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 가는말
오늘은 대한민국 대표 명절인 추석의 역사적 유래에 대해 소개드린다.
추석이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
위, 중추가절(仲秋佳節), 음력 팔월 보름날 이라고도 한다.
■ 보름달의 의미
보름달의 기원은 고대로부터 달에 대한 신앙
에 그 뿌리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대로부터 날마다 세상을 밝혀주는 태양뿐만
아니라 한 달에 한 번 둥근 만월을 이루는것도 실로 고마운 일이다.
인간에게 어두운 밤은 맹수의 습격을 받을수
있는 공포의 대상이었지만 밤을 환히 비춰주
는 보름달은 참으로 고마운 존재로 여겨졌다.
달은 초승달처럼 기울었다가 보름달처럼 차
오르듯이 이는 마치 벼싺이 자라서 누렇게 변
한 벼알과 비슷하다.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이런 달의 모습과 농사
를 같은 것으로 보았다.
달의 형상 중에서도 풍요를 상징하는 보름달
을 중요시했기에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음력 8월 15일에는 큰 축제를 열어 기념했다.
즉, 고대에 보름달을 숭상하던 시대에 일 년 중에서 가장 달이 밝았던 한가위는 우리 민족 최대의 축제로 여겨졌고, 오늘날까지 추석이
라는 명절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 추석에 대한 역사기록
중국의 역사서에 신라에 관련된 기록이 있다.
'8월 15일이면 왕이 풍류를 베풀고 관리들을 시켜 활을 쏘게 하여 잘 쏜 자에게는 상으로 말이나 포목을 준다.'라고 적혀있다.
또한 '신라인들은 산신에 제사 지내기를 좋아
하며 8월 보름날이면 크게 잔치를 베풀고 관
리들이 모여서 활을 잘 쏜다'라고 적혀있다.
우리나라 역사 문헌에서 추석의 기원은 신라 유리 이사금(신라 유리왕) 편에서 찾을 수 있
다.
유리왕은 즉위 9년부터 전국 여자들을 두 편
으로 나누어 7월 16일 아침부터 8월 14일 밤까지 한 달 동안 집집마다 돌아가며 한자리
에 모여 길쌈 내기를 시켰고,
그 결과를 살펴서 진 사람이 술과 음식을 마련
하여 이긴 사람에게 사례하게 하였다.
이때 춤추고 노래하며 놀이를 하였는데 이것
이 추석의 원어인 '가배(嘉排)'다.
이를 통해 추석이 신라 초기에 이미 자리 잡혀
있으며,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명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신라 시대에 이미 명절로 자리 잡았던 추석은 고려에 와서도 큰 명절로 여겨져 9대 명절(설날, 정월 대보름, 상사, 한식, 단오, 추석, 중구, 팔관, 둥지)에 포함되었다.
이 명절들이 조선 시대로 이어졌고, 조선 시대
에 추석은 설날, 한식, 단오와 더불어 4대 명
절로 꼽히게 되었다.
추석 무렵이 되면 오곡이 무르익고 온갖 과일
이 풍성해진다.
그래서 이날에는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햇곡식
으로 만든 술과 햅쌀 떡에 햅쌀밥을 지어 조
상께 제사를 지내며 산소에 성묘하였다.
추석은 풍성함을 감사하고 나누는 날이라 아
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라는 말이 늘 풍성함을 기원한다는 의미였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 현대적 관점에서 필자가 보는 추석 함의
1. 조상님께 감사=범사에 감사
추석에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 감사함을 갖는
것은 일상생활에서도 범사에 감사하면서 살
아가라는 조상님들이 주시는 귀한 선물이다.
※ 필자는 오래전 108가지 감사함을 기록하다
보니 그 이후부터는 보이는 모든것에 감사함
을 느낀다.
2. 그리움을 해갈하는 단비
추석은 각박한 삶에 온 식구들이 오랫만에 맞
나 회포를 풀어 그리움을 해갈하는 단비와 같
다.
※ 필자는 2018년 상처후 독거생활을 하다보
니 추석이 다가오면 과거 어느때보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치다.
3. 농부처럼 모두는 풍요로운 보람을 창출
추석 무렵이 되면 오곡이 무르익고 온갖 과일
이 풍성해지듯이 우리 모두도 추석을 맞이하
여 풍요로운 보람들을 수확해야한다.
* 필자는 매년 추석을 맞이하면 과연 농부처럼
풍요로운 수확을 위해 열심히 살아왔는가를
자문해본다.
4. 어둠을 밝히는 보름달처럼 선행을 하자.
추석 명절 둥근달은 모든 생명체에게 어둠을 밝혀주듯이 우리 모두는 매일 한가지씩 선행
을 하면 어떨까 제안한다.
※ 젊었을 때는 목표지향적 삶이 필요하겠지만
중년부터는 선행과 같은 가치지향적 삶이 어
른다운 모습이 될 것이다.
한국문화안보연구원. 김명수(육사 31)박사
2024년 9월 17일
PS : 4대명절 : 설날(음력).단오. 한식.추석
ᆞ설날
삼국유사에 서기 488년 신라시대 비처왕 시
절 최초로 설을 쇠었다.
1910년 한일합방 후 문화 말살정책로 음력설 을 없애려했으나 실패했다.
1985년 음력설을 '민속의 날'로 이름 정하여 단지 하루 공휴일로 공포 하였으나
1989년 민속의 날을 다시 '설날'이라 이름을 바꿔 3일 연휴로 정하였다
ᆞ한식(양력 4월 5~6일)
한식은 동지후 105일째 되는날로서 양력 4월 5~6일이 된다. 한식은 말 그대로 찬 음식을 먹는날이며 이는 고대 중국에서 일정기간 불
을 멀리해야한다는 풍습에서 나왔다.
ᆞ단오(음력 5월 5일)
중국 초나라 회왕때 굴원이라는 신하가 온갖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위하여 멱나수
라는 강에 스스로 몸을 던져 목숨을 끊었는데 이날이 음력 5월 5일이었다.
그후 해마다 굴원을 위해 제사를 지냈는데 이
게 우리나라에 전파되어 단오가 되었다.
우리나라에 단오날에는 모내기를 한후 풍년
을 기원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며 활쏘기, 씨름등 민속놀이도 한다.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