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S research
Cured of HIV?
HIV(에이즈) 완치 성공?
Mar 4th 2013, 20:14 by G.C.
IN JOURNALISM, cynics suggest, three data points are enough to pronounce a trend. As of March 3rd, AIDS researchers hope that two might be sufficient.
냉소가들은 흔히 보도를 할 때 세 가지 자료만 있으면 트렌드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지난 3월 3일, 에이즈 연구진들은 두 개의 데이타도 충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On that day Deborah Persaud of Johns Hopkins University announced to the Conference on Retroviruses and Opportunistic Infections in Atlanta, Georgia, that a patient under her care had been cured of HIV infection.
이 날 존스 홉킨스 대학 데보라 퍼사드 박사는 조지아주 애틀란타에서 열린 "레트로바이러스와 기회감염"이라는 학회에서 에이즈 치료중이던 여 환자가 HIV에서 완치되었다고 발표했다.
The announcement was hedged in the usual caveats (“functionally cured” was the exact term used).
이 발표는 흔한 제약에 묶여 있는데 정확히는 "기능적 완치"라고 부른다.
But the bottom line was clear. Dr Persaud thinks her patient, a two-and-a-half-year-old girl whose identity is confidential, has joined Timothy Brown, a man known to many as the “Berlin patient”, as a human being who was once definitively infected with HIV and now no longer is.
그러나 핵심은 명백하다. 퍼사드 박사는 익명의 2.5세 여아 환자가 HIV감염에서 완치되어 "베를린 환자"로 잘 알려진 티모시 브라운의 뒤를 잇게 되었다고 말했다.
The facts of the case that Dr Persaud was prepared to make public are limited (the patient is, after all, a child).
퍼사드 박사가 공표하려고 준비했던 실상은 사실 이게 전부가 아니다.(결국 환자는 어린이고 보호되어야 하므로)
But the pertinent point is that she was born infected because her mother was infected and was treated with standard anti-retroviral drugs almost immediately and for 18 months afterwards. She was then lost track of for five months.
그러나 발표 사실 중 중요한 점은 에이즈에 감염된 엄마로부터 바이러스를 가지고 태어난 여자아이가 거의 생후 직후부터 18개월간 표준 안티 레트로바이러스 약을 투여받았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후 5개월간 병원을 찾지 않았다
When the child returned to doctors’ attention, they found the virus had vanished—and six months later, despite the fact that the girl is no longer taking anti-AIDS medicine, there is no sign of HIV having returned in force.
아이가 다시 병원을 찾았을 때, 의사는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없었다. 6개월이 지난 후, 항바이러스약을 투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HIV 바이러스가 대량으로 발견될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This is a result of great potential significance. Mr Brown’s cure was effected, accidentally, because his bone marrow (and thus the pertinent part of his immune system, which HIV infects) was destroyed and replaced during a course of treatment for leukaemia.
이것은 잠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결과이다. 브라운씨의 에이즈 치료는 그의 골수(따라서 HIV에 감염된 일부 면역체계 역시)가 파괴되었었고, 백혈병 치료중에 교체되었기에 뜻하지 않게 효과가 있었다.
That is hardly a viable approach for those who do not have that disease. But if HIV infection can be cured with drugs, as Dr Persaud’s observations suggest, a whole, new line of investigation opens up
이것은 에이즈 환자들에게 그렇게 가능성 있는 접근은 아니다. 하지만 만일 HIV감염이 약물로 치료될 수만 있다면, 퍼사드 박사의 관찰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치료연구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