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아르헨티나 나일론 폴리아미드 원사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5-03-06 | 국가 | 아르헨티나 | 작성자 | 강영광(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
품목 | 기타(나일론이나 그 밖의 폴리아미드의 것으로 한정한다) | ||||||||||||||||||||||||||||||||||||||||||||||||||||||||||||||||||||||||||||||||||||||||||||||||||||||||||||||||||||||||||||||||||||||||||||||||||||||||||||||||||||||||||||||||||||||||||||||||||||
품목코드 | 540245 |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규모 - 주재국 세관 통계자료 Nosis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의 나일론 폴리아미드 원사 품목에 대한 2013년 수입시장규모는 2,150만달러 수준으로 전년대비 (2012년 23.3백만 달러) 4%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KITA 통계상 동 품목에 한국의 대 아르헨티나 수출규모는 160만달러로 전년 대비 6.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반면 주재국 세관 통계자료 Nosis에 따르면 한국산 품목의 수입액이 960만달러로 집계되어 전년 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음. - 통계 부족으로 정확한 시장 규모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2013년 현지 생산은 3만3,180톤 정도로 예상됨(전년 대비 12% 감소, 자료원: 주재국 통계청). 따라 수입 시장 규모와 더하여 전체 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3만7,534톤으로 예상됨.
최근 3년간 아르헨티나의 나일론 폴리아미드 원사 수입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백만, %)
자료원: Nosis
○ 시장전망 - 최근 아르헨티나 경제 침체로 인해 수입 및 국내 시장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 아르헨티나 정부는 여러 방면으로 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해당 품목의 수입 시장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
□ 제품 트렌드
- 아르헨티나는 아직까지 친환경 원사 등의 세계적 트렌드를 따르지 않고 있으며, 대두 재배로 대체되고 있는 토지 사용으로 인해 급 하락하고 있는 천연 원사 생산 규모를 보았을 때 시장은 인조원사 소비로 기울고 있음.
□ 구매 패턴
-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소규모 소비자들은 중간 에이전트 (수입, 또는 유통)를 통해 공급받고 있음. - 대규모 소비자는 직수입과 현지 생산업체에 제품을 다양하게 직구매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2.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US$ 백만, %)
자료원: NOSIS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아르헨티나 나일론 폴리아미드 원사 시장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540245 기준) (단위: US$ 천, %)
자료원: Nosis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 현재 아르헨티나 정부는 2012년 1월 10일 행정령 제 3252호를 공고하면서 2012년 2월 1일부터 현지로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 대한 사전수입신고제도(Declaracion Jurada Anticipada de Importacion) 를 의무화함. 이로써 현지 수입자는 수출자가 물품을 선적하기 전 아르헨티나 국세청(AFIP)을 통해 사전 수입신고서를 제출하고 상업부 (Secretaria de Comercio)의 승인을 받아야만 수입대금 결제 및 수입절차가 가능하게 됨.
○ 조세율 - 관세 18%, 통계세 0.5%, 부가세 21%, 추가부가세 20%, 소득세 2.5%, 이득세 6%
○ 필수 인증 현황: 없음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 동 품목관련 유통구조를 다루기 전 소분야 구분의 필요성이 있음: 섬유를 생산하는 농재배업 (천연섬유) 과 화학업 (인조섬유), 섬유로 원사를 생사하는 방정업, 그리고 원사로 직물을 생산하는 방직업, 총 세 분야로 구분할 수 있음. - 동 보고서가 다루는 품목인 인공원사는 다수의 대규모 업체가 원사와 직물까지를 생산함: 섬유를 구매하여 원사를 가공하고, 그리고 동 원사로 직물을 생산함. 따라서 원사 수입은 직접 생산하지 못하는 일부 품목으로 제한됨. - 방직업만 하는 업체들은 다수가 원사를 직수입하거나, 또는 도매업자에게 자재를 공급받아 생산함. - 유통채널 활용 방안: 위에 언급되었듯이 현지 생산이 다양하고 수입을 하는 업체들은 다소 적은 양을 소비하므로 유통업체 (stock을 확보하고 financing을 위주로 판매하는 업체)를 집중적으로 마케팅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라 예상됨.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 일반 소비 품목이 아니기 때문에 경쟁 제품의 브랜드는 중요히 여겨지지 않음 (최종 제품은 직물 업체의 브랜드로 유통되기 때문임). - 품목을 소비하는 업체들은 대량 구매 이전에 소량 샘플을 지원 받아 테스트 생산을 실시하기 때문에 품질과 품질 대비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 -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유럽 브랜드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임.
자료원: Nosis
□ 한국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동 품목으로 현지 시장에 널리 알려진 한국 브랜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됨.
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겟 고객층과 사유
- 고객층과 사유: 원사와 직물을 같이 생산하는 규모가 큰 업체들은 수출도 동행하기 때문에 비교적 수입 승인 획득이 원활함. 따라서 동 업체들의 부족 수량 납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라 판단됨. 또한 소규모 직물 생산 업체들 직수입을 하지 않고 유통업체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재고를 보유하고 판매하는 업체들도 적합한 타겟이 될 것으로 판단됨.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 유력 홍보 방안 - 위에 언급된 전시회 참가나 세일즈 출장을 통해 현지 현황을 인식하고 일반적인 제품 수출이 아닌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됨. - “Red Textil Argentina” 와 같은 잡지 등의 홍보 또한 유용할 것이라 예상됨.
□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 인근국인 브라질 제품이 점유율이 높은 것은 가격, 품질, 그리고 MERCOSUR로 인한 무관세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음. - 이스라엘 또한 MERCOSUR 와 이스라엘의 FTA 체결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됨. - 위 배경을 고려할 때 한국은 거리로 인한 물류비용이 메리트가 될 만한 장점을 내세울 필요가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