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술 읽는 삼국지](5) 내가 천하를 배반할지언정 천하가 나를 배반하게 두지는 않겠소
중앙일보 허우범
2023.01.30 06:00
원소는 동탁과 일촉즉발의 난리를 벌인 후, 절(節)을 내던지고 자신의 본거지인 기주로 갔습니다. 화가 안 풀린 동탁은 원소의 숙부인 원외에게 진류왕 협을 황제로 세우는 것에 대해 협박하듯 묻습니다. 원외는 동탁의 의견에 무조건 따릅니다. 동탁은 뭇 신하들을 향해 더욱 큰소리로 외칩니다.
“감히 국가 중대사를 가로막는 자가 있다면 군법에 따라 처리할 것이다.”
아무리 망해가는 왕조이지만 아직 법도는 있을 터인데 동탁은 ‘군법(軍法)’을 내세웁니다. 예나 지금이나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는 자들에게는 군법보다 편리한 법령은 없습니다. 자신의 말이 곧 법이니까요.
동탁 [출처=예슝(葉雄) 화백]
동탁은 즉각 황제 교체를 단행합니다. 문무백관을 모아놓고 칼을 휘두르며 9살인 진류왕을 황제로 세웁니다. 이 황제가 후한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입니다. 동탁은 스스로 상국(相國)이 되어 권력을 장악합니다. 모든 신하는 황제를 알현할 때 세 가지를 법도를 따라야 했습니다. 하지만 동탁은 이러한 법도를 지키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바로 찬배불명(贊拜不名·황제를 뵐 때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입조불추(入朝不趨·조정에 들어가서도 빨리 걷지 않는다), 검리상전(劍履上展·검을 차고 신을 신은 채로 어전에 오른다)입니다. 동탁이 실질적인 황제인 셈입니다.
소제는 6개월간 황제 자리에 앉았다가 홍농왕(弘農王)으로 강등되어 하태후, 그리고 당비와 함께 영안궁(永安宮)에 갇힙니다. 슬픈 나날을 보내던 홍농왕은 제비 한 쌍을 보고 자신의 처지를 담은 시 한 수를 지었습니다. 이 시는 즉각 동탁에게 전해졌습니다. 동탁은 “원망의 시를 지었으니 죽일 명분이 생겼다”며 회심의 미소를 지었습니다. 하태후는 동생 하진이 무모하여 역적 놈들을 끌어들인 것을 통탄하며 죽었고, 홍농왕과 당비는 작별의 시를 한 수씩 주고받은 후 살해되었습니다. 당비의 애절한 이별가를 살펴보겠습니다.
皇天將崩兮后土頹
하늘이 무너짐이여, 땅 또한 꺼지려 하네
身爲帝姬兮命不隨
몸은 황제의 비가 됨이여, 목숨이 일찍 꺾일 뿐이네.
生死異路兮從此畢
죽음과 삶의 길이 다름이여, 이렇게 어그러지려 하니
奈何煢速兮心中悲
어찌타 홀로 외롭게 됨이여, 마음 가득 슬픔뿐이어라.
이제 동탁은 거칠 것이 없었습니다. 황궁에 들어가 궁녀들을 간음하고 용상(龍床)에서 잤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봄이 다가와 토지신께 풍년과 전염병 예방을 비는 마을을 급습해 장정들의 목을 베고 여자와 재물을 수레에 싣고 와서는 오히려 도적을 죽였다며 큰소리치고, 여자와 재물은 장졸들에게 나눠주었습니다. 그야말로 무도막심한 행동을 거리낌 없이 자행했습니다.
동탁의 공포정치가 극에 이르자 월기교위(越騎校尉) 오부가 동탁을 죽이려다가 실패했습니다. 동탁은 더욱 호위를 강화하고 감시합니다. 사도(司徒) 왕윤이 생일을 빙자하여 옛 신하들을 모아놓고 한탄하자 효기교위(驍騎校尉) 조조가 동탁을 주살하겠다고 나섭니다. 이에 왕윤은 조조에게 칠보단도(七寶短刀)를 주며 성공을 기원합니다.
조조가 동탁을 만나 죽이려 했지만, 거울을 보고 있던 동탁에게 들켜 실패합니다. 조조는 임기응변으로 동탁에게 칠보단도를 바치고 여포가 가져온 말을 타고 줄행랑을 칩니다. 동탁은 즉각 수배령을 내리고 조조를 잡는 자에게는 황금 천 냥과 만호후(萬戶侯)에 봉하겠다고 하였습니다. 밤낮으로 도망치던 조조는 중모현(中牟縣)에 이르러 진궁에게 붙잡혔습니다. 진궁이 조조의 죄를 캐묻자 조조는 “제비와 참새가 어찌 고니의 큰 뜻을 알겠느냐?(燕雀安知鴻鵠志哉)”며 일갈합니다. 현령인 진궁도 뜻이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조조의 비범함을 간파한 진궁은 오히려 자신의 관직을 버리고 조조와 함께 도망칩니다.
진궁 [출처=예슝(葉雄) 화백]
조조는 사흘을 달려 성고(成皐)에 이르자 부친과 의형제를 맺은 여백사를 찾아갔습니다. 여백사는 반갑게 맞이하고 식솔들에게는 돼지를 잡으라고 하고 자신은 술을 가지러 갑니다. 그런데 의심 많기로 으뜸인 조조가 ‘묶어 놓고 죽이는 것이 좋겠다’는 식솔들의 말을 엿듣고는 진궁과 함께 식솔 8명을 몰살합니다. 하지만 곧 일이 잘못되었음을 알고는 급히 집을 나서는데 여백사가 술과 안줏거리를 들고 왔습니다. 조조가 아무것도 모르는 여백사마저도 죽이자 진궁이 놀란 채 질책합니다. 그러자 조조가 말합니다.
“차라리 내가 천하의 사람들을 배반할지언정 천하의 사람들이 나를 배반하게 두지는 않겠소.”
진궁은 조조의 황당한 말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그는 밤이 깊어 객점에서 잠자리에 들자 조조의 행동을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그리고는 ‘이리 같은 심보를 가진 놈’을 믿고 따라온 자신이 후회스러웠습니다.
모종강은 촉한 정통론에 근거한 나관중의 『삼국연의』를 재편집하면서 ‘조조악인론’을 강화했습니다. 그러한 모종강이 조조가 여백사 일가족을 살해한 것에 대해 어떻게 평했을까요. 조조가 여백사 일가족을 죽이고 한 말에 대해 모종강은 다음과 같이 평했습니다.
여백사를 죽이는 조조 [출처=예슝(葉雄) 화백]
‘누구나 이 대목에 이르면 욕을 하고 꾸짖거나 죽이고 싶어질 것이다. 하지만 조조의 그러한 솔직함이 바로 보통 사람과 다른 점임을 알아야 한다. 내가 독자에게 묻겠다. 누가 이런 마음을 갖지 않았다고 할 수 있고 또 누가 당당히 나서서 이런 말을 입에 올릴 수 있겠는가? 도의를 강조하는 사람들은 이 말을 뒤집어 ‘차라리 남이 나를 배반할지언정 내가 남을 배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렇게 말하는 자들이 하는 짓을 보면 말과는 정반대다. 이들은 오히려 자신까지 속이며 조조가 한 말처럼 비열하게 행동한다. 조조의 생각과 말이 모두 소인배의 짓이라면 이들은 입으로만 옳은 말을 하고 생각은 그른 사람들이다. 때문에 조조의 발뒤꿈치도 따를 수 없는 자들이다. 나는 그래서 조조의 솔직한 점이 오히려 보통 사람들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이 세상은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들로 넘쳐납니다. 공자는 인물을 평가할 때 군자(君子), 광자(狂者), 견자(狷者), 향원(鄕愿)으로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향원’만은 상대하고 싶지 않다고 했습니다. 맹자는 공자의 말에 덧붙여 설명하기를, “향원의 말은 행동을 돌아보지 않고, 행동은 말을 돌아보지 않으면서도 입만 열면 옛 성인을 운운한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말은 언제나 번지르르하게 하고 행동은 전혀 다르게 하는 위선자인 것입니다. 모종강도 말과 행동이 다른 위선자들을 극도로 혐오하였기 때문에 간교한 조조에 빗대어 더 나쁜 사람들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술술 읽는 삼국지](6) 화웅의 목을 벤 관우, 호뢰관서 삼형제에게 혼쭐난 여포
중앙일보
2023.02.01 06:00
조조에게 실망한 진궁은 조조를 버리고 가족이 있는 동군(東郡)으로 갔습니다. 조조도 진류(陳留)로 돌아와 의병을 모집합니다. 이때, 효렴(孝廉) 위홍이 재산을 털어 조조의 의병모집을 지원해 줍니다. 하후돈, 하후연, 조인, 조홍 등 조조의 사촌 형제들이 장병들을 이끌고 참가하여 조조의 군세는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군사조직을 완비한 조조는 동탁을 토벌하자는 격문을 띄웁니다. 이에 17명의 제후가 응답합니다. 북평태수(北平太守)인 공손찬도 그중 한 명이었습니다. 평원현령(平原縣令)인 유비도 관우와 장비를 데리고 공손찬의 군대에 함께 참가합니다.
18제후들이 모두 모여 영채를 세우자 그 길이만도 3백여 리나 되었습니다. 18제후들은 4대에 걸쳐 삼공(三公)을 지낸 명문가의 후손인 원소를 맹주로 옹립합니다. 원소는 제후들을 거느리고 맹약서를 낭독했습니다.
‘한 나라가 불행하여 황조의 기강이 흐트러지니, 이 기회를 틈탄 역적 동탁이 멋대로 놀아나 그 화는 지존에 이르렀고 그 독은 백성에게까지 미치고 있습니다. 원소 등은 사직이 무너질까 우려되어 의병을 모아 함께 국난 극복에 나서고자 합니다. 이에 맹세를 어기는 자가 있으면 그 목숨을 잃게 되는 것은 물론 가족마저 씨가 마를 터이니 황천과 후토, 조상의 영명한 넋들이시여, 낱낱이 굽어살피옵소서.’
맹약서를 다 읽은 원소는 제물의 피를 마셨습니다. 다른 제후들도 돌아가며 마셨습니다. 모두가 맹약을 따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이러한 행위를 ‘삽혈맹서(歃血盟誓)’라고 합니다. 유비가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을 때도 삽혈맹서를 하였습니다. 협객(俠客)은 중국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삽혈맹서는 이들만의 특수한 신고식입니다. 이를 통해 죽음까지도 함께 하며 절대 배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18제후의 삽혈맹서는 깨지고 맙니다. 저마다 생각하는 것이 다른 까닭이었습니다.
연합군의 맹주가 된 원소 [출처=예슝(葉雄) 화백]
연합군에서 장사태수(長沙太守) 손견이 선봉으로 나서자, 동탁은 효기교위(驍騎校尉) 화웅을 시켜 사수관에서 이들과 맞서게 합니다. 그 사이 연합군의 제북상(濟北相) 포신이 먼저 공을 차지하려고 싸움을 걸었지만 화웅에게 패했습니다. 손견은 화웅과 일전을 벌이며 승기를 잡는 듯했습니다. 그러나 보급을 맡은 원술은 손견을 경계해 군량을 제때 보내지 않았습니다. 군사들이 배불리 먹고 싸워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데 쫄쫄 굶고서야 어찌 싸울 힘이 나겠습니까. 화웅이 한밤중에 들이닥치자 손견군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목숨이 위태해지자 손견은 자신이 쓰고 있던 붉은 수건을 부하 조무의 투구와 바꿔 쓰고 도망쳐야만 했습니다. 결국 조무가 손견을 대신해 희생됐습니다.
연합군의 제후들은 화웅의 기세에 눌려 누구 하나 나서는 자가 없었습니다. 화웅이 연합군의 영채 앞까지 와서 싸움을 걸자, 남양태수(南陽太守) 원술의 부장인 유섭과 기주목(冀州牧) 한복의 부장인 반봉이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두 화웅의 칼에 목이 잘렸습니다. 누구도 나서기를 꺼려할 때, 9척 장신에 두 자나 되는 수염을 휘날리며 우렁찬 목소리로 관우가 나섭니다.
“소장이 가서 화웅의 머리를 잘라 휘하에 바치겠소.”
원술은 관우의 직책이 마궁수임을 알고는 주제넘게 허튼소리를 지껄인다고 호통을 쳤습니다. 조조는 그런 원술을 타이르고는 관우에게 뜨거운 술 한 잔을 따라주며 응원했습니다. 그러자 관우가 멋진 말을 한마디 합니다.
술잔은 잠시 거기 놓아두소서. 제가 금방 갔다 돌아오겠습니다.
관우는 말을 타고 달려가 간단히 화웅의 목을 베었습니다. 그리고 돌아와 조조가 준 술을 마셨습니다.
“술이 아직도 따뜻하니 좋구려.”
관우가 술이 채 식기도 전에 화웅을 베었음에도 원술은 난리만 쳤습니다. 동탁을 무찌르러 모인 자들이 공은 세우지도 못한 채, 오히려 공을 세운 자를 헐뜯고 있으니 앞으로의 일은 보나 마나 뻔한 것이겠지요. 조조만이 몰래 술과 고기를 보내서 삼형제를 위로했습니다.
화웅 [출처=예슝(葉雄) 화백]
화가 난 동탁은 맹주인 원소의 삼촌 원외 일가족을 몰살하고 여포를 앞세워 호뢰관에 진을 쳤습니다. ‘사람 중엔 여포’라. 제후 여럿이 여포와 전투를 벌였지만 싸우는 족족 패했습니다. 공손찬도 여포와 맞붙었습니다. 공손찬이 위태롭게 되자 호랑이 수염에 고리눈을 부릅뜬 장비가 ‘성씨가 셋인 종놈아! 달아날 생각 마라!’라면서 여포에게 달려들었습니다. ‘성씨가 셋인 종놈’은 여포가 친아버지와 양부인 정원을 거쳐 동탁을 아버지로 섬긴 것을 두고 그때그때 이해타산에 따라 배신하는 천한 놈이라 욕하는 말입니다.
장비와 여포가 50여 합을 싸웠지만 승부가 나지 않자 관우가 합세했습니다. 다시 30여 합을 싸웠습니다. 그래도 여포는 끄떡없었습니다. 유비가 쌍고검을 들고 여포에게 달려들었습니다. 3 대 1의 불꽃 튀는 싸움은 한동안 계속되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여포도 세 사람을 한꺼번에 상대하기가 벅찼습니다. 여포는 말을 돌려 후퇴했습니다. 또 한 번의 환호성이 연합군 영채를 가득 채웠습니다.
모종강은 동탁이 조정을 어지럽히지 않았으면 제후들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제후들이 거병하지 않았으면 삼국도 성립되지 않았을 것이라 평했습니다. 즉, 동탁으로 인해 천하가 혼란해지고 결국 삼국이 정립되었다고 했습니다.
호뢰관에서 여포를 공격하는 유비, 관우, 장비 [출처=예슝(葉雄) 화백]
중국 샤먼(厦問)대학교 이중톈(易中天)교수는 CCTV의 〈백가강단〉에서 ‘삼국지 품평(品三國志)’으로 대중적 인기를 한 몸에 받은 역사학자입니다. 이 교수는 자신이 지은 중국통사 『삼국기(三國紀)』에서 천하삼분의 시작을 원소가 열었다고 했습니다. 십상시를 주살하기 위한 의견을 낸 자가 원소였기 때문입니다. 이 교수는 원소가 동탁을 불러들여 차도살인(借刀殺人)을 하고 정권을 장악하려 했지만,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동탁에게 되려 칼자루를 쥐여준 꼴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환관들을 몰살하기에만 정신이 팔렸던 원소의 잘못이 돌이킬 수 없는 화를 자초했다고 평가했지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원소가 군벌을 불러들이자는 의견을 냈을 때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진림과 조조입니다. 이들의 의견을 듣고 최종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사람은 하태후와 대장군 하진이었습니다. 백정에서 일약 태후와 대장군이 된 이들은 지도자의 위치에만 있었을 뿐 정책을 심사숙고해 결정을 내리는 판단력이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의 단순무식한 판단과 결정이 후한의 멸망을 재촉하고 삼국시대를 앞당긴 것은 아닐까요?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원본 링크 [술술 읽는 삼국지](6) 화웅의 목을 벤 관우, 호뢰관서 삼형제에게 혼쭐난 여포 | 중앙일보 (joongang.co.kr)
[술술 읽는 삼국지] 1,2 나관중의 ‘삼국연의’ 첫 구절은?
https://cafe.daum.net/prowelfare/HywK/1367?svc=cafeapi
"백성 해치는 도둑놈아, 날 알아보겠냐" 알고싶다, 오늘의 장비 [술술 읽는 삼국지3,4]
https://cafe.daum.net/prowelfare/HywK/1371?svc=cafeapi
[술술 읽는 삼국지](7) 천하에 나는 없어도 되지만 공이 없어선 안 됩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8480
[술술 읽는 삼국지](8) 공손찬을 이용한 원소와 손견을 죽게 한 원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9043
[술술 읽는 삼국지](9) 초선의 추파에 삼혼칠백이 녹아내린 동탁과 여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0124
[술술 읽는 삼국지](10) 초선의 미인계에 봉의정서 울려퍼진 승전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0690
[술술 읽는 삼국지](11) 조조, 부친의 원한을 갚고자 서주를 도륙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1743
[술술 읽는 삼국지](12) 유비가 서주를 한사코 거절한 진짜 속내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2278
[술술 읽는 삼국지](13) '잠시' 서주목이 된 유비와 연주를 되찾은 조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3345
[술술 읽는 삼국지](14) 조조도 놀랄 연의 속 ‘악독한’ 조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3937
[술술 읽는 삼국지](15) 두 '동탁'의 횡포에 소달구지 타고 초가로 쫓겨난 황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4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