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1. 담석증의 원인
콜레스테롤 담석 (Cholesterol Stones)
과학자들은 콜레스테롤 담석은 담즙내에 너무 많은 콜레스테롤 및 빌리루빈이 함유되거나 충분하지 않은 담즙산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밖의 다른 몇가지 이유등으로 담낭의 비워지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색소담석 (Pigment Stones)
색소담석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간경화증이 있는 환자, 담도계통의 염증이 있는 환자, 겸상적혈구성 빈혈(sickle cell anemia)와 같은 유전적인 혈액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 밖의 요인
단순히 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앞으로 더 많은 담석이 발생할 것이라고 믿어 왔지만 담석을 유발 시키는 다른 요인들 ,특히 콜레스테롤 담석의 다른 요인들,이 있다.
* 비 만(Obesity)
- 비만은 특히 여성에게서 담석 발생의 중요위험인자이다. 많은 임상연구에 의하면 중등도의 비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담석발생의 위험도가 증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만은 담즙내에 담즙산염의 양을 감소 시킴으로서 담즙내에 더 많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게 되며, 비만이 담낭의 비워짐을 방해 함으로써 담석발생의 위험이 증가된다.
* 에스트로젠(Estrogen).
- 임신시 , 호르몬 치료시, 피임시 나타나는 과량의 에스트로젠은 담즙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 시키고 담낭의 운동을 감소시킴으로서 담석을 유발시킬 수 있다.
* 인종(Ethnicity)
- 미국의 원주민들은 유전적으로 담즙내에 콜레스테롤분비량이 많은 경향이 있어 미국내에서 담석 발생률이 가장 높다. 미국 원주민 남자의 대부분에서 60세안에 담석을 가지게된다. 아리조나의 피마 인디안들은 여성의 70%에서 30세 이내에 담석을 가지게되며 ,멕시코계 미국인들은 모든 연령에서 담석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 성(Gender)
- 20세에서 60세 사이의 여성에서 남성보다 두배정도로 담석발생의 위험이 높다.
* 나이(Age)
- 60세이상의 사람에서 젊은 사람보다 담석발생의 위험이 높다.
*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Cholesterol-lowering drugs)
* 당뇨병(Diabetes)
* 급격한 체중감소(Rapid weight loss)
- 급격한 체중감소시에는 신체가 지방을 대사함으로써 담즙내로 분비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으써 담석을 유발시킬 수 있다.
* 금식(Fasting)
- 금식은 담낭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게되어 담즙이 콜레스테롤과 함께 과도하게 농축됨으로써 담석을 유발시킬 수 있다.
2. 담석의 증상
담석의 증상은 갑작스럽게 발생하기 때문에 담석의 공격(Attack)이라고도 불리운다. 일정하고 심한 통증이 상복부에 나타나며 빠르게 심해지고 30분내지 수시간 지속된다.
등쪽의 어깨사이에 통증이 발생한다.
우측어깨아래쪽에 통증이 나타난다
오심과 구토
증상은 지방질 섭취후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야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밖의 다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복부팽만감, 지방식이에 대한 불편함
산통(colic), 트림, 가스참, 소화불량
다음의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 식은땀, 오한(한축), 미열, 피부가 노랗게 변하거나 눈이 창백할 때 점토색깔의 대변
담석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증상이 없는 무증상담석증인 경우가 많다. 이를 조용한 담석(silent stone)이라고 표현하며,담낭,간, 췌장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치료할 필요가 없다.
3. 담석의 진단
대부분의 담석,특히 무증상의 담석,은 다른 문제가 있어 검사하는 도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증상의 원인이 담석으로 의심되는 경우 의사들은 초음파 검사를 선호한다. 초음파는 전기적파장으로 복강내 장기의 형상을 모니터에 출력시킨다.
복부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y)
- 초음파 검사는 담석을 진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검사법이 되었으며, 담도확장을 아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법이다. 그러나 담석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담낭내에 담즙이 너무 부족한 경우(담낭관을 담석이 폐쇄한 경우,담낭이 담석으로 가득 찬 경우)는 진단이 부정확 할 수도 있다.
담석주변으로 음향음영(Acoustic Shadow)과 환자의 위치변화로 중력에 의한 담석의 움직임이 확인되는 경우 진단율은 100%에 가깝다.
담낭조영술 (Cholecystogram, Cholescintigraphy)
- 특수한 요드조영제를 투여하여 일정시간동안 엑스레이를 담낭에 투사하여 영상을 얻는다.(엑스레이 촬영전날 경구로 요드알약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검사법은 담낭의 운동과 담낭관의 폐쇄를 보기위한 검사법이다.
내시경하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giopancreatography)
- 내시경을 위를 지나 소장까지 진행시켜 특수조영제를 담도내로 주입하여 담도내의 담석의 위치를 알고자하는 검사법이다.
혈액검사 (Blood Tests)
- 혈액검사는 염증,폐쇄,췌장염, 또는 황달등을 알아보기위해 사용한다.
단순복부촬영
- 급성복통이 있는 경우 단순 복부촬영은 우선적으로 시도되는 방사선검사이다. 일반적으로 단순복부촬영으로 담석을 발견하기는 어려우며 약 10~ 15% 정도에서만 나타난다.
복부컴퓨터단층촬영술 (Abdominal CT)
- 복부컴퓨터단층촬영술은 담석의 진단보다는 담낭암의 진단을 위해 더욱 유용한 검사법이다. 환자의 반수정도에서 석회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급성담낭염을 진단하는 매우 정확한 검사법이다.
담석증은 심장발작, 충수염(맹장염), 궤양, 과민대 장증상 , 열공탈장, 췌장염, 간염과 증상이 유사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4. 담석의 치료
증상이 있는 담낭담석의 치료는 수술적으로 담낭을 제거하는 것이다.(대부분의 경우 무증상의 담석은 치료하지 않는다).
미국내에서는 매년 약 50만명의 환자들이 담낭수술을 시행받는다. 담낭수술은 담낭절제술이라고 한다. 최근들어 담낭수술의 표준술식은 복강경 담낭절제술이다.
무증상의 담석을 가진 환자에게 수술을 권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 2cm이상의 담석을 가진 환자
* 담낭벽의 석회화가 있는 환자
* 장기 이식을 준비하고 있는 환자.
* 콜레스테린 침착증(Cholesterolosis)
* 선근종증(Adenomyomatosis)
* 경구담낭조영술상 담낭이 보이지 않는 경우
* 현재 증상은 없으나 급성담낭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 담낭에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복강경담낭절제술은 신체에 최소한의 피해만 주면서 담낭과 담석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입원기간이 현저히 감소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시술에 따른 사망률도 1%미만을 보이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담낭절제술 방법이며 시술 중 개복에 의한 담낭절제술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도 4-5% 정도 이다.
* 복강경담낭절제술의 장점
내용 |
기존의 개복술 |
복강경 수술 |
입원기간 |
평균 10일 |
2박 3일 |
음식물투여 |
수술후 3~4일 |
수술후 8시간 |
사회생활로의 복귀 |
평균 45일 |
평균 15일 |
수술후 통증 |
상대적으로 심하다 |
매우적다 |
미용효과 |
매우떨어진다 |
탁월하다 |
사회경제적효과 |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
탁월하다 |
담석의 비수술적 치료방법
* 담석용해요법
* 체외충격파 쇄석술
* MTBE 접촉성 용해요법
- 비수술적 치료방법은 적응증이 제한되어 있고 , 장기간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완치율이 낮으며,재발율이 높은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5.간호
수술 전
① 수술에 관한 절차와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② 복강경 수술도중 부득이한 경우 개복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③ 수술중 전신마취 때문에 통증이 없고, 수술한다는 것을 느끼지 못한다고 설명하며, emotional support를 한다.
④ V/S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수술 후
① 전신마취로 인해 오심과 구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② 마취로 인해서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서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③ 수술 시 복강경을 이용했기 때문에 난 종창 때문에 통증이 있다고 설명한다.
④ 통증이 심하면 간호사에게 이야기하도록 하며, 그 때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⑤ 수술 후 식이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 내용 참조)
⑥ 염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V/S을 자주(OP. V/S) 체크한다.
담석 수술 후의 식이요법
① 수술전에 통증이 심할때는 정맥주사로 영양을 공급한다.
② 증상이 가라앉으면, 저지방의 자극이 적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③ 수술후에는 가스가 배출되고나서 유동식을 주기 시작하여, 반유동식, 경식으로 교체해간다 ; 반유동식을 먹을때는 소화가 안되는 식물섬유나 기름이 많은 음식을 피한다.
④ 수술직후에는 되도록 지방섭취를 제한한다 ; 수술로 인해 지방 소화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되도록 지방함유 량이 적은 식품을 택한다.
⑤ 단백질은 필요량만 섭취하고, 당질을 중심으로 한 식사를 한다.
⑥ 회복기에 접어들면 지방섭취제한을 서서히 완화한다 ; 지방을 장기간 제한하면 필수지방산이 부족하게 되며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상태가 나빠진다. 하루에 큰 스푼 1-2개의 기름을 사용하여 사라다등을 먹을 수 있다.
⑦ 안정기가 되면, 지방의 소화능력이 회복되므로 보통식이 가능하게 된다.
⑧ 수술 후, 폭음, 폭식만 하지 않으면 반년이 넘어서는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다.
담석 수술 후 피하는 음식
; 튀긴 음식, 사라다 등 유지류, 기름기 많은 음식 - 중국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