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
오늘은 HAM 들이 이용하는 Logging S/W 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Logging S/W ( 교신일지 ) 은 통상 Log Book 이라고 하는 손 으로 기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문명의 이기인
컴퓨터를 이용, 각 종 기록을 작성하고, 검색, QSL 인쇄, AWARD 신청, LOTW 변환 등. 다양한 작업을 합니다.
관련 제품이 여러 종류가 출시되어 있고, 유료, 무료 제품등 다양 합니다. 여기서는 제가 그동안 많이 사용을
해 보았던 WRITELOG, DX4WIN, N1MM 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 한글화 제품인 HAM 2000 도 있습니다만, 유료이고 저에게 없어 설명을 못 합니다....ㅎㅎㅎ)
=====
통상 지금까지 우리들은 교신후 적는 교신일지를 수기로 작성을 하였읍니다. 기본적으로 날자와 시간.
교신 상대국, 주파수, 모드 ,신호 레포트 가 주가 되고 이름 주소 기타 등으로 기록을 합니다.
그러나 손으로 기록하는 수기 방식은 짧은 시간, 적은 수의 교신. 또는 평일 교신 등에는 유용하지만. 파일 업,
주말마다 열리는 각 종 콘테스터나. 이동 운영시에는 장비조작, 주파수 찾기 등....상당히 불편 합니다.
또한 CW 의 경우 수동으로 직접 송신하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 대부분 교신내용을 미리 기록하여 MACRO 를
이용하고, 거의 컴퓨터로 점수계산, 중복 확인, Log 업을 위한 Cabrillo file 변환등, 모든것을 다 처리합니다.
(고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25WPM 속도 이상은 글자가 화면에 찍혀 나옵니다.ㅎㅎㅎㅎ )
( 하지만 거의 자신의 귀로 들어야 합니다...ㅎㅎ)
컴퓨터 키보드의 평션키 에 미리 송신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합니다.
(F1= CQ CQ DE HL5YI K , F2= %C(상대방콜) 5NN TU , F3= CFM TU QRZ....)이런식 입니다....ㅎㅎ
주) 사용 S/W 에서 CW 송신 창을 열고 컴퓨터 키보드에서 바로 입력 송신도 가능합니다.))
특히 콘테스터의 경우 교신후 점수 계산을 해야 하는데. 이것을 수작업으로 하기에는 너무 불편합니다.
( 이것을 콘테스터 모듈이라고 하여 전세계의 각종 컨테스터와 관련하여 80% 이상 만들어져 있읍니다...
N1MM, WRITELOG 의 경우 )
( 컨테스터 교신후 혹 틀린것 확인 후 ADI 파일로 변환하고 카브릴로 파일 변환후 이-메일 발송하면 끝)
특히 중복교신의 경우는 제외되어야 하는데. 이런것을 정리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필수가 됩니다.
또한 이동운영의 경우에는 일반 교신이 아닌 그야말로 잠깐의 교신이기에...... 엄청나게 빠른속도로 상대방과
교신해야 하고 모든것을 처리해야 합니다.
역시 컴퓨터의 힘을 빌려야 합니다...모든 기록을 컴퓨터로 하고 ADI 파일로 저장 하고, CW KEYING 도 컴퓨터 키 보드로 하고. DVK 라고 하여 자신의 CQ 목소리를 미리 녹음하여 MACRO 기능을 이용 송신가능합니다...)
( 통상 SSB 콘테스터의 경우 CQ 내는 목소리와, 응답하는 소리가 다른 경우 입니다...확실히 차이납니다...)
이래서 탄생한것이 모든 기록을 도와 주는 것이 LOGGING S/W 입니다...
대표적인 한글 제품이 HAM2000 많이 사용됩니다 만, 요즘은 판매를 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WRITELOG ( 유료 제품 ) 콘테스터 전용이지만 일반 로깅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N1MM 의 경우, 무료 S/W 인 관계로, 전세계 콘테스터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점수 자동 계산 가능. ADI 파일 변환 가능 .
(( QSL 인쇄는 관련 S/W 마다 다르므로 따로 장을 마련하여 예기 하겠습니다. ))
=====
로깅용 S/W 종류
HRD( HAM RADIO DELUXE S/W ??) 요즘 인기 있는 S/W 입니다. 무료이고 각종 기능이 다 들어 있읍니다.
( 이 카폐에 많은 자료들이 나와 있읍니다.)
DX4WIN :(www.dx4win.com) 유로 입니다.
(각종리그제어및 qsl 카드 인쇄도 따봉 ( 적극 추천합니다...)
(( DX4WIN 의 경우 QSL 인쇄등 기능이 다양 하고, FT-8 모도 표시도 되지만 FT-8 S/W 와 연동은 안됩니다.))
N1MM 무료용 s/w 입니다... 저는 아직 미사용... 현재 열 공부 중 입니다....
((( n1mmwp.hamdocs.com/ )))
==>>> 이 S/W 가 무료 이므로 저도 이 S/W 공부를 좀 해야 겠습니다...
(((( 2020년 DX4WIN 정품을 구입했는데... FT-8 과 S/W 연동이 안되어 흑...흑.... ))))))
Mix w2 이것도 미사용..
logger 32 이것도 인기 있는 s/.w 입니다.. 저는 잘 모름.....ㅋㅋ
HRD DELUXE 제품도 있습니다....저는 잘 모름.....ㅋㅋ
요즘은 LO4OM S/W 가 인기 있습니다만... 저는 컴퓨터와 문제로 아직 미사용 중 입니다..
요즘 FT-8 하시는 분들은 거의 이 제품과 같이 사용을 한다고 합니다....( 또 공부를 ????? )
(( 인터넷 검색하시면 한글설명서 있습니다. 주변의 아시는 햄과 협력하여 팀 뷰 이용 셋팅도 가능 합니다. ))
(( 2022년 6월 현재 LO4OM2 V 2.5.2 까지 출시됨 ))
=====
저는 평소에는 DX4WIN 을 사용하고 컨테스터에는 WRITELOG 를 사용합니다.
(( 요즘은 주로 LOG4OM 2 를 사용 하고, 콘테스터는 WRITELOG. CW 는 DX4WIN 사용 하여 합치기 합니다. ))
교신을 마친후 교신기록을 ADI 파일로 상호 변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EXCEL 에서 불러와 저장도 가능합니다.)
저는 라이트 로그 에서 교신 ADI 변화하고 DX4WIN 에서 불러와 전부를 합치고,
여기에서 QSL 카드 인쇄하고 교신기록을 프린터 하여 따로 보관을 합니다....
=====
컴퓨에서 바로 타자 입력하면서 ,자료를 검색하다 보니, 구닫다리 컴퓨터 인지라. 사진들이 너무 커고, 캡쳐 등..
실시간으로 하다보니, 컴퓨터가 다운됩니다...ㅎㅎ
설명을 DX 입문 초보자를 위하여 가장 쉽게 한다고, 하지만 이해가 안 되거나, 의문점, 오타 등은....
바로 바로 지적 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 합니다..............
=============
내용속의 사진들은 전부 인터넷 웹 서핑으로 가져온것 들 입니다....
출처는 따로 표기 하지 않겠습니다...ㅎㅎ
=============
.이 자료는 다음 카폐의 제 카폐 에 있는 자료 입니다.
2020년 10월 작성한 자료 이므로 벌써 2년이 지났기에 LO4OM 같은 경우 설명이 부족 합니다.
LOG4OM S/W 의 경우 최근 효자 노릇을 하고 있지만, CW DVK 기능이 부족 합니다.
==> CW DVK 기능이란 .....
((( DVK 는 SSB 콘테스터에서 목소리를 미리 녹음 하여 평션 키를 눌러 송신을 기능 입니다 ,,, 만
CW 도 MACRO 에 입력하므로, 둘 다 우사한 기능이라 DVK 기능이라고 통 칭 합니다..ㅎㅎ))))
요즘은 디지탈 시대라 그런지 수신 CW 를 Decoder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에 나타내고.....( 예 CW SKIMMER CW GET..)
송신은 키보드에서 바로 키보드에 문자를 입력하면 자동 송신이 되는 그런 기능 을 말 합니다....
(( N1MM. DX4WIN,WRITELOG 등의 S/W 는 이런 기능이 다 있습니다. )
LOG4 OM 의 S/W의 경우 LOG4OM S/W + WINKEYER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합니다.
또 다른 방법은 최 신의 고 가격의 디지탈 기능들이 탑재된 무전기를 구입하셔야 합니다....ㅎㅎ
===
그래서 아직 일부 HAM 들의 자신이 그동안 사용하던 S/W 와 FT-8 S/W 를 따로 분리하여 사용을 하고,
나중에 ADIF 화일로 합치기를 합니다. ( IMPORT / EXPORT )
====
의문점 오타 리플 부탁드립니다.
2022년 여름 장마 비 속에서 ...
첫댓글 도움이 되는 글 감사드립니다
각각의 특성을 잘 언급해 주시고 필요한 기능들을 확인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잘 정리해주셔서 도움이 됩니다. 저는 종이 로그북 쓰다가 작년에야 로깅 프로그램을 설치했습니다. 저는 리눅스만 사용하기 때문에 CQRLOG를 사용합니다. 다행히 WSJT-X와 연동되어 모니터링, 메시지 컬러링, 알람, 로깅까지 됩니다. fldigi와도 된다는데 아직 안써봤습니다. 그리고 리그 컨트롤도 hamlib을 통해 잘 하고, 각종 온라인 로그와 QSL cfm 사이트들, qrz.com, hamqth.com과도 연동 잘 됩니다. 현재는 리눅스에서만 돌아갑니다. 아직 안쓰거나 뭔지 모르는 기능이 많습니다.
yi om님이 많이 요약 정리 해 주셨네요,,, 저는 로거32만 사용하는데 그것도 요즘 개점 유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