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 승씨(光山承氏) 시 조 휘(諱): 승 계(承 愷), 대장군(大將軍)
광산은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무진주인데 757년(경덕왕 16) 무주로 고쳤다. 진성여왕(眞聖女王: 제51대왕, 재위기간: 887 ∼ 897) 때는 견훤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신 검(神 劍)으로 토멸하고 군현을 정비할때 처음으로 광주라 칭하였다. 성종 때 해양현으로 불리우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일명 기양주)라 고쳤으며, 충선왕 때 이르러 화평부로 강등되어 공민왕 때 광주목이 되었다. 조선 성종조에는 현으로 강등되어 광산이라 칭하다가 연산군 때 다시 주로 승격하였고, 1895년(고종 32) 전국을 23부로 나눌 때 나주부 관할의 광주군이 되었다가 1935년 광주가 부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이 되었다.
광산 승씨는「여지승람」에 광주의 토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시조는 고려 정종 때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한 승 개(承 愷)로 전한다. 그러나 연일 승씨에서도 승 개를 시조로 받들고 있어 도원으로 추정되는데 상계를 고증할 문헌이 없어 정확하게 상고하지 못한다.「광산승씨족보」에 의하면 시조 개(愷)의 아들 성구(聖구)와 손자 명복(命福)이 고려조에서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고 하며, 8세손 교(敎:상명의 아들)는 1427년(세종 9) 진사시에 합격한 후 정언(正言)을 거쳐 봉렬대부(奉列大夫)로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역임하여 주부(主簿)를 지낸 봉선(奉先)·명수(명秀)와 함께 가세를 일으켰고, 설(渫)은 광해군 때 선무랑(宣務郞)으로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냈다. 그밖의 인물로는 경종 때 증광문과에 급제한 정조(鼎祚)가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첨지중 추부사(僉知中樞府使)를 지냈으며, 진복(進福)은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용양위 호군(龍 衛護軍)을 역임하여 광산 승씨의 가통을 지켰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광산 승씨는 남한에 총 140 가구, 648 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