닛이 있을 경우 그 조치법도 설명해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완전부동취급이란 해당 유닛의 팬터그래프를 완전히 내려 작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입니다.
- 해당 유닛의 배전반에서 ADAN,ADDN,PANVN 순서로 세개의 차단기를 내림
- 해당차에 관련된 Tc나 T1에서 IVCN을 내려 연장급전
- PAN상승, MCB투입
- 절연구간 통과 후에도 MCB가 투입되지 않았을 경우는 MCBOS->MCBCS 스위치로 MCB 재투입을 시도해 보고 안될 경우 해당 차량을 완전부동취급합니다
두 분 모두 친절히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헌데 한 질의에 모순되는 답변이 있는데 실념으로 인해 절환 미취급 시 최근 정거장 도착 후 MCB 투입의 가능여부가 두 분 말씀이 다르시군요. 제작자로서 혼동이 됩니다.
철도박사님 말이 맞습니다. 교류구간 진입해도 MCB는 차단상태가 되지만 이 상태에서 ADS만 돌려주면 MCB는 바로 재투입됩니다^^
모순되는 답변이라기보다는 차가 정상일경우 ADS취급을 안했을때 상황과 MCB차단이 어떤 이유로 안되서 보호작용이 이루어졌을경우의 차이입니다 어떤 차량의 mcb가 들러붙어서 안떨어지는 경우같이 MCB차단이 안되는경우엔 부동취급 혹은 완전부동취급을 해야겠지요
음... 아닙니다. 제가 787-ARIAKE님의 글을 잘못 읽어 모순이라고 한 것 입니다. 지적하실 부분이 있다면 나중에 차량이 어느 정도 구현이 되면 그때 부탁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