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도 9월에 아버지가 갑자기 쓰러지시고 응급실을 가셨는데 인지저하가 오시고 해서 서울대 병원으로 가니 뇌로 전이가 됬다해서 항암후 인지저하도 회복되시고 괜찮으셨습니다
2월달에 항암 마무리후 전공의 파업으로 인해 3월에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못하시고 대기하시다가 4월중순부터 저림증상이 생기셔서 4월말에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갔는데 검사결과 이상이 없으시다해서 신경과 연결해주셔서 진료보는중 5월중순쯤에 섬망증상이 살짝 오셔서 서울대 병원 응급실가서 mri 찍으시고
5.30일날 외래때 척수에도 전이가 되셨다고 4기가 되셨습니다.
바로 다음 5.31일날 요추천자 시술을 통해 척추에 mtx 항암을 투여하시고 퇴원하셨습니다
오늘 6.2일 집에가보니 아버지 기력이 없으시고 계속 누워만 있으시고 목소리에도 힘이 너무 없으세여 대화하기도 힘들어 하시더라구여 화장실을 가셔도 뒷처리를 안하시고 거동도 많이 불편해지셔서 부축을 해드려야합니다
여태까지 이런적은 없으셨는데 mtx 부작용으로 인해 인지저하나 거동이 불편해지신걸까요??
mtx 항암 투여후 24시간 이후 6.1 오후3시부터 해독제를 6시간 간격으로 6번 먹으라해서 드시고있는데 해독제 먹다보면 부작용 괜찮아 지실까요??
뇌척추로 전이되면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지도 궁금해서 글 남깁니다.
p.s 교수님이 이제 생명연장 목적으러 항암하는식으로 얘기를 했다는데 항암후 조혈모세포이식하고 완치판정 받기 힘드신건가여? 교수님이 척수로 전이가 되는게 가장 우려된 상황이라 얘기하셨다는데 조혈모세포이식을 빨리 연결 안시켜준게 원망스럽게 찾아가서 따지고 싶네요.. 아버지가 4월에 응급실 가신후 그 이후에 조혈모세포이식해주는 교수님을 연결시켜줬는데 5월에 조혈모세포이식해주는 교수님 만났을때 항암후 깨끗해졌을때 왜 바로 안왔냐고 했다하다라구요 바로 연결안시켜주고 환자 붙들고 있던건 이런것도 의료사고이지 않나 싶네여.. 3월에 조혈모 세포이식했으면 이렇게 힘드시진 않으셨을거같은데 왜 연결안해줬나 속상하고 무지하게 그냥 따지지더 않고 기다리기만 한 제 자신도 너무 원망스럽네여
안녕하세요 답이 늦었습니다. 지금 겪고 계신 증상이 중추신경계 병변 때문인지 MTX 부작용 때문인지 명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상태가 악화된다면 전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MRI를 다시 찍어 보셔야 합니다. 뇌척수 전이가 되었다 해서 치료가 안 되는 건 아닙니다. 뇌전이는 연수막 전이가 흔한데 진행되면 척수까지 쉽게 전이됩니다. 작년 가을에도 MTX 기반 항암을 하셨을 것 같은데 지금으로서는 재 MTX 투여에 관해가 되어 이식까지 무사히 마치시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장기 관해 + 완치의 가능성은 분명 있으실 겁니다. 단 항암에 효과가 없거나 병변 진행이 되는 경우 예후가 부정적이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그런 말씀을 미리 하신 것 아닌가 싶지만 그 경우에도 방사선과 다른 항암 옵션이 남아 있기 때문에 아직은 암울한 생각은 하지 마십시오. 현 항암에 좋을 결과가 있으시길요. 자가이식은 보통 막항후 최소한의 잔여질병으로 관해유지가 되어 있을 때 이식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예후에 좋다고 하여 채집이 되면 바로 이식에 들어가고 막항 후 이식까지 한 달정도가 평균으로 알고 있습니다. 늦어도 막항 후 2달 안에서는 이식을 합니다.
현재까지 주로 공격성 dlbcl(미만성거대b)또는 버킷 림프종에 의한 2차 CNS(중추신경계) 침범을 설명하는 림프종 사례가 대부분 발표되었음.그러나 이들 시리즈 중 일부에는 매우 드문 경우(0.01%)의 지연성 림프종이 포함되어있음. 과거 연구에 따르면 소포성 림프종은 2차 CNS 침범은 지연성 림프종 중 가장 빈도가 낮은 유형 중 하나였음.
* 위 논문에서는 6명의 소포성림프종(CNS 침범 사례) 환우들 사례가 보고 되었습니다. 2명은 수술+방사선으로 치료하였고 나머지는 수술+항암, 방사선+항암, 수술+방사선+항암으로 치료하였습니다. 소포성 림프종에 있어 2차 CNS(중추신경계)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 재발시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으로 형질변화가 일어난 후입니다.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의 경우 2차 중추신경계침범 확률은 보통 2%~5%이며 소포성이 경우는 케이스 스터디로 보고될 정도로 드물긴 합니다. 소포성에서 미만성거대로 형질변화된 경우 약 ~3% 미만에서 중추신경계 침범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가 논문마다 다른 건 전체 연구 집단을 어떻게 모집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만 지연성림프종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686012/ 이 논문에서는 9명의 소포성림프종 CNS 침범 사례가 발표되었고 위 첫 논문과 환자들은 겹칩니다. 9명 중 4명은 형질변화가 되었고 3명은 그대로 중추신경계침범 재발시 소포성림프종이었습니다.
지연성림프종이 형질변화되어 중추신경계침범이 된 경우는 공격성에 준하여 치료합니다. 즉 MTX 기반 항암 + 다지기/공고치료(이식 혹은 방사선)가 기본치료법입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제가 밤에 댓글 달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ㅜㅜ
제가 림프종에 무지해서 글을 두서없이 적어서 이상하거나 그런거 있음 말해주시면 다시 적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답이 늦었습니다. 지금 겪고 계신 증상이 중추신경계 병변 때문인지 MTX 부작용 때문인지 명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상태가 악화된다면 전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MRI를 다시 찍어 보셔야 합니다. 뇌척수 전이가 되었다 해서 치료가 안 되는 건 아닙니다. 뇌전이는 연수막 전이가 흔한데 진행되면 척수까지 쉽게 전이됩니다. 작년 가을에도 MTX 기반 항암을 하셨을 것 같은데 지금으로서는 재 MTX 투여에 관해가 되어 이식까지 무사히 마치시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장기 관해 + 완치의 가능성은 분명 있으실 겁니다. 단 항암에 효과가 없거나 병변 진행이 되는 경우 예후가 부정적이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그런 말씀을 미리 하신 것 아닌가 싶지만 그 경우에도 방사선과 다른 항암 옵션이 남아 있기 때문에 아직은 암울한 생각은 하지 마십시오. 현 항암에 좋을 결과가 있으시길요. 자가이식은 보통 막항후 최소한의 잔여질병으로 관해유지가 되어 있을 때 이식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예후에 좋다고 하여 채집이 되면 바로 이식에 들어가고 막항 후 이식까지 한 달정도가 평균으로 알고 있습니다. 늦어도 막항 후 2달 안에서는 이식을 합니다.
의료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보신 것 같은데 뇌전이가 된 경우 재발율이 높기 때문에 이식에 바로 들어가시지 못한게 아쉽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식 후에도 재발할 수는 있으니 이번에 꼭 이식까지 가시길 기도합니다. 직접적 도움은 안 되시겠지만 아래는 참고 논문입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804736/
현재까지 주로 공격성 dlbcl(미만성거대b)또는 버킷 림프종에 의한 2차 CNS(중추신경계) 침범을 설명하는 림프종 사례가 대부분 발표되었음.그러나 이들 시리즈 중 일부에는 매우 드문 경우(0.01%)의 지연성 림프종이 포함되어있음. 과거 연구에 따르면 소포성 림프종은 2차 CNS 침범은 지연성 림프종 중 가장 빈도가 낮은 유형 중 하나였음.
* 위 논문에서는 6명의 소포성림프종(CNS 침범 사례) 환우들 사례가 보고 되었습니다. 2명은 수술+방사선으로 치료하였고 나머지는 수술+항암, 방사선+항암, 수술+방사선+항암으로 치료하였습니다. 소포성 림프종에 있어 2차 CNS(중추신경계)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 재발시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으로 형질변화가 일어난 후입니다.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의 경우 2차 중추신경계침범 확률은 보통 2%~5%이며 소포성이 경우는 케이스 스터디로 보고될 정도로 드물긴 합니다. 소포성에서 미만성거대로 형질변화된 경우 약 ~3% 미만에서 중추신경계 침범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가 논문마다 다른 건 전체 연구 집단을 어떻게 모집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만 지연성림프종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686012/
이 논문에서는 9명의 소포성림프종 CNS 침범 사례가 발표되었고 위 첫 논문과 환자들은 겹칩니다. 9명 중 4명은 형질변화가 되었고 3명은 그대로 중추신경계침범 재발시 소포성림프종이었습니다.
지연성림프종이 형질변화되어 중추신경계침범이 된 경우는 공격성에 준하여 치료합니다. 즉 MTX 기반 항암 + 다지기/공고치료(이식 혹은 방사선)가 기본치료법입니다.
논문에서 발췌한 9명의 사례입니다.
정말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ㅠㅠ
네 작년에 치료할때도 MTX 항암을
정맥으로 입원해서 맞으셨습니다.
그때 맞을때는 이러지 않으셨는데 척수 전이가 너무 무섭네요..
아버지가 여태까지 항암할때 교수님이
약이 다 잘받으신다고 깨끗해지셨다가 재발을 하시긴한거지만 이번에도 다시
항암치료후 깨끗해지면 조혈모세포이식
더 강하게 부탁드려야겠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소포성에서 미만성거대로
형질변화가 일어나신거더라구요..
마지막으로 궁금한게 5월중순에 mri찍고 뇌척수 전이된거 알아도 6.11날 외래가있는데 한번 더 mri 찍어보는게 좋다시는거죠?ㅠㅠ
도움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스텔라님!
증세가 호전 되지 않거나 악화되시면 교수님께 말씀 드려서 다시 찍어 보십시오. 몸에 해가 되는 검사가 아니니까요..
넵 알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아버지가 오늘도 기력이 없으시고 말하기 힘들어하시지만 어제처럼 방에 누워만 있지않으시고 거실에서 tv도 보시고하시네요! 잘 지켜보다가 교수님한테 얘기드려야겠어여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