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끽휴시복(喫虧是福)
청나라 때 판교 정섭(鄭燮)에 대한 이야기이다.
고향의 아우가 편지를 보내왔다.
집 담장 때문에 이웃과 소송이 붙었으니,
현감에게 청탁해 이기게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정섭은 답장 대신 시 한 수를 썼다.
"천리 길에 글을 보냄 담장 하나 때문이니,
담장 하나 양보하면 또 무슨 상관인가?
만리 쌓은 장성은 여태 남아 있지만,
당년에 진시황은 보지도 못했네."
이와 함께 '끽휴시복(喫虧是福-밑지는 게 복이다)'
네 글자를 써 보냈다.
그 아래 쓴 풀이 글은 이랬다.
"가득참은 덜어냄의 기미요,
빈 것은 채움의 출발점이다.
내게서 덜어내면 남에게 채워진다.
밖으로는 인정의 평온을 얻고,
안으로는 내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다.
평온하고 편안하니, 복이 바로 여기에 있다."
형의 편지를 본 아우가 부끄러워 소송을 포기했다고 한다.
끽휴시복~밑지는게 복
정판교의 난득호도
그의 본명은 정섭(鄭燮), 호는 판교(板橋)로 1693년에 태어나 1765년에 작고하였습니다. 정판교는 시,서 ,화 모두를 잘하기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난득호도"는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자성어인데 겉과 속이 다르고 쉽게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꼭 맞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가 산둥성의 지방관리로 일하고 있던 어느날, 먼 친척 으로부터 편지 한통을 받게 됩니다. 사연인즉슨 조상대대로 물려받은 가옥의 담장을 놓고 이웃과 송사가 벌어졌으니 담당관리에게 잘 봐 달라는 편지 한 통을 서 달라는 청탁이었습니다. 편지를 다 읽고 난 판교는 다음과 같은 시 한 수로 답장을 대신 했답니다.
천리나 편지를 보낸 것이 담장 하나 때문인가?(千里소書爲一墻),
그에게 몇 자를 양보하면 또 어떤가(讓他幾尺又何妨),
만리장성은 아직도 남아 있는데(萬里長城今猶在),
어찌 진시황은 보이지 않는가(不見當年秦始皇)
그는 이 시와 함께 "난득호도"와
"흘휴시복(吃虧是福:손해 보는 것이 곧 복이다)"이라
직접 쓴 편액을 함게 친척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그가 쓴 편액에는 "난득호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부제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총명하기도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렵다(聰明難 糊塗難).
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되기는 더욱 어렵다(由聰明轉入糊塗更難).
집착을 버리고 한 걸음 물러나는 순간 마음이 편안해지며
(放一著, 退一步 當下心安),
뜻하지 않고 있노라면 후에 복으로써 보답이 올 것이다
(非圖後來福報也).
"흘휴시복에 대해서도 정판교는 부제로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가득차면 덜어지게 되어 있고(滿者損之機),
비어 있으면 점점 차게 되어 있다(虧者盈之漸),
내가 손해보면 다른 사람이 득을 본다(損於己則盈於彼),
그러면 각자 심정의 절반씩을 얻는 것이다(各得心情之半)
나는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것을 얻게 되니(而得我心安卽)
이 어찌 바로 복 받을 때가 아니겠는가(且安福卽在時矣).
정판교는 바보경(難得糊塗經)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어리숙하게 살라는 권고를 했다고 합니다.
어리숙하고 모자라는 듯 처신하라는 것 또한
노자의 주장이기도 하니 두 사람의 사상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는 생각과 더불어
너무 영악하게만 처신하는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던지는 경구라 여겨집니다.
난득호도(難得糊塗)
‘난득호도(難得糊塗)’는 정판교(鄭板橋)가 남긴 유명한 유묵으로 중국에서는
술 이름으로 뿐만 아니라 각종 기념품 등에 트레이드마크화 되어 사용되고 있답니다.
그런데 ‘糊塗’란 중국어에서 어리석음, 흐리멍텅함, 똑똑치 못함, 엉망임, 분명치 못함,
애매모호함을 가리키는 단어라고 하니 ‘난득호도’ 란 바보인 척하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풀이가 가능하겠다
聰明難 糊塗難 (총명난 호도난)
由聰明轉入糊塗更難(유총명전입호도갱난)
放一着 退一步 當下心(방일착 퇴일보 당하심)
安非圖後來福報也(안비도후래복보야)
바보행세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총명하기도어렵고 멍청하기도 어렵다,
총명한 사람이 멍청하게 보이는 것은 더욱 어렵다.
집착을 버리고 한 걸음 물러서면 마음이 편안하니
나중에 복받자고 하는 것도 아니다"는 뜻으로 남긴
그의 이 말은 가끔은 바보인 척, 멍청한 척,
모자란 척 할 필요가 있다는 말로
13억 중국인에게 좌우명으로 쓰이게 된다.
朱鐵志(주철지)는 "難"(난)을 이렇게 말한다
"一枝一葉總關情"(일지일엽총관정:가지 하나 이파리 하나 모두가 사랑이다)이라고...
여기에서 바로 鄭板橋의 百姓을 사랑하는 지극함을 알 수 있겠다.
우리의 爲政者들이 새기고 새길 말이다.
끽휴시복(喫虧是福) - 정섭 (鄭燮)
밑지는 것이 복이다
만자, 손지기(滿者, 損之機) 가득찬 것은 줄어들 계기가 되기 마련이고
휴자, 영지점(虧者, 盈之漸,) 모자란 것은 채워질 가망이 있는 것이니라!
손우기(損于己), 자기에게 손해가 된 것은,
즉익어피(則益於彼) 남에게는 이익이 되는 것이니!
외득인정지평(外得人情之平) 밖으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평안하게 하고,
내득아심지안,(內得我心之安) 안으로는 내 마음의 안정을 얻나니!
기평차안,(旣平且安) 이미 평안하고 또 안정이 된 이상,
복즉재시의.(福卽在是矣) 복이 그 가운데 있지 않으리오.
손해보는 것이 곧 福
喫虧是福 아래의 七言節句(칠언절구)는 鄭板橋의 글이 아니라 동시대 대학사인
桐城(동성) 張英(장영)이 지은 것이건만
難得糊塗와 너무나 궁합이 잘 맞는다.
※ 江蘇省(강소성) 興化縣(흥화현) 文烽塔(문봉탑) 부근에 있는 판교의 古家(고가)에 그의 필치로
된 다음과 같은 對聯(대련)이 걸려 있다.
秋從夏雨聲中入 春在寒梅上尋
(추종하우성중입 춘재한매상심:
가을은 여름 비소리 끝에 오고,
봄은 찬 매화꽃 속에서 찾을 수 있다).
그가 53세 때 정력을 기울여 쓴 작품이라 한다.
어떤 사람이 찾아와서 묻되 무엇이 길흉화복입니까
(有人來問卜 如何是禍福:유인래문복 여하시화복)하니,
내가 남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이 禍이고 남이 나에게 손해를 끼치는 곳이 福이니라
(我虧人是禍 人虧我是福:아휴인시화 인휴아시복 ) 하였다.
宋나라의
철학자이자 문인인 邵康節(소강절)의 말이다.
喫虧是福(끽휴시복)과 상통하는 데가 있다.
鄭板橋가 쓴 "難得糊塗" "喫(吃)虧是福"
두 필체는 스스로 六分半書(육분반서) 또는
亂石鋪街體(란석포가체)라 불렀다.
六分半書는隸書(예서)를 八分이라는데서
隸도 篆(전)도 아닌 자기의 필체를 낮추어 부른 것이고
亂石鋪街體는 자갈로 포장한 길과
비슷하다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
남의 필체만 베끼는 우리의 서화인들도 새기고 또 새겨야 하겠다.
. |
▣ 저자 정판교 |
양주팔괴揚州八怪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강소성 홍화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섭燮, 판교는 그의 호이다. 옹정 10년(1732년)에 향시에 합격하고, 건륭 원년(1736년)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산동성 범현 현령, 유현 현령을 역임했다. 하나뿐인 아들을 잃은 후 많은 고아들을 돌보았고, 가뭄이 들면 백성들을 구휼하기 위해 자신의 녹봉을 모두 들이는 등 청렴한 관리로서의 모범을 보였으나, 건륭 17년 이재민 구휼문제로 상관의 눈 밖에 나는 바람에 관직을 잃었다. 이 후, 그는 낙향하여 청빈하게 살면서 난, 대나무, 돌을 그리며 일생을 보냈다 |
제1편 爲人 : 낮추는 생존의 기술 |
1장 內智外愚 : 속은 지혜로우나 겉으로는 어리석다 - 모자라는 척하는 법 |
2장 內巧外拙 : 안은 교묘하나 겉으로는 서투르다 - 미련한 척하는 법 |
3장 不飛不鳴 : 날지 않고 울지 않는다 ― 벙어리인 척하는 법 |
4장 委曲求全 : 자신을 굽혀 일을 성사시켜라 - 순진한 척하는 법 |
5장 大柔若剛 : 크게 유약하나 강한 척하라 - 용감한 척하는 법 |
6장 大進若退 : 크게 전진하나 후퇴하는 척하라 - 패한 척하는 법 |
7장 居安思危 : 편안할 때 위기를 생각하라 - 두려운 척하는 법 |
8장 無爲而爲 : 행함이 없이 행하라 - 나태한 척하는 법 |
제2편 辦事 : 물러섬으로 전진하는 책략 |
1장 深藏若虛 : 깊이 감추어 마치 없는 것처럼 하라 - 드러내지 않고 일을 행하는 법 |
2장 容貌若愚 : 용모를 마치 어리석은 것처럼 하라 - 모호하게 일하는 법 |
3장 能忍則安 : 인내할 수 있어야 평안하다 - 참을성 있게 일하는 법 |
4장 順水推舟 : 물길을 따라 노를 저어라 - 다른 사람의 힘을 빌려 일하는 법 |
5장 欲擒故縱 : 잡기 위해 놓아주라 - 융통성 있게 일하는 법 |
6장 緘口自重 : 입을 다물고 자중하라 - 비밀을 지키며 일하는 법 |
7장 藏器于身 : 무기를 몸에 감추어라 - 위장하여 일하는 법 |
8장 托陰行陽 : 음을 돋보이게 하여 양을 행하라 - 빌려서 일하는 법 |
제3편 處世 : 화합의 원칙 |
1장 和氣致祥 :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 온화한 마음자세를 배워라 |
2장 吃虧是福 : 손해 보는 것이 바로 복이다 - 족함을 아는 마음자세를 길러라 |
3장 以德報怨 : 덕으로 원수를 갚아라 ― 관용의 마음을 가져라 |
4장 自得其樂 : 스스로 그 기쁨을 얻어라 - 평상심을 잊지 마라 |
5장 戒急用忍 : 급한 것을 경계하고 인내를 이용하라 - 의연한 태도를 단련하라 |
제4편 社交 : 누구와도 원만하게 처세하는 기교 |
1장 說着易, 做着難 : |
말하기는 쉬워도 행동하기는 어렵다-친구를 사귐에 있어서의 바보철학 |
2장 是也朦朧, 非也朦朧 : |
옳아도 몽롱하고 옳지 않아도 몽롱하다-대화 속에 담긴 바보철학 |
3장 合不得, 分也不得 : |
더해서도 안 되고 나누어서도 안 된다 - 가정에서의 바보철학 虛心竹 板橋 鄭燮 허심죽유저두엽 (虛心竹有低頭葉) 오골매무앙면화 (傲骨梅無仰面花) 속을 비운 대나무는 이파리 끝이 아래를 향하고 기개있는 매화는 위로 향하는 꽃이 없다. 대나무는 속이 비어있다. 이에 대나무는 겸허한 품성을 표시한다. 대나무 이파리의 끝은 항상 아래를 향하고 위를 향하지 않는다. 겸허한 품성을 지녀야함을 일깨운다. 매화는 가지의 윗쪽(陽面)에서 꽃이 나오지, 가지의 아래쪽(陰面)에서 나오지 않는다. 매화는 절개를 표시한다. 꽃도 가지의 위쪽에서 나오지, 아래쪽에서 나와 위를 쳐다보면서 올라가지는 않는다. 세속의 권세에 아부하거나 눌리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한국경제 2009년 06월 03일(수) [우종근의 史史로운 이야기] 정판교와 `바보` 추기경 중국에 양주팔괴(揚州八怪)라는 말이 있다. 18세기 청(淸) 중엽을 살았던 8명의 괴짜 문인화가를 지칭하는 말이다. 강남의 번화한 도시 양주를 무대로 활약했던 이들 은 파격적인 화풍 못지않게 삶의 방식 또한 자유분방해서 많은 일화를 남기고 있다. 그룹의 좌장격이자 유일하게 과거급제자였던 정판교(鄭板橋, 1693~1765)는 시 · 서 · 화에 두루 능한 삼절(三絶)로도 호가 높았지만 '돈을 말하지도 만지지도 않는다'는 사대부의 불문율을 깬 예술사적 사건으로 특히 유명하다. 작품의 가격을 스스로 매긴 '판교윤격(板橋潤格; 정판교가 그린 그림값)'이 그것이다. "대폭(大幅) 6냥, 중폭 4냥, 소폭 2냥, 족자나 대련은 1냥… 예물이나 음식보다 현금을 환영함. 현금을 받으면 내 마음이 기뻐져 작품이 절로 잘되기 때문임 (送現銀則心中喜樂,書畵皆佳)." 평생 불우했던 그가 나이 오십이 넘어 지낸 산동지방의 현령 11년 동안에는 빈민을 보듬는 선정(善政)을 편 탓에 악덕관리와 지방부호의 미움을 사기도 했다. 결국 이것을 못견뎌 사직한 그를 현 백성들이 모두 나와 통곡하며 전송했는데, 그의 행장은 자신과 길 안내인, 짐을 태운 당나귀 세 마리가 전부였다고 한다. 그가 떠난 뒤에도 사람들은 집집마다 그의 초상화를 그려놓고 산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다. 현령 시절 정판교는 자칭 '바보 늙은이(糊塗老人)'의 오두막에서 하룻밤을 묵은 일이 있다. 이름과는 달리 노인에게 풍기는 대인의 풍모에 압도당한 그는 기념으로 '이처럼 바보인 척하기도 어려워라(難得糊塗)'라는 글을 써주고 이렇게 낙관(落款)했다. '강희에 수재, 옹정에 거인, 건륭에 진사된 정판교(康熙秀才, 雍正擧人, 乾隆進士)' 이에 호도노인은 답글 하기를 '미석(美石)은 얻기 어렵고, 잡석은 더 얻기 어려워라. 운운'한 다음 역시 도장을 찍었다. '초시 일등, 향시 이등, 전시 삼등한 아무개(院試第一, 鄕試第二, 殿試第三)' 거들먹거리다가 보기좋게 한방 먹고 돌아온 정판교는 '난득호도'라 제(題)한 아래에 이렇게 덧붙였다. '총명하기 어렵고 멍청하기도 어렵다. 총명한 이가 멍청하게 살기는 더 어렵다. ' 정판교는 내친 김에 '흘휴시복(吃虧是福; 손해를 보는 것이 곧 복이다)'이라는 작품도 쓰고 주를 달았다. '내가 손해보면 남이 이익을 보는 법(損於己則盈於彼). 그가 이익을 보고 나는 마음에 편함을 얻으니 어찌 복이 아니랴!" 정판교의 두 메시지는 유독 처세술을 좋아하는 중국인 사이에 내용이 덧붙여지면서 마침내 '난득호도경(經)'(일명 바보경)이라는 경전의 반열에까지 올랐다. 노자의 '대교약졸(大巧若拙)'이나 채근담의 '세상살이엔 손해보는 것이 나를 높이는 길 (處世,讓一步爲高)'보다 훨씬 사랑받는 경구라고 한다. 김수환 추기경은 스스로 '바보'로 살다가 선종했다. 어수룩한 자화상에 '바보야'라고 쓰고 "안다고 나대고 대접만 받을려고 한 내가 바로 바보"라고 스스럼없이 말하고 다녔다. 누가 칭찬이라도 할라치면 "아이고, 날 칭찬하지 마세요. 살아서 받을 칭찬을 다 받으면 하늘나라 가서 받을 게 없어요"라고도 했다. 뜻있는 인사들이 추기경의 바보정신을 받들어 물질만능과 경쟁에 강퍅해질 대로 강퍅해진 우리 사회를 구원하는 조그만 운동을 준비한다고 한다. '살면서 손해도 좀 보고 남도 배려하는' 사회를 되찾자는 취지이다. 얼마 전 만해도 우리 주변에는 바보들이 많았다. "너 바보지?" 하고 놀려도 사람 좋은 웃음을 가득 흘리며 세상을 넉넉하게 만들어 주던 그들이었다. 잘 살게 되면서 우리는 자신과 자식까지 영악스럽게 만들지 못해 안달을 떨었다. 부모들이 결자해지(結者解之), 바보처럼 손해도 좀 보며 살자. Ⅱ 難得糊塗 喫虧是福(난득호도 끽휴시복) [출처]http://blog.daum.net/solpee/15275117 "바보행세는 어렵고 손해보는 것은 복을 짓는 것이다" 청 옹정,건륭제 때 사람으로 范縣(범현) 攸縣(유현) 縣令(현령)을 지낸 揚州八怪(양주팔괴)의 우두머리이자 江蘇省(강소성) 興化縣(흥화현) 출신인 板橋(판교)鄭燮(정섭)의 糊塗經(바보경)에 나오는 말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처세술 중에 가장 힘든 것이 똑똑하면서 바보인 척 하는 것이라고 한다. 똑똑하면서 바보인 척 하는 것, 많이 가졌으면서 적게 가진 척 하는 것, 많은 일을 하면서도 한가한 척 하는 것, 공부를 많이 했으면서도 조금만 한 척 하는 것... 어쩌면 이런 위악은 생존을 위한 고도의 위장술일 수도 있고, 더 강한 공격 효과를 기대하는 전술일 수 있겠다. "청나라 중엽의 괴짜 문인화가 8명을 일컫는 말로 양주팔괴揚州八怪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양주팔괴의 우두머리로 행해(行楷)에 전예(篆隸)를 섞는 독창적인 서풍으로 이름 높은 판교板橋 정섭鄭燮이라는 분이 있습니다. 이분은 시詩·서書·화畵의 삼절三絶에 모두 능하고 모든 영역에서 개성이 두드러진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이 분이 남긴 글에 난득호도(難得糊塗,어리석기도 어렵다)가 있습니다. 그 글의 아래에 ‘聰明難,糊塗難,由聰明而轉入 糊塗更難. 放一著,退一步,當下心安,非圖後來福報也’라는 발문을 달았습니다. 그 발문을 풀면, 聰明難 糊塗難(총명난 호도난) | 총명하기는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렵다 由聰明而轉入 糊塗更難(유총명이전입 호도경난) 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되기는 더욱 어렵다. 放一着 退一步 當下心安(방일착 퇴일보 당하심안) 집착을 놓고 한 걸음 물러서면 마음이 편안하니 非圖後來 福報也(비도후래복보야) 뜻하지 않고 있노라면 후에 복으로써 보답이 있을 것이다. 인구에 회자되는 정판교의 또 다른 글은 흘휴시복(吃虧是福, 손해 보는 것이 복 받는 것이다)입니다. 그 글의 아래에는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았습니다. 만자손지기(滿者損之機) 가득 차면 덜어지게 되어 있고 휴자영지점(虧者盈之漸) | 비어 있으면 점점 차게 되어 있다. 손어기즉영어피(損於己則盈於彼) 자기가 손해 보면 다른 사람이 이익을 본다. 각득심정지반(各得心情之半) | 그러면 각자 심정의 절반씩을 얻는 것이다. 이득아심안즉평(而得我心安卽平) 나는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것을 얻게 되니, 차안복즉재시의(且安福卽在時矣) 어찌 바로 복을 받은 때가 아니겠는가. (주석으로 단 喫虧是福 아래의 七言節句는 鄭板橋의 글이 아니라 동시대 대학사인 동성桐城 장영張英의 것이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