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 |
가 흐르게 된다.
역방향 전류
그림 5-1(b)와 같이 pn접합 다이오드에 외부전압이 n형쪽에 +, p형쪽에 -가 되도록 가해질 때 역방향전압(reverse voltage) 또는 역방향 바이어스(bias)가 걸렸다고 말한다. 이때 다이오드를 통해 극히 미약한 전류 즉, 역포화전류(reverse saturation current)가 n영역에서 p영역으로 흐른다. 이 전류는 낮은 역방향전압에서 쉽게 최대치에 도달하며 역방향 전압을 높여도 그 이상 더 커지지 않으므로 역포화전류
(I_s ) |
라고 부른다.
다이오드의 전류식
이상적인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 = I_s (e^V/nV_T -1 ) |
위식에서
V_T = T / 11,600 |
(상온에서 26mV), T는 절대온도,
I_s |
는 역포화전류이고
n |
는 Ge에 대해서는 1, Si에 대해서는 2의 값을 가지는 정수이다. 위 식에서 보면 V=0이면 I=0이 되고 V > 0.1V인 경우
I CONG I_s epsilon ^40V |
에의해
I~ |
는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V < -0.1V인 경우
I CONG I_s |
로 포화상태가 된다. 그림 5-2는 접합 다이오드의 v-i특성을 나타내며, 그림 5-2(b)는 Germanium 다이오드와 Silicon 다이오드의 v-i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 5-2(b)에서 Si 다이오드는 약 0.7V, Ge 다이오드에서는 약 0.2 V 이상에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전압을 다이오드의 cutin 전압 또는 문턱전압 (threshold voltage)이라고 한다.
|
|
첫댓글 수고했어요. 0.1점 추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