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5(수)
오늘은 억새 나들이를 했다.
아침을 먹고 9시에 아내와 함께 새별오름으로 출발했다.
11월 초에 억새가 만개할 것 같았지만
내일부터 여러가지 바쁜 일이 있어서 오늘 가기로 했다.
날씨도 맑고 바람도 거의 불지않아 나들이에 안성맞춤이다.
오늘 일정은 새별오름→ 산굼부리→ 아끈 다랑쉬오름이다.
새별오름
예로부터 한문을 빌려 '새벽(曉)별(星)' 또는 '새(新)별(星)' 로 표기한 것을
현대에 「새벽 하늘에 샛별과 같이 외롭게 서 있다」는 뜻에서 새별오름이라 불렸다.
산굼부리
천연기념물 제263호. 바깥둘레 약 2㎞, 안둘레 756m,
화구의 바닥넓이 약 2.42㎢, 깊이 100~146m이다.
화산 가스의 폭발·분화에 의해 이루어진 전형적인 마르(maar)로서,
화산이라기보다는 화구에 가까운 지형이다.
산굼부리는 용암을 거의 분출하지 않고 폭발에 의하여 구멍만 깊숙이 팼으며,
폭발로 인한 물질은 사방으로 던져지고 소량만 주위에 쌓였다.
이런 화구를 마르(Maar)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산굼부리가 유일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과 독일에 몇 개 알려져 있다.
산굼부리라는 이름은 '산이 구멍난 부리'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화산체는 높이 438m로 주위의 지면보다 5~30m 정도 더 높다.
비록 낮은 곳에 이루어진 분화구이지만,
지름과 깊이는 백록담 화구보다도 더 크며,
화구벽이 현무암 자갈층으로 되어 있어서
화구에 물이 고여 있지 않고 바다로 흘러간다.
아끈다랑쉬오름
아끈다랑쉬오름(작은 월랑봉)의 위치는 다랑쉬오름(월랑봉) 도로 건너편에 있다.
아끈다랑쉬오름(작은 월랑봉)의 '아끈'이라는 명칭은
'작은'이란 제주도 방언이라고 한다.
작은 다랑쉬오름(월랑봉)이라는 뜻이다.
오름 나드리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도중에
모슬포에서 오후 2시가 조금 넘어 늦은 점심을 먹었다.
열흘 전 도전리 대자가족이 방문했을 때 먹은
모듬회 세트가 생각났기 때문에 같은 집에 들렀다.
배가 고파서인지 점심이 더욱 맛있었다.
매일 한 끼는 외식을 하면 좋겠다는 말을 나누었다.
맛있는 것도 먹고, 설겆이를 하지 않아도 되니까~
11월은 위령성월입니다.
'모든 성인 대축일'(11월 1일)로 시작된 위령성월은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11.2)로 이어집니다.
이날은 우리보다 먼저 주님의 부르심을 받은 이들,
특히 연옥 영혼(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세상의 죄를 정화하는 영혼)들이
하루빨리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기도하는 날입니다.
모든 성인 대축일(11월 1일)
모든 성인들, 특히 교회력에 있어
축일로 지정되지 않은 성인들을 기념하기 위한 날로
11월 1일에 지냅니다.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11.2)
모든 성인은 의로운 삶을 사셨기에
그들의 영혼은 하느님의 손에 맡겨졌습니다.
정화를 위한 연옥 영혼들도 하늘나라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릴 수 있도록 지상교회가 기도를 바칩니다.
위령의 날에 교회묘지, 공원묘지, 성직자 묘지 등에서
세 번 위령 미사를 봉헌할 수 있습니다.
위령의 날에 드리는 세대의 미사 중에서 사제는
한 대를 개인적인 지향으로,
또 한 대를 죽은 이를 위해,
나머지 한 대를 교황의 지향에 따라 봉헌합니다.
이 세 대의 미사전례 주제는 ’죽은 자를 위한 청원’입니다.
이 주제의 배경에는 ’죽음의 엄숙한 현실’, ’육신의 부활’,’
그리스도의 심판’, 그리고 ’영원한 생명’ 등
그리스도교의 가장 근본적인 교리 주제가 깔려 있습니다.
특히 11월 1일부터 8일까지 묘지를 방문하여
정성껏 기도하는 교우들에게는
연옥 영혼에게 양도될 수 있는
전대사(죄의 잠벌을 모두 사면함)가 주어집니다.
서양에서는 위령의 날에 한국인의 추석 성묘나 시제처럼
대거 묘지방문을 나섭니다.
이 세상과 죽음 후에 맞는 세상은 다르지만
서로 기도로 통교하는 것이지요.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는 관습은
구약시대에도 있었고(마카베오 2서 12,45),
초기교회 때 미사성제를 드린 예(2세기 Tertullian)도 있으며,
13세기에는 로마에서 전례에 반영되었습니다.
위령의 날은 998년 클뤼니(Cluny)수도원의 오딜로(Odilo)원장이
산하 수도원에 한 해 한번 이날을 지내도록 한데서 시작되었습니다.
연옥에 관한 신앙 교리는 피렌체공의회(1437)에서 확정하였고,
종교개혁 이후에도 트리엔트공의회(1563)에서 다시 밝혔습니다.
금년에는 성당 공동 묘지 벌초작업과 미사를 같은 날 했습니다.
묘지는 신창성당에서, 야외미사 광장과 제대는 고산성당에서
오전 7시부터 나누어서 벌초작업을 하고,
11시부터 위령미사를 거행했습니다.
매년 벌초작업과 미사에 참여하시는 교우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네 분 신부님께서 한 마디씩 하셨습니다.
내년에도 오늘 참석하신 모든 분들이 돌아가시지 말고
한분도 빠짐없이 참여할 수 있기를 기원하기도 하고
‘오늘은 나에게, 내일은 너에게’ ( Hodie mihi, Cras tibi ) 라고 하시며
항상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를 생각하며
오늘을 열심히 기도하며 충실히 살라고도 하셨습니다.
또 사람은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갈 것을 기억하라고도 하셨습니다.
금년에는 바람이 불지 않고 맑은 날씨로 야외제대를 차리는데
별 애로사항이 없어 이 또한 은총이었습니다.
벌초와 미사에 참여해주신
신창성당, 고산성당 교우분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