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금대봉(1,418m), 대덕산(1,307m) 야생화 탐방 및 검룡소 트레킹 #6
검룡소는 한강의 발원지로 알려진 곳이다.
금대봉 기슭에 있는 제당굼샘과 고목나무샘, 물골의 물구녕 석간수와 예터굼에서 솟아나는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왼쪽 대덕산 산기슭 검룡소에서 다시 솟아난다.
검룡소는 1987년 국립지리원에 의해 한강의 최장 발원지로 공식 인정되었다.
둘레 약 20m이고, 깊이는 알 수 없으며 사계절 9℃의 지하수가
하루 2,000~3,000톤씩 석회암반을 뚫고 솟아 폭포를 이루며 쏟아진다.
오랜 세월 동안 흐른 물줄기 때문에 깊이 1∼1.5m, 넓이 1∼2m의 암반이 구불구불하게 패여 있다.
소의 이름은 물이 솟아 나오는 굴 속에 검룡이 살고 있다 해서 붙여졌다.
검룡소가 발견되기 이전에는 한강의 발원지가 강원도 평창 오대산의 산샘 우통수라고 알려졌으나
두 물줄기가 합수되는 지점인 나전 삼거리에서 정확하게 측정을 한 결과
검룡소가 31km 더 길다는 결과로 이곳이 공식 한강발원지로 지정되었다.
폭포를 이루고 있는 커다란 암반 곳곳에는 깊게 파인 골이
여기저기 마치 일부러 파 놓은듯 굵게 선을 그어 내려가고 있는데,
수많은 세월동안 물이 흘러 파인 자국으로 보인다.
그 물길 따라 돋아 있는 푸른 이끼들은 이곳이 얼마나 청정한 곳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설에 의하면 서해에 살던 이무기가 용이 되려고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이 소(沼)에 들어가기 위해 몸부림치다 생긴 흔적이 지금의 폭포이며,
인근에서 풀을 뜯다가 물 먹으러 온 소를 잡아 먹어 사람들이 웅덩이를 메워 버렸다고 하는데,
원래는 암반위 직경 약 7~8m 전체가 웅덩이였는데
오래전에 산사태로 인해 다 메워져 다시 지금의 크기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물은 정선의 골지천과 조양강, 영월의 동강을 거쳐
단양·충주·여주로 흘러 경기도 양수리에서 한강에 흘러든 뒤 서해로 들어간다.
덕산 높이는 1,307m로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둘레 20여m에 달하는 검룡소는 석회 암반을 뚫고 올라오는 지하수가 하루 5000t가량 용출되는 곳이다.
이곳에서 솟아난 물은 폭포로 이어져 장관을 이룬다.
15:36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 탐방을 끝내고 검룡소 표시석이 위치한 입구 도착한다.
11:42 산행이 종료되는 검룡소 주차장 도착
10.6km, 5시간 40분의 산행이 종료된다.
16:10 사전예약된 대복식당에서의 하산주의 시간입니다.
산행인원중 50여명은 실내에서 하산주를 즐기고 ---
비가 조금씩 내리는 가운데 임원을 포함한 나머지 산행인원은 식당외부에서 하산주를 즐깁니다.
큰비가 내리지 않아 다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