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친람(萬機親覽) - 임금이 모든 업무를 친히 살피다.
[일만 만(艹/9) 틀 기(木/12) 친할 친(見/9) 볼 람(見/14)]
삼베, 무명, 명주 따위의 피륙을 짜는 베틀이 機(기)다. 날줄과 씨줄을 모두 아울러야 베를 짤 수 있는데 그것이 萬機(만기)나 되니 온갖 것이 다 포함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임금이 보는 여러 가지 정무나 정치상의 온갖 기밀을 뜻하게 됐다. 이것을 몸소 살펴보니(親覽) 임금이 모든 정사를 친히 보살피는 것을 말한다. 지도자가 모든 일을 맡아 처리한다면 일사천리로 나아가 백성들이 안심하고 자기 생업에만 열중할 수 있다. 반면 세세한 규제도 많아질 테니 일장일단이 있다.
모든 정사를 자기 손을 거쳐 행하게 한 사람으로 중국 秦始皇(진시황)을 꼽는다. 하루 결재서류를 매일 일정한 무게에 달할 때까지 집무했다고 한다. 淸(청)나라 5대 雍正帝(옹정제)는 지방관들과 비밀편지를 주고받느라 밤을 지새웠다. 우리나라의 성군 世宗(세종)이나 正祖(정조) 임금도 널리 국정에 관한 의견을 구하고 현안을 직접 챙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 년간 밤낮 혼신의 힘을 기울여 한글을 창제하는 등 실제 선정이 따랐지만 이 당시에도 건강을 걱정하거나 사소한 일까지 처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상소가 있었다고 전한다.
‘書經(서경)’ 虞書(우서)에 舜(순)임금에게 신하 皐陶(고요, 皐는 언덕 고, 陶는 질그릇 도, 사람이름 요)가 말했다. ‘하루 이틀 사이에 만 가지 사단이 생기니 여러 벼슬아치들이 일을 저버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一日二日萬幾 無曠庶官/ 일일이일만기 무광서관).’ 幾는 기미, 조짐을 뜻하는 機와 통해 여기에서 萬機(만기)가 유래했다. 규모가 작았던 나라에선 국정을 모두 살피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잘 하는 정치로 여겼음직하다. 하지만 數米而炊(수미이취)에 나온 대로 쌀알을 세어가며 밥을 짓는 것은 작은 집에서는 통하지만 나라를 경영할 때는 큰 것을 바라봐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한 조직을 이끌며 모든 일에 능통하면 물론 유능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반면 복잡한 여러 부서의 일을 실무자에게 맡기고 더 큰 구상을 하는 것만 못할 때도 많다. 모든 일에 자기 손을 거쳐야 직성이 풀린다면 부하직원은 손을 놓는다. 지난 박근혜 정권 때 많은 일을 자격도 없는 최순실을 거치게 하여 망하는 길로 들어섰다. 문재인 정부도 각 부처의 장관을 넘어 청와대에서 정책을 좌지우지한다는 말을 들었다. 서로 얽혀있는 국정을 처리할 때는 손발이 맞아야 한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이런 역사이야기는 없었다 => http://app.danolja.co.kr/app.php
#오늘의 고사성어 더보기 http://bit.ly/2WpBpY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