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어디에 간들 은행나무는 많다. 평소에는 잘 보이지 않다가도 가을 단풍철이면 한눈에 쏙 들어온다. 가을이면 황금빛 유난히 샛노란 단풍 덕분에 쉽게 식별이 된다. 은행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다.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어 수나무에서 날아온 꽃가루가 있어야 수정을 하고 열매를 맺는다. 암나무는 나무 형태가 펑퍼짐하게 벌어지는데 수나무는 뾰족하다. 줄기나 가지가 옆으로 퍼지기보다 대부분 위쪽으로 자란다. 은행나무는 싹이 튼 지 20년 이상 되어야 열매를 맺었다. 씨를 심어 손자를 볼 나이에 열매를 얻을 수 있다 하여 공손수(公孫樹)라 하였는데 요즘은 접목하여 획기적으로 빨라졌다. 가을이면 단풍 들어 황금빛을 발하는 이파리가 바람에 우수수 쏟아지면서 발걸음을 절로 멈추게 한다. 마치 부채꼴의 금화를 흩뿌리는 것처럼 황홀하기조차 하다. 나무 밑에 수북하게 쌓아 놓은 환한 모습을 보면 그냥 부자가 된 듯한 기분에 마냥 들뜨기도 한다. 이처럼 나무는 귀티가 나고 이파리도 단풍이 들면 어느 나무에 뒤지지 않는데 열매는 농익으면 작은 살구 같기도 하다. 하지만 나무의 체격이나 연륜으로 보아 조금은 조잡하고 꾀죄죄해 보이기도 한다. 씨를 둘러싸고 있는 물렁물렁한 겉껍질은 구린내 같은 고약한 냄새가 진동하고 피부에 옴이 올라 긁적긁적 피부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은행나무 이파리는 인체에 유익한 화합물을 많이 지니고 있는데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징코민이란 원재료도 있다. 방충작용을 하는 부틸산이 있어 잎을 책 속에 넣어두면 책이 좀먹지 않는다고 한다. 곰팡이와 벌레에 강하며 도심의 가로수로 많이 선호하였다. 은행은 구우면 쫀득쫀득한 맛에 여러 요리의 재료로 쓰이며 식빵으로도 개발하였다. 폐와 위를 깨끗하게 해주며 거담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은행나무는 천년을 거뜬하게 살면서 천연기념물로 20여 그루가 지정받았으며 그중에 대전 인근인 영동 천태산 영국사 은행나무, 금산의 진악산 보석사 은행나무, 부여 내산면 은행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