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7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2교시]
1.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손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한 것을 수인(手印)이라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마왕 파순의 항복을 받기 위해 자신의 수행을 지신(地神)에게 증명해 보라
고 말하면서 지은 수인은?
① 선정인(禪定印) ②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
③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④ 지권인(智拳印)
2. 다음 중 지장보살을 모신 법당과 관련 있는 것은??
① 용화전 ② 명부전 ③ 약사전 ④ 팔상전
3. 미륵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① 메시아로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이다.
② 석가여래 열반 후 56억 7천만년 후에 나타난다.
③ 중생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현세적 소망을 성취케 한다.
④ 금산사와 법주사는 미륵도량으로 유명하다.
4. 부처님이 설법하실 때 여러 성중과 함께 불법을 외호하는 호법신을 신중(神衆)이라 하는데,
다음 중 신중상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나한상 ② 사천왕상 ③ 인왕상 ④ 팔부중상
5. 다음 중 목탑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삼국시대에는 석탑뿐만 아니라 목탑도 많이 조성되었다.
②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시대 이전에 조성된 유일하게 현존하는 목탑이다.
③ 인도에서 많이 조성되었으며,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해졌다.
④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을 형식을 지닌 석탑이다.
6. 통일신라시대(844년)에 세워진 것, 현재 남아있는 우리나라의 부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①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② 전흥법사 염거화상탑
③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④ 신륵사 보제존자사리탑
7. 석등(石燈)은 원래 집안의 정원을 밝히는 등화구였는데, 사찰의 석등(石燈)이 배치되는 곳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불탑 앞 ② 부도 앞 ③ 불당(佛堂) 앞 ④ 당간지주 앞
8. 불화는 부처님 비롯한 여러 존상을 형상화한 것, 다음 중, 존상과 불화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석가여래-영산회상도 ② 아미타여래-극락회상도
③ 비로자나여래-관경변상도 ④ 미륵여래-미륵하생경변상도
9. 북두칠성을 불교화한 그림으로 본존은 북극성을 불교식으로 여래화한 치성광여래이다.
이 불화의 명칭은 무엇인가?
① 감로왕도(甘露王圖) ② 칠성도(七星圖)
③ 사천왕도(四天王圖) ④ 산신도(山神圖)
10. 사찰에서 중요시 하는 네 종류의 법구인 사물(四物)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범종・쇠북(금고)・발우・목어 ② 범종・법고(북)・운판・목어
③ 범종・운판・발우・풍경 ④ 범종・쇠북(금고)・운판・바라
11. 다음은 사리(舍利) 장엄구를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 믿음의 상징이자 신앙심의 표상이다.
② 겹겹으로 차림새를 갖추어 최대한 장엄하였다.
③ 사리 이외에 불상과 탑, 경전과 경문 등은 넣지 않았다.
④ 공예품으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12. 범패는 좁은 의미로는 전문적 의식스님들에 의해 불리는 염불만을 말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범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아니리 ② 안채비 ③ 화청 ④ 바깥채비
(해설 : 판소리에서 창자가 음률이나 장단에 의하지 않고 일상적 어조의 말로 하는 부분)
13. 종합 수행도량인 총림에서 대중을 지도, 감독하고 선원에서 기강을 담당하는 스님을
지칭하는 말은 다음 중 무엇인가?
① 방장(方丈) ② 조실(祖室) ③ 찰중(察衆) ④ 유나(維那)
(해설)유나(維那) : 사찰에서 승려들의 규율 등을 맡은 책임자. 절의 사무를 맡아 지휘하는 소임.
[음악] 범패를 여럿이 부를 때 감독의 지위에 있는 사람. 강유 · 차제 · 수사 · 지사 · 열중 · 사호
라고도 함.
사중(寺中) 삼강의 하나. 사중의 사무를 맡아보는 직임(職任) 대중의 기강을 유지하며 안팎의 절
일을 골고루 관장한다.
14. 부처님 당시부터 내려오던 승가 고유의 의결구조이며, 크고 작은 모든 일을 결정할 때 전원
이 참여하는 제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안거 ② 대중공사 ③ 포살 ④ 참회
15. 과거 일곱 부처님의 공통계율이라 불리는 ‘칠불통계(七佛通戒)’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②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③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④ 법등명 자등명 법귀의 자귀의(法燈明 自燈明 法歸依 自歸依)
16. 부처님께서는 성도 후 범천의 간청을 받고 포교전략을 세웠다. 최초로 법을 설한 대상은?
① 알라라 칼라마 ② 웃다카 라마풋다 ③ 교진여 등 5비구 ④ 야사
17. 다음은 부처님이 마하가섭 존자에게 법을 전한 것을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 다자탑전 분반좌 ② 녹야원 초전법륜
③ 영산회상 염화시중 ④ 사라쌍수 곽씨쌍부
18.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출가 사문들에게 논리적이고 학문적 해설을 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논의제일(論義第一)의 제자는 누구인가?
① 가전연 존자 ② 사리불 존자 ③ 부루나 존자 ④ 우팔리 존자
19. 다음은 불교의 세계적 전파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인도 전역으로 급속하게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아쇼카왕이다.
② 불교의 보호자로 자처하며 대승불교를 일으키는 데 앞장선 사람은 카니슈카왕이다.
③ 상좌부불교는 스리랑카를 거점으로 하여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일대로 전해졌다.
④ 티베트의 송첸캄포 왕은 태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고 문자를 제정하였다.
20. 오늘날 남방불교계의 가장 권위 있는 논서로 꼽히는『청정도론』을 저술한 사람은 누구인가?
① 나가르주나 ② 붓다고사 ③ 마힌다 ④ 암베드카르
21. 신라 시대 원효스님의 업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께서 평생 동안 가르치신 경전을 다섯 단계로 분류하였다.
② '해동의 석가'로 알려진 스님으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③ 일심(一心)의 관점에서 불교의 모든 내용을 회통시켰다.
④ 일체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행동으로 무애행(無碍行)을 실천하였다.
22. 『화엄경』의 골자를 간추린 7언 30구의 [법계도송]과 [법성게도]라는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신라의 스님은?
① 원광(圓光, 555~638) ② 자장(慈藏, 590~658)
③ 원효(元曉, 617~686) ④ 의상(義湘, 625~702)
23. 다음 중 『화엄경』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전의 주인공은 지혜와 덕행을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다.
② 중생의 근기에 따라 삼승(三乘)의 수행을 통해서 일승(一乘)의 가르침에 이르도록
설법하고 있다.
③ 〈입법계품〉에서는 선재동자의 구법기를 바탕으로 세간과 출세간의 깨달음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④ 〈보현행원품〉에서는 보현보살의 수행법으로 열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24. 다음 중 경전 상에 나타난 부처님의 교화사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누구나 근기에 맞는 가르침만 주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② 먼저 수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서 상대방이 스스로 마음의 문을 열게 하였다.
③ 모든 문제의 원인이 자신의 외부에서 비롯됨을 스스로 통찰하게 하였다.
④ 어떤 경우에도 선입견을 갖지 않고, 그의 본성인 불성(佛性)을 신뢰하였다.
25. 부처님은 당시 그릇된 정치적 관행, 불합리한 경제체제나 사회제도 등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와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비판적 설법을 하셨는데, 당시 유행하였던 인도사회의 극단
적인 사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신의론(神意論) ② 숙명론(宿命論) ③ 우연론(偶然論) ④ 연기론(緣起論)
26. 다음 중 종단의 신도가 되기 위한 의무교육 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입교교육 ② 기본교육 ③ 전문교육 ④ 재교육
27. 최근에는 뉴미디어 포교의 매체로 인터넷 포교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포교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포교의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
② 쌍방향적 의사소통을 통해 실시간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산 수정할 수 있다.
③ 특정 관심사를 기반으로 세분화된 계층에 대한 정보전달이 용이하다.
④ 저급문화의 양산․ 보급을 사전에 차단하여 불교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8. 부처님 시대의 인도 사회에는 네 가지 신분 제도가 있었다. 부처님은 어디에 속했는가?
① 왕족 신분 ② 노동자 신분 ③ 상인 신분 ④ 노예 신분
29. 불교사에서 처음으로 경장을 결집하였을 때 이를 주도했던 지도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우팔리 ② 달라이 라마 ③ 수보리 ④ 마하 가섭
30. 중국의 현장은 인도에서 제4차 결집이 불멸 후 400년경에 카슈미르 환림사에서 이루어졌다
고 하였다. 제4차 결집에서 파르슈와 존자가 카니슈카 왕의 후원을 받아서 편집했던 대주석서는
무엇인가?
①아비달마대비바사론 ② 구사론 ③ 이부종륜론 ④ 법화경
31. 인도 대승불교의 성립과 관련한 학설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파불교의 발전 양상에서 등장하게 된 운동이라는 설로서, 대중부와 경량부 등 여러
부파의 교리 및 활동이 대승불교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② 힌두교와의 습합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설로서, 힌두교 의례를 불교에서 채용함에 따라
다라니의식 등의 불교의례가 정착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③ 불탑신앙의 전개와 더불어서 발전한 것이라는 설로서, 불탑을 중심으로 모인 재가자들
에게 붓다의 전기를 이야기해 주는 법사들을 지도자로 하여 발흥했다고 한다.
④ 대승경전을 비롯한 불전문학의 등장과 함께 한다는 설로서, 붓다의 덕을 찬탄하는
새로운 경전이 작성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32.‘일불승’(一佛乘)의 교의가 특징이며, 중국 불교사상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평가되는 경전은?
① 『화엄경』 ② 『유마경』 ③ 『반야심경』 ④『묘법연화경』
33. 중국 선종의 오가(五家)를 열거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앙종 ② 임제종 ③ 조계종 ④ 법안종
34. 중국의 수․당 시대의 찬란한 불교문화는 송나라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지식인 계층이 승려가 된 예가 드물었고, 이로 인해 교단의 지위가 하락하였다.
② 신유학이 등장하면서 중국 고대 전통으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고조되었다.
③ 인도와 중앙아시아 불교의 소멸로 인해 외국 전법사의 활동이 종식을 고하였다.
④ 불교계의 종파 싸움은 국가적인 탄압의 빌미를 주었다.
35. 신라의 불교 전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떤 것인가?
① 신라의 불교 공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자장 스님의 순교 사건이었다.
②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해 준 것은 고구려에서 온 스님들이었다.
③ 국경 지대였던 경북 선산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④ 공식적으로 불교가 수용된 후에 흥륜사가 세워졌다.
36. 불교가 한반도에 수용된 이래 불교의 정치이론을 현실의 정치이념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서 전륜성왕 이념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전륜성왕 이념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한
신라 국왕은 누구인가?
① 법흥왕 ② 광개토왕 ③ 진흥왕 ④ 진평왕
37. 다음은 삼국시대 불교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고구려 출신의 승랑은 5세기 후반 중국에 유학하여 강남지방에 있는 섭산의 서하사에
머물면서 중국 섭론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② 백제 출신의 혜총과 관륵은 삼론학을 깊이 연구했으며, 6세기 말 이후 일본에 건너가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③ 신라 불교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원광은 중국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점찰법을 통해
대중을 교화하였으며 화랑도에게 세속오계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④ 자장은 중국에 유학하여 계율학과 섭론학을 수학하고 대장경 1부를 가지고 귀국하였으며,
황룡사 9층탑 건립을 주도하였다.
38. 고려 말 원나라에 유학하여 임제종의 간화선풍을 전래한 스님이 아닌 분을 고르시오.
① 백운 경한 ② 나옹 혜근 ③ 태고 보우 ④ 보조 지눌
39. 다음은 조선 전기 불교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틀린 것은?
① 태종은 불교계가 보유하고 있던 사원전 3~4만결과 노비 8만명 정도를 몰수하였다.
② 세종 30년에 최초의 한글 불서인 석보상절이 간행되었다.
③ 세조는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법화경ㆍ금강경ㆍ능엄경 등의 불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
하여 간행하였다.
④ 왕실에서 자주 수륙재를 설행하였고, 상례와 장례 등은 여전히 불교적으로 거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설)
교장도감(敎藏都監) :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설립하여 속장경(續藏經)을 간행하였다.
간경도감(刊經都監) : 세조 7년(1461) 6월에 설치되었으며 불경을 우리글인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하던 국가기관이었다.
40. 1908년 전국 사찰 대표자 60여 명이 원흥사에 모여 불교종단을 재건하면서 선정한 종단
명칭은 무엇인가?
① 원종 ② 임제종 ③ 천태종 ④ 조계종
41.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불교문화축제로 가장 오래되고 지금도 행해지고 있으며,
2012년 1월말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불교전통문화축제의
이름을 쓰시오. [4점]
( 연등회 )
42. 선원의 큰방에는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소임과 그 소임을 맡은 스님의 법명을
적은 방(榜)을 붙여두는데, 이것을 일컫는 용어를 세 자로 쓰시오.[4점]
( 용상방 )
43. 요․송․ 일본 등에서 수집한 불교서적 4천여 권과 국내의 고서를 모아 《신편제종교장총
3권의 간행 목록을 편집하고, 이 목록에 따라 《고려속장경》을 간행한 고려 전기의 대표적
은 스님은 누구인가?[4점]
( 대각국사 의천 )
44.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용, 길이, 형식, 법수 등으로 엮어 놓은 경전으로 부처님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가르침의 원래 모습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전의 이름을 쓰시오.[4점]
( 숫타니파타 )
45. 인도불교 최종 발전 단계로서 대승불교의 인도적 변용이라고 볼 수 있으며 비공개적인
교의와 의례를 사자상승(師資相承)에 의해 전수하는 불교이다. 현교(顯敎)의 상대적인
의미로 일컬어진 불교를 일컫는 말을 두 자로 쓰시오.[4점]
( 밀교 )
|
첫댓글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