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암집(時庵集) 조상우(趙相禹)생년1582년(선조 15)몰년1657년(효종 8)자하경(夏卿)호시암(時庵)본관양주(楊州)초명학성(學聖)특기사항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시직(李時稷), 황종해(黃宗海) 등과 교유
時庵集卷之五 / 雜著 / 靜退書院創建時。通諭士林文。甲戌。
인조 | 12 | 1634 | 갑술 | 崇禎 | 7 | 53 | 趙光祖와 李滉을 향사하기 위한 〈靜退書院創建時通諭士林文〉을 짓다. |
吾道之東。盖已久矣。道之所在。慕亦隨焉。不暇論世之先後。地之遠近也。惟我靜菴趙先生,退溪李先生。雖婦人小子。皆知其爲大賢君子。則雖其足跡未及到之地。亦可以立書院而享祀。使後學矜式焉。况敝郡之南五里許紫霞洞底。有箇一谷而靜退其名。則爲後學者。其可置諸尋常而視之乎。抑亦因其地名而慕之乎。噫。此一小谷。而兼得兩先生之別號。其不謂君子之谷歟。吾固知天作而地藏之。以啓兩先生之攸宅也。區內小生。仰兩先生之道與德。不啻若泰山北斗。則今因地名。而特發景慕之誠。其亦有所據耶。無所據耶。生等昔年。間遊於嶺之東南等地。觀夫列邑之書院。則江陵之邱山。以其與魯邱山名同。孔子是慕也。比安之董山。以其與漢仲舒姓同。董子是慕也。星州之川谷。以其地有伊川雲谷。故宋之程叔子朱夫子是慕也。其合而名之曰川谷者。栗谷先生云。退溪先生所定。然則無心而名焉者地也。而有意而取之者人也。人於斯地於斯。無古今而同。則其曰靜退。抑亦邱山川谷之類歟。嗚呼。邱山川谷。皆爲大聖大賢而設也。吾何敢比論於此。而以其着實處言之。則江陵之邱山。安得爲魯之邱山。星州之川谷。亦安得爲宋之伊川雲谷。而猶不敢泛視地名之美。而學校之外。又立書院。而私伸追慕之誠。則况靜菴,退溪兩先生。皆與我同國。而加有美地名於此。則其不爲兩先生而以伸追慕之誠乎。此固生等所以發論於同志。而鳩材聚粮。圖立書院者也。春三月始役。夏五月立柱。此乃兩先生之祠宇。而其爲從享。則况晩全洪先生。生兩先生之後。而慕兩先生之道。一生工程。不出誠敬二字。則其爲道與德。果爲如何。而在昏朝致仕一節。亦無非學力之喫緊處也。先生所居之地。雖曰溫牙兩邑之間。而所食之土。則實在敝郡。其遊觀蹤跡。數及於前所稱紫霞之洞,靜退之谷。此亦生等所以景仰而從享於兩先生者也。幸賴我明府誠篤尊賢。義重崇儒。皷諸生。經紀其事。然役鉅力綿。勢難獨成。與其半途而廢。曷若告急於列邑諸賢耶。簣土成山。涓流補海。伏願諸賢。無論尺布與斗米。以補萬一。則非但諸賢向慕先生之誠義深切而已。其於衛道之事功。豈曰淺淺也哉。
............................
時庵集卷之七 / 靜退書院追享祭文[觀瀾齋高晦撰]
高晦 | 1636 | 1711 | 濟州 | 汝根 | 觀瀾齋 |
猗歟先生。天姿拔華。學有淵源。情窮義理。鞱光養精。講禮玩易。道貫天人。德隆家國。名世文章。發揮經傳。孝友天至。鄕里從善。廢科言志。抗䟽論禮。顯廟臨溫。命旌 缺 義。朝野欽歎。士林矜式。睠玆儒宮。函丈攸設。爰擧盛禮。于以合享。景慕流芳。千古山仰。
附 春秋享祝文 遂庵權尙夏撰
道學純篤。士林尊師。
............................
* 정조실록 > 정조 15년 신해 > 2월 22일 > 최종정보
정조 15년 신해(1791) 2월 22일(정묘)
15-02-22[02] 사학 유생 이명오 등이 온양의 정퇴 서원의 위차 문제로 상소하다
사학(四學)의 유생 이명오(李明吾) 등이 상소하기를,
“온양군(溫陽郡) 설화산(雪華山) 아래에 정퇴곡(靜退谷)이란 골짜기가 있는데, 숭정(崇禎) 갑술년에 이 고을 사람 조상우(趙相愚)가 그 지명이 문정공(文正公) 조광조(趙光祖)와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의 별호와 서로 부합된다 하여, 드디어 사우(士友)들과 서원을 건립하고는 문정공과 문순공의 사판(祠版)을 봉안하고 향현(鄕賢) 문장공(文莊公) 홍가신(洪可臣)을 배식하였는데, 서원의 이름은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이 ‘정퇴 서원(靜退書院)’이란 네 글자를 직접 써서 달았습니다. 또 서원 옆에 충효당(忠孝堂)을 세워 증 영의정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과 증 참판 강봉수(姜鳳壽)를 배향했으니, 이는 역시 남강사(南康祠)에 별도로 한 사당을 세워 도 정절(陶靖節)과 진 요옹(陳了翁)을 제사한 전례를 모방한 것이었습니다. 그 뒤에도 향현(鄕賢)을 추가로 함께 제사지냈는데 한성윤(漢城尹) 맹희도(孟希道)도 역시 추가로 제사지내는 속에 들었습니다. 그 위차(位次)는 두 선생을 주벽(主壁)에 모셔 남쪽을 향하고 홍가신을 동쪽에 두어 서쪽을 향하고 맹희도를 서쪽에 두어 동쪽을 향하게 하였습니다.
그런데 작년 정월 충숙공(忠肅公) 유관(柳灌)을 추배하는 일로 몇 고을의 선비들이 본 서원에 모여 의논할 때, 맹흠요(孟欽堯) 등 수십 여 명의 사람들이 갑자기 자기 조상인 희도의 위차를 올려 모셔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기를 ‘우리 조상은 4백 년전의 명현(名賢)이시니, 마땅히 연대를 중시해야 한다. 어찌 배위(配位)를 낮출 수 있단 말인가. 마땅히 첫자리로 올려야 한다.’ 하였고, 신주를 내오는 고유문(告由文)을 지어 고했는데 그 내용에 ‘동포 선생(東浦先生)의 자리를 아래로 내려놓았으니 조(趙)ㆍ이(李) 두 선생의 혼령이 편안히 흠향하지 못한 지가 오래되었다.’ 하였습니다. 만약 평소에 두 선생을 업신여기는 마음이 없었다면 어찌 감히 신위를 멋대로 바꿀 수가 있겠습니까.
유생들이 감사에게 가서 글을 올렸더니, 감사가 판결하기를 ‘엄격히 금지시키고 그들에게 상소하여 임금의 처분을 기다리게 하라.’ 하였습니다. 청컨대 위차를 멋대로 바꾸어 혼란시킨 흠요의 죄를 다스리고 희도의 위패는 충효당에 옮겨 제사지내도록 하소서.”
하니, 상이 사액도 받지 않은 서원의 위차 문제를 가지고 임금에게까지 번거롭게 하는 것은 외람된 일이라 하여 성균관으로 하여금 소두(疏頭)에게 죄를 주게 하는 한편, 감사가 판결한 말이 일의 체모에 잘못되었다 하여 전 감사도 죄를 주게 하였다. 또 전교하기를,
“지방의 유생들이 올리는 상소는 태학에서 검토한 다음에 바치게 하는 것은 선조(先朝) 때 하교받은 확고한 법이다. 상소 속의 어구가 잘못되었는데도 태학에서는 한마디도 수정하자는 말이 없었으니, 역시 매우 놀라운 일이다. 태학의 재임(齋任)에게 벌을 주라.”
하였다.
[주-D001] 숭정(崇禎) : 명 의종(明毅宗)의 연호.[주-D002] 갑술년 : 1634 인조 12년.[주-D003] 도 정절(陶靖節) : 도연명(陶淵明).[주-D004] 진 요옹(陳了翁) : 진관(陳瓘).
ⓒ 한국고전번역원 | 권정안 (역) | 1993
.........................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 사전전고(祀典典故) / 서원(書院) / 홍충도(洪忠道 충청도의 별칭)
아산(牙山)
인산서원(仁山書院) 경술년에 세웠고 사액하였다. : 김굉필(金宏弼) 무오당적조에 들었다. ㆍ조광조(趙光祖)ㆍ정여창(鄭汝昌) 무오당적조에 들었다. ㆍ이언적(李彦迪) 명종 명현 ㆍ이황ㆍ기준(奇遵)ㆍ이지함(李之菡) 선조 때 사람 ㆍ홍가신(洪可臣) 호는 만전(晩全)이며 판서를 지냈다. ㆍ이덕민(李德敏) 처사이며 참봉을 지냈고, 호는 송파(松坡)이다. ㆍ박지계(朴知誡) 4인은 무신년에 추향하였다.
현충사(顯忠祠) 숙종 병술년에 세웠다. : 이순신(李舜臣) 선조조의 명신 ㆍ이완(李莞) 순인의 종자(從子)이다. 의주 부윤(義州府尹)을 지냈고 병조 판서를 증직하였다. ㆍ이봉상(李鳳祥)
온양(溫陽)
정퇴서원(靜退書院) 기사년에 세웠다. : 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맹희도(孟希道) 호는 동포(東浦)이며 수문제학(修文提學)을 지냈다. 사성(思誠)의 부(父)이며, 추향되었다. ㆍ홍가신(洪可臣)
충효사우(忠孝祠宇) 숭정 갑술년에 세웠다. : 이순신(李舜臣)ㆍ강봉수(姜鳳壽) 호는 창암(窓巖)이며 참찬에 증직되었다. ㆍ조상우(趙相禹) 호는 시암(時庵)이며 참판에 증직되었다. ㆍ강백년(姜栢年)ㆍ윤현(尹俔) 호는 양심당(養心堂)이며 도사(都事)를 증직하였고, 추향하였다.
...........................
일성록 > 정조 > 정조 19년 을묘 > 9월 14일 > 최종정보
정조 19년 을묘(1795) 9월 14일(임술)
19-09-14[05] 내각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서(全書)를 인쇄하여 반포하라고 명하고, 이어 전서를 인쇄할 비용을 하사하였다.
○ 이에 앞서 내각의 신하에게 명하여 이순신의 전고(典故)와 유고(遺稿)를 모아 한 책을 완성하게 하라고 명하였는데, 이때가 되어 편찬하여 올렸다. 전교하기를,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8책을 교정하여 편찬해서 올렸으니, 내각에서 40건을 인쇄하여 들이게 한 뒤에 10건은 서고(西庫)에 보관하고, 또 각 1건씩을 5곳의 사고(史庫), 홍문관, 성균관, 순천(順天) 충민사(忠愍祠), 해남(海南) 충무사(忠武祠), 통영(統營) 충렬사(忠烈祠), 남해(南海) 충렬사(忠烈祠), 아산(牙山) 현충사(顯忠祠), 강진(康津) 유사(遺祠), 거제(巨濟) 유묘(遺廟), 함평(咸平) 월산사(月山祠), 정읍(井邑) 유애사(遺愛祠), 온양(溫陽) 충효당(忠孝堂), 착량(鑿梁) 초묘(草廟)에 나누어 보관하고, 나누어 줄 것은 32건을 인쇄하라. 이 일은 충의를 드높이고 공로에 보답하며 무용(武勇)을 드러내고 공적을 표창하려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편찬할 때에 누차 부지런히 자문(諮問)하였으니, 이것을 인쇄할 때에도 특별한 조치를 해야 한다. 지금 내탕고(內帑庫)의 전(錢) 500민(緡)과 어영청의 전 500민을 내려 주니, 전서를 인쇄하는 비용에 보태게 하라.”
하였다.
[주-D001]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서(全書) : 정식 서명은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로, 1795년(정조19)에 정조의 명으로 이순신의 행적과 유고를 모아 간행하였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2] 순천(順天) 충민사(忠愍祠) : 순천부(順天府) 수군절도영(水軍節度營) 동쪽에 있다. 처음에 본영(本營)의 교리(校吏) 박대복(朴大福)이 조그마한 사옥(祠屋)을 지었다가 1601년(선조34)에 이항복(李恒福)이 통제사 이시언(李時言) 등과 함께 사당을 세우고 사액(賜額)을 받았다. 전라 우수사 이억기(李億祺)와 보성 군수(寶城郡守) 안홍국(安弘國)이 배향(配享)되어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3] 해남(海南) 충무사(忠武祠) : 해남현 용정리(龍井里)에 있으며, 1652년(효종2) 호남 유지들이 세웠다. 통제사 유형(柳珩), 영유 현감(永柔縣監) 이유길(李有吉)ㆍ이계년(李桂年) 등이 배향되어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4] 통영(統營) 충렬사(忠烈祠) : 통제영(統制營) 세병관(洗兵館)의 서쪽에 있다. 1606년(선조39)에 통제사 이운룡(李雲龍)이 왕명으로 세운 것으로, 1663년(현종4)에 해남의 충렬사와 함께 같은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5] 남해(南海) 충렬사(忠烈祠) : 남해현(南海縣) 노량(露梁)에 있다. 1658년(효종9)에 통제사 정익(鄭榏)이 세운 것으로, 1663년에 사액을 받았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6] 아산(牙山) 현충사(顯忠祠) : 아산현(牙山縣) 동쪽에 충무공의 무덤이 있는 곳에 있다. 1704년(숙종30)에 충청도 유생(儒生)들이 상소하여 사당을 세웠고, 1707년에 사액을 받았다. 이순신의 조카인 강민공(剛愍公) 이완(李浣)과 5대손인 충민공(忠愍公) 이봉상(李鳳祥)이 배향되어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7] 강진(康津) 유사(遺祠) : 강진현(康津縣)의 남쪽 고금도(古今島)에 있다. 이순신이 명(明)나라 수군 도독(水軍都督) 진린(陳璘)과 함께 관왕묘(關王廟)를 세웠는데, 1666년에 유비연(柳斐然)이 중수(重修)하고 두 사람을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에 배향하였다. 이후 관왕묘의 뜰에 있어 사액을 받지 못하다가 정조가 1781년(정조5)에 어필(御筆)로 탄보묘(誕報廟)라는 액자를 내려 주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8] 거제(巨濟) 유묘(遺廟) : 거제부(巨濟府)에 있으며, 통제사 이운룡이 세운 이순신의 사당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09] 함평(咸平) 월산사(月山祠) : 함평읍(咸平邑) 동쪽에 있다. 1712년(숙종38)에 고을 사람들이 이덕일(李德一)의 사당을 세웠는데‚ 1731년(영조7)에 충무공과 이덕일의 옛 사적이 당포(唐浦)에 있으므로 당포에서 멀지 않은 월산(月山) 아래로 옮기고 충무공을 주향(主享)으로 삼았다. 배향된 인물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義兵將) 이덕일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10] 정읍(井邑) 유애사(遺愛祠) : 정읍현(井邑縣) 남쪽 진산리(辰山里)에 있는데, 1681년에 이순신이 정읍 현감을 지냈다고 하여 고을 사람들이 만든 사당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11] 온양(溫陽) 충효당(忠孝堂) : 정퇴서원(靜退書院)이 온양군(溫陽郡) 남쪽 설아산(雪峩山)에 있는데,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제사 지냈다. 이곳 왼쪽 편에 충효당이 있어 충무공 이순신을 충(忠)으로‚ 창암(牕岩) 강봉수(姜鳳壽)와 양심당(養心堂) 윤현(尹俔)을 효(孝)로 모셔 제사 지냈다. 후에 충효당이 무너져 정퇴서원에 합사(合祀)하였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주-D012] 착량(鑿梁) 초묘(草廟) : 거제부의 착량에 있다. 왜적(倭賊)이 물러간 뒤 해상의 군인과 백성들이 충무공의 충절에 감동하여 초가집을 짓고 공을 제사 지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제자료 http://e-kyujanggak.snu.ac.kr 검색일:2011.5.18.》
ⓒ 한국고전번역원 | 이강욱 (역) | 2012
........................
李忠武公全書卷之十一 / 附錄三 / 祠院錄[參議尹行恁]
歲壬子。內閣奉聖諭若曰。忠武公李舜臣勳烈範金石。聲名耀華夷。而平日咳唾之餘。諸家紀述之衆。尙未有會統文字。大爲欠典。爾其裒輯成帙。名之曰李忠武公全書。臣行恁承命悸恐。謹就其家乘。附以公私文獻。編爲十五卷。竊惟忠武公旣樹膚功。因殉于節。凡於戰伐之地。生長之鄕。罔不俎豆之。其旌纛所莅。草木猶愛。况妥靈之祠院乎。用朱子大全附載例。迺廼作祠院錄。
忠孝堂
靜退書院。在湖西溫陽郡南雪峩山下。祀靜菴,退溪兩先生。左旁有忠孝堂。祀忠武公及姜牎巖鳳壽,尹養心堂俔。忠武公則以忠。牎巖,養心堂則以孝也。後因堂頹。合祀於書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