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호선 연결선로는 동묘앞~신설동구간에 가면 있습니다. 이 구간은 우리나라 최초의 꽈배기굴입니다. 결정적인 근거는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역 비밀승강장을 보시면 해답이 나옵니다. 즉, 동묘행 열차가 군자차량기지로 들어갈 때 지하 3층 승강장으로 통해서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1-4호선 연결선로는 창동역-창동차량기지구간에도 연결선로가 있었습니다. 과천선이 개통된 1994년 4월 1일자로 이 구간은 폐쇄되었고(현재는 과천선구간이 반입선로를 대신하고 있음), 현재 이 구간에서 상가와 아파트가 들어서 있습니다(저희 아버지께서 운전하고 계시는 자동차 뒷쪽에 옛날지도 있는데, 연결선이 분명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1-7호선 연결선로는 도봉산역에 가시면 보입니다. 도봉산역에서 의정부방향으로 오른쪽에 연결된 선로가 보입니다. 그게 바로 7호선이나 6호선 전동차(이 부분은 뒤에 언급할 것임)가 반입하는 선로라는 증거입니다.
2-5호선 연결선로는 까치산 구간에 있습니다. 2호선 신정지선에는 신정네거리에서 까치산 구간 중에서 대략 중간 구간에, 5호선 신정에서 까치산구간 중에서 까치산 구간에 근접한 구간을 보면, 연결선로가 보입니다. 이 연결선로는 앞으로 9호선 전동차가 들어올 때도 쓰일 것입니다.
3-4호선 연결선로는 충무로 구간에 보입니다. 3호선 충무로-동대입구 구간의 중간부분하고, 4호선 충무로-동대문운동장 대략 충무로 근처를 보면 연결선로가 있습니다. 이 연결선로의 특징은 U자모양입니다.
3호선-분당선 연결선로는 수서역에 있습니다. 분당선 수서역에서 오리방향으로 바로 앞에 수서차량기지와 연결되는 선로가 보입니다. 이 연결선은 분당선이 1차개통(수서-오리) 되었을 때나 2차개통(선릉-수서)이 됐을 때, 이 연결선로로 통해서 차량이 반입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선릉-왕십리구간이 개통되면 과천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결선로의 효용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폐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호선 연결선로는 길동-둔촌동에 있습니다. 이 구간은 고덕차랑기지에서 출발한 마천행 회송열차가 지나갈 때나 8호선 전동차가 중검수를 받기 위해 차량기지로 갈때 사용하는 선로입니다. 이 구간의 특징은 길동역에서 평면교차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고덕차량기지->길동(상일동방면 승강장)->둔촌동으로 향할 때 그런 경우가 발생한다는 뜻입니다.
5-8호선 연결선로는 가락시장-방이구간에 있습니다. 8호선 가락시장에서 암사방면에서 바로 앞에 선로가 보이고, 5호선 방이역에서 마천방향으로 선로가 나타납니다. 이 구간에서 연결선은 연결이 안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즉, 이 연결선로는 가락시장을 기준으로 가락사거리(송파지하차도)에서 우회전을 한 다음에 방이역에서 연결되는 것입니다. 전에도 말한 것 처럼 이 연결선은 8호선전동차가 중검수를 받기 위해서 사용되는 선로입니다.
마지막으로, 6-7호선 연결선은 태릉입구에서 보입니다. 6호선은 화랑대역 근처에서 보일 것이고, 7호선은 태릉입구 바로 앞에 있습니다. 이 연결선로는 6호선 전동차가 7호선 도봉차량기지에 중검수를 받거나 차량도입할 때 쓰는 선로입니다. 하지만 이 선로는 회차를 한 번더 해야하므로 불편함이 있습니다.
첫댓글 하나 더 있습니다. 1호선-인천1호선 연결선로 입니다. 이 선로는 동암역에서 간석역 방향으로 가다보면 선로 하나가 다른 곳으로 빠지는데 이 곳으로 인천지하철 1호선과 1호선을 연결하는 선로입니다.
참고로, 길동-둔촌동 연결선로(통칭 강동삼각선)을 지나면 5호선의 열차 방향이 뒤바뀐다는 특징이 있죠.
임시선로는 제외했고, 전에 있던 반입선은 들어 있습니다.
3호선과 분당선 연결선은 왕십리 구간보다 분당선 오리-수원 구간이 개통되면 더 효용성이 떨어질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