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오미크론 전략으로 엄격한 바이러스차단 모델인 3T-“test(검사), trace(추적), treat(치료) -에서
“중점방역” 으로 변경하고 있습니다.
집단면역을 목표로하는 새로운 정책에 따른 우려와 향후전망을 알아봅니다.
[Weekender] How South Korea went from ‘test, trace, treat’ to ‘let it spread’ Omicron revives talk of herd immunity
(주말판) 한국은 왜 3T정책에서 오미크론 확산정책으로 집단면역에 대한논의를 재개하는가?
By Kim Arin 김아린 기자
Published : Feb 4, 2022 - 13:04 Updated : Feb 5, 2022 - 16:03
South Korea is determined to go easy on omicron, which is behind the ongoing record surge in COVID-19 patients, in the hope that the new dominant variant will not be as bad as the ones that came before.
한국은 코비드19확진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새로운 우세 변이바이러스가 지난번 보다 위험성이 높지 않기 바라며 오미크론에 대해 덜 강경한 대응을 하기로 결정했다.
But is this reckless?
그러나, 이것은 경솔한 조치인가?
The rationale for the shift to the omicron response plan is that the new variant is less threatening than its predecessor, delta, the government says.
정부는 새로운 변이바이러스가 이전의 델타보다 덜 위협적이어서 오미크론에 대한 대응을 변경하기로 한 이유이다.
Messaging from health officials surrounding omicron has been consistently hopeful.
오미크론에 대한 보건당국의 메시지는 일관되게 희망적이다.
Son Young-rae, spokesperson fo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said that “half of omicron infections are asymptomatic.”
보건복지부 손영래 대변인은 “오미크론 감염의 절반은 무증상” 이라고 말했다.
“So far omicron poses no cause for alarm,” he has said in several public appearances, including official briefings. “Omicron is shown to be only one-fifth as lethal as delta.”
“이제까지 오미크론은 경계할 만한 사태가 발생하지않았다.” 고 공식브리핑을 포함한 몇차례 공식석상에서 말했다.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 치명율이 1/5 정도이다.”
He said the transition was further justified by the sharp increase in hospital capacity. The critical care bed count in the country has been expanded twofold to over 2,300, compared to before the devastating surge in December.
그는 이 변화가 병원수용능력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12월에 급증으로 중환자 병상수를 2,300개이상으로 배 이상 늘렸다.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won Jun-wook, has said that if omicron is found to be as mild as early reports suggest, there may come a point over the year when masks are no longer mandatory, except around vulnerable people.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오미크론이 보고서와 같이 가벼운 것이라면 취약계층을 제외하고 일반인들이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될 때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On top of the reassurances, references to “herd immunity,” a term that had faded out of the government’s COVID-19 discourse since the ascent of the delta variant, have made a comeback. 이런 안심속에 델타바이러스가 재발하여 정부의 코비드19 담론에서 사라진 “집단면역” 이라는 용어가 다시 돌아왔다.
Son said in a Jan. 25 radio interview that the herd immunity phenomenon was occurring in countries hit earlier by omicron, and that it could be a possibility for Korea.
손원장은 1월2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오미크론이 이미 크게 발생한 국가에서 집단면역현상이 일어나고 한구에서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As a milder virus assumes dominance, intense social distancing should be a thing of the past, he said. With the omicron strategy, Korea departs from its rigorous virus containment model of 3T -- “test, trace and treat” -- and moves to what has been termed a “focused protection” approach.
약한 바이러스가 우세해지면 강력한 거리두기는 과거의 산물이 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한국은 오미크론 전략으로 엄격한 바이러스차단 모델인 3T-“test(검사), trace(추적), treat(치료) -에서 “중점방역” 으로 변경하고 있다.
The new strategy includes restricting the most accurate PCR testing to select groups, cutting hospital stays and quarantines, putting general practitioner offices in charge of care for nonhospitalized patients and letting people contact trace themselves.
새로운 전략은 정확성이 높은 PCR 테스트는 선택된 집단에만 시행하고 병원체류와 격리일수를 단축하며 일반진료소에서 재택환자를 돌보고 환자자신이 증상을 추적하게 하는 것이다.
As the grip on mitigation methods eases, settings with vulnerable people like nursing homes face tighter screening, with health care workers required to be tested more frequently than before.
조치가 완화되면서 보건의료종사자들이 전보다 검사를 더 자주하는 등 요양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치밀한 보호가 요구된다.
And although herd immunity has never been officially declared the aim, some experts suggest the plan carries such undertones.
집단면역이 공시적으로 선언되지않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조용히 계획을 제안하고 있다.
Dr. Peck Kyong-ran, a former chief director of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said in a social media statement on Jan. 24 that the omicron measures put forth so far are “prone to accelerating the spread.”
전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백경란 박사는 1월24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현재의 오미크론 대책은 “확산을 가속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Patients being missed by low sensitivity rapid antigen tests will go on to spread it in the community. After the shortened isolation expires, patients would still be capable of infecting others. Being doubly vaccinated doesn’t prevent people from transmitting the virus and yet they are exempt from quarantine following exposure,” she said.
“민감성이 낮은 신속 항원검사에서 빠진 환자들이 사회속에 확산될 것이다. 짧은 격리기간이 후에 환자들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 2차접종을 했다고 해도 바이러스 전이를 막을 수 없고 격리가 면제된 사람들도 노출을 피할 수 없다.”고 그녀는 말했다.
“It seems like the plan is to have more in the herd become immune through infection.”
“계획은 집단이 더 많은 감염을 통해 면역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Dr. Paik Soon-young, an emeritus professor of microbiology a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greed that though health officials wouldn’t admit it explicitly, the new measures being implemented seemed to point to letting the virus spread naturally.
카톨릭대학교의 미생물학과 명예교수인 백순영 박사는 보건당국에서 명확히 인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바이러스를 자연스럽게 확산시키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 동의했다.
The premise underlying Korea’s plans for omicron and its implications are bringing flashbacks to the Great Barrington Declaration of October 2020, which proposed better protecting high-risk populations while letting those who aren’t as at-risk live near-normal lives as an alternative to lockdowns or “zero-COVID.”
한국의 오미크론 대책과 의미는 고위험군을 보호하고 위험이 없는 사람들은 사람들에게는 봉쇄의 대안으로 “제로코비드”라고하는 정상생활을 하는 2020년 10월의 영국의 정책과 비슷하다.
The declaration, laid out by three scientists and endorsed by hundreds of thousands more, according to its website, sparked a heated debate then and drew criticism from public health experts.
3명의 과학자가 준비하고 수십만명이 지지한 웹사이트는 논란을 일으켰고 공공보건당국 전문가들의 비판을 받았다.
On how and if the focused protection approach would work now that omicron is around, Dr. Jerome Kim, director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said, “The answer will be surrounded by caveats.”
오미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집중보호정책에 대해 국제백신연구소 소장 제롬 김 박사는 “이 대책이 위험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He said, “We are in a much different place with regard to the virus than in October 2020, in vaccines and therapeutics.”
그는 “우리는 백신과 치료제에 있어서 2020년 10월과 훨씬 다른 상황에 있다” 고 말했다.
Success would depend on masks, distancing and frequent screening of health care workers and full vaccination -- meaning a full initial series of shots and a booster -- of the elderly and those most at risk, he said. Consideration was in order for vaccinating children, as any population that remains unvaccinated has the capacity to spread it to other people.
성공여부는 마스크, 보건의료종사자와 취약계층과 노인들에 대한 완전접종 – 1,2차 접종과 부스터 샷 – 에 대한 점검에 달려있다고 그는 말했다. 백신 미접종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확산될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에 대한 접종도 고려해야한다.
He called for caution against the idea of herd immunity with omicron.
그는 오미크론과 함께 집단방역을 하는 아이디어에 주의를 요망했다.
“We should be cautious in assuming that omicron is the end and herd immunity will be established. Assuming that the virus is evolving for our benefit may be premature,” said the vaccine institute chief. “This is the point where we need to wait for the numbers.”
“우리는 오미크론이 끝나면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제에 조심해야한다. 바이러스가 우리의 생각대로 진화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수 있다.”고 김박사는 말했다. “우리는 숫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시점에 있다.”
Regarding omicron, he said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it is possible to be reinfected, and likely there are new strains out there that can escape prior immune responses.”
오미크론에 대해서 그는 “재 감염될 수도 있고 종전의 면역반응을 피할 수 있는 새로운 우려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As we speak, another version of omicron, the BA.2 strain, which is even more infectious, has become dominant in Denmark and India, he said.
그는 감염력이 높은 오미크론의 다른 버전인 BA.2가 덴마크와 인도에서는 우세종이 되었다고 말했다.
“Can (the BA.2 strain) infect a previously omicron infected person? Probably not, but it has 20 additional mutations not found in the original omicron and spreads 1.5 times faster.”
“BA.2 변종이 오미크론에 감염되었던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을까? 아마도 그렇지 않겠지만 오리지날 오미크론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20개의 변종이 있고 1.5배이상 빠르게 확산된다.”
He went on,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egin to work with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track outbreaks and variants to ensure we are not caught off-guard by ‘pi’ or ‘rho’ -- what works for omicron might not work as well for the next variant of concern.”
그는 계속해서 “한국정부는 'pi' 또는 'rho'에 의해– 오미크론이 다음 변종바이러스에 작용하지않는 - 허를 찌르지 않는 변종과 확산을 추적하기위해 세계 각국과 협조하기 시작해야 한다.
Paik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aid, “Omicron, with its astounding transmissibility, comparable to measles, forces this compromise.
카톨릭대학교의 백교수는 “오미크론은 홍역에 비해서 놀랄 만한 전파력을 가지고 이러한 타협을 강요하고 있다.
“Our COVID figures are about to skyrocket. The strategy is about prioritizing so that resources go to those who need it most and systems would not be overwhelmed.”
“우리의 코비드 확진자는 급증하기 직전이다. 대응전략은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그리고 시스템이 압도하지 않도록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Because access to medical services is restricted, one of the most critical challenges is monitoring and detecting rapid deterioration in patients isolating at home. As of midnight Wednesday, 97,136 patients with active infections were under home isolation, more than double the count of 42,869 seen a week prior, approaching the manageable maximum of around 109,000.
의료서비스에 접근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도전은 집에 격리되어 있는 환자를 감시하고 신속하게 악화하는 것을 탐지하는 것이다. 수요일 밤 현재 97,136명이 재택격리 중에 있고 전 주의 42,869명 보다 2배이상 증가해서 관리가능 인원109,000명에 근접하고 있다.
“The thing about COVID-19 is that it tends to progress very fast. Unless we can identify patients with worsening signs or symptoms quickly and get them to hospitals, we may see a bed crisis worse than the December surge in the coming month,” he said.
“코비드19에 관한 사항은 대단히 빠르게 진전되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신속하게 병세악화의 신호를 규명하고 병원으로 이송할 수 없으면 향후 12월의 환자급증 사태보다 더 어려운 병상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The front lines are not ready for a shift to the omicron strategy, health care workers say.
보건의료종사자들은 일선 근무자들이 오미크론 전략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말했다.
Hospitals are already beginning to feel the strain, according to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Dr. Eom Joong-sik of Gachon University Medical Center, a government-designated COVID-19 hospital.
정부지정 코비드19병원인 가천대학 의료센터 감영의학 전문가인 엄중식 박사에 의하면 병원들이 이미 피로를 느끼기 시작했다.
On the government promise that a return to strict social distancing would be a “last resort,” Eom said that steps to stall the spread “should be implemented preemptively, rather than putting it off as last resort.”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마지막 대책” 이며 엄박사는 이 조치를 마지막 수단으로 하기보다는 선제적인 조치로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When cases start climbing disproportionately, the choice would be down to lockdown or letting the toll fall on patients,” he said.
“확진자가 불균형하게 증가할 때 선택은 봉쇄하거나 환자수를 줄이는 것이다.” 라고 그는 말했다.
Primary care physician Dr. Jang Hyun-jae said although clinics were told to care for nonhospitalized patients and take on testing, no guidelines were available on how this might be done safely. “For small offices, separating infected patients from other patients is practically impossible,” he pointed out.
일차진료의사인 장현재씨는 동네의원에서 비입원환자 진료와 검사를 하는 것으로 발표했으나 어떻게 안전하게 수행할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없다고 말했다. “작은 의원에서 감염환자와 일반환자를 구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Perhaps the most glaring loophole in the omicron response is that patients outnumbering bed availability is already expected. Forecasts show the size of the outbreak is on course to surpass the capacity of hospitals as calculated by the government, which is based on a maximum of 50,000 patients diagnosed per day.
아마 오미크론 대응의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환자가 가용병상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일일 확진자가 최대 50,000명일 경우 정부에서 계산한 병상의 수용능력을 넘어선다.
Dr. Jung Jae-hun, who models forecasts for the government as a COVID-19 adviser to the prime minister, said that he predicts a peak of around 100,000 new cases a day in the next five to eight weeks. In the past week, Korea has logged an average of 18,533 cases a day -- by far the highest ever recorded here.
국무총리에 대한 코비드19 자문교수인 정재훈박사는 정부에 예상모델을 제시했 는데 향후 5주에서 8주이내에 최고 100, 000명의 확진자를 예상했다. 지난 주에 한국은 일평균 18,533명을 기록해서 현재까지 최고치를 보였다.
Asked how the health care systems would hold up against an outbreak that large, Jung replied, “It wouldn’t.”
보건의료시스템이 확산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 까라는 질문에 정박사는 “불가능 하다” 라고 대답했다.
Ministry spokesperson Son admitted that after the switch to the omicron strategy, the ability to identify cases among people who are not a priority and control the spread could be undermined.
보건복지부 손 대변인은 오미크론 전략으로 변경 후 우선순위에 없는 환자를 규명하는 능력과 확산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인정했다.
“Still, the shift is necessary. The point is to make the system more sustainable against an avalanche of cases,” Jung said, adding, omicron was turning out to be even less severe than initially calculated.
“아직도 변경은 필수적이다. 핵심은 확진자가 폭증할 때 지속가능한 체계를 만드는 것이다.”라고 정박사는 말했고 덧붙여 오미크론이 당초 계산했던 것보다 덜 심각하다는 것이다.
Though health officials said the Pfizer oral antiviral treatment was expected to somewhat cushion the blow, its effect had been only slight so far, mainly due to how sparsely it is being distributed.
의료당국자들이 화이자의 항바이러스치료제가 다소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치료제가 거의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지금까지 미미했다.
In the two weeks after the first shipments arrived in mid-January, just 506 patients were prescribed the pill. A chief doctor at a public hospital in Seoul said the age cutoff of 60 and above and the many medications that it cannot be prescribed alongside, among other aspects, were preventing the pills from being used widely.
1월중순 첫번째 선적이 도입된 2주후 오직 506명에게 처방이 이루어 졌다. 서울의 공공병원의 주치의는 60세이상 연령제한과 함께 처방할 수 없는 많은 요인들이 먹는 약의 확산을 막고 있다.
Dr. Kim Woo-joo, an infectious disease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and president of the Korean Vaccine Society, argued Korea should “at least put up a good fight -- test extensively -- before retreating to a contingency plan, because it seems it is well within our capacity.”
한국백신학회 회장이며 고려대학교 질병감염 교수 김우주박사는 “비상대책을 실행하기전에 우리가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검사를 강화하고 적어도 최선을 다해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Recently an average of only 200,000 to 300,000 PCR tests have been carried out each day, far below the government-touted maximum capacity of 850,000.
최근 일일 평균 200,00~300,000 PCR 테스트가 시행되고 있는데 정부가 주장하는 최대능력인 850,000 회에 비해 훨씬 낮은 것이다.
Kim of Korea University said age-based prioritizations were neglecting people of younger ages with vulnerabilities. “The age criteria of 60 years for priority access is, if anything, too narrow. For people in their 50s the fatality rate is fairly high at around 0.3 percent.”
고려대학교의 김교수는 연령을 근거로 한 우선순위는 젊은 층의 취약성을 무시한 것이다. “60세 이상에 대한 우선접근은 폭이 너무 좁다. 50대도 치명율이 0.3%로 꽤 높은 편이다.
Though Korea is not the only country to take a more laissez-faire approach in response to omicron, it likely has larger susceptible populations because of low levels of infection until now, he said.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s seroprevalence survey of 994 people aged 10 to 94, conducted July-October last year, showed 67 percent of them had spike protein antibodies.
한국만 오미크론에 대해 자유방임정책을 쓰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감염율이 낮기 때문에 취약한 인구가 훨씬 많다고 말했다. 작년 7월부터 10월까지 질병관리청이 10세에서 94세까지 994명을 대상으로 혈청 유병율 조사를 한 결과 67%가 스파이크 단백질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There should also be a safety net for people who are being left out of surveillance with the limited availability, like people who can’t afford the 9,000 to 16,000 won ($7.50-$13.30) at-home test kit or the 5,000 won that is now required to get a PCR test when they have symptoms,” he said.
“9,000원~16,000원(7.5달러~13.3달러)하는 재택검사키트나 증세가 있을 경우 5,000원이드는 PCR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 안전망이 있어야한다.” 고 그는 말했다.
“If we fail to address people being sidelined, we risk turning the situation into some sort of survival-of-the-fittest experiment.” People who work with vulnerable groups question the viability of the promise of “focused protection.”
우리나 소외계층을 신경쓰지 않으면 일종의 적자생존 실험으로 상황으로 몰고가는 위험을 감수해야한다.” 취약계층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집중보호”에 대한 약속의 실현가능성을 의심한다.
Dr. Noh Dong-hoon, director of a nursing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pointed out that “people at higher risk, and those who work with them, do not exist in a bubble separate from the rest of the society.”
경기도 한 요양병원의 원장인 노동훈 박사는 “위험이 크거나 그런 사람들과 일하는 사람은 사회의 다른 사람들과는 별개의 거품 속에 존재하지 않는다.” 고 지적했다.
A government notice sent to nursing facilities nationwide on Jan. 26 said workers were mandated to take a PCR test two to three times a week, on top of rapid self-tests. They were to refrain from nonessential outings and gatherings in light of the dangers of asymptomatic transmission.
1월26일 정부는 전국적으로 요양시설근무자들은 1주일에 2~3회 신속항원검사는 물론 PCR 검사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했다. 그들은 무증상감염을 막기위해 불필요한 여행이나 모임을 삼가하도록 했다.
“Nursing (home) workers are being asked to practically limit their daily itineraries to their workplace and nowhere else, and stay isolated from families and friends,” he said. Despite the “impossible demands,” no compensation has come from the government, he added.
“요양원 근무자들은 일정을 근무장소로 제한하고 친구와 가족과는 격리되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불가능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의 보상은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The virus doesn’t discriminate. How do we stop it from getting to the more vulnerable among us?” posed Eom, who works with severely sick COVID-19 patients. “It’s not clear-cut like that.”
“바이러스는 차별을 하지 않는다. 우리들 사이에서 덜 취약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코비드19 중증환자와 함께 일하는 엄씨는 “그렇게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Kim of the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said it would be hard to protect older people who are not in nursing homes from those around them, some of whom may be asymptomatic. “In a sense then the elderly become ‘canaries,’” he said.
국제백신연구소장 김박사는 일부는 무증상일 수 있는 요양원에 있지않은 노인을 보호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어떤 면에서 노인층이 ‘탄광의 카나리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But does the altered strategy mean Koreans will have more freedom? Not necessarily, according to Jang Young-ook, a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tudying pandemic response policies among countries. 그러나 변경된 전략으로 한국인들이 더 자유로워 질까? 대외경제정책 연구원에서 각국의 팬데믹 대응정책을 연구하는 장영욱 연구원은 꼭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While the omicron plan is big on cutting down on administrative burdens, on an individual level the scope of freedom has not been expanded greatly, at least for the time being, he said. A cap on the size of social gatherings and nighttime curfews remain in place at least until Sunday. The mask mandate is also not going away anytime soon and QR code passes continue to be a requirement at most public places.
오미크론정책이 행정부담을 크게 줄였지만 현재로서는 개인적인 자유는 크게 확대되지않았다. 사회적 모임인원제한과 심야영업시간제한은 적어도 일요일까지는 계속된다. 마스크 착용의무도 곧 없어지지 않고 QR 코드패스도 대부분의 공공장소에서 필수요구사항이다.
The omicron strategy is “a declaration that society will no longer devote its resources to stopping the virus from spreading,” he said. “This, of course, must only proceed under the scenario that medical systems are able to handle the patient influx without collapsing.”
오미크론 정책은 “사회가 더 이상 그 자원을 바이러스확산을 막는데 쓰지 않을 것이라는 선언이다.”라고 말했다. “물론 이 정책은 의료체계가 붕괴되지 않고 환자유입을 감당할 수 있는 시나리오속에 진행해야 한다.”
Jang went on, “Such significant changes in policy are best preceded by efforts to build consensus through open, public conversations -- something that has been lacking.”
장연구원은 “이러한 중요한 정책변화는 공개적이고 공적인 토론 – 일부는 그렇지 못하지만 - 을 통해서 진행하는 것이 최선이다.” 라고 말했다.
“The less the government shoulders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 sickness, the fewer grounds there are for state interventions in personal behavior,” he said.
“개인의 질병에 정부가 책임을 덜 지울수록 개인행동에 정부가 개입할 근거가 줄어든다.”
#3T #집단면역 #요양병원 #재택치료 #PCR #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