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cafe.naver.com/chunbooin/1082 ![]() ![]() |
태반
임신 중 발생되는 조직으로 태아가 엄마 자궁 속에서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게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태반은 태아로부터 유래됩니다. 인간의 배아는 수정 후 4~5일 정도 지나면 주머니 모양의 포배가 형성되게 되는데 안쪽의 덩어리 세포는 나중에 태아로 자라나게 되고 바깥쪽 주머니는 태반으로 자라게 됩니다.
태반은 엄마의 자궁 내벽에 붙어 태아와 탯줄로 연결되며 자궁 내 어디든 위치할 수 있습니다. 태반이 아래에 위치해 자궁경부를 막은 경우를 전치태반이라고 하는데, 이때는 자연분만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태반의 무게는 약 350~750g 정도이며 태아 체중의 약 1/6 정도에 해당합니다. 보통 임신이 지속되면서 태반의 크기는 계속 커지다가 40주가 넘으면 태반의 퇴화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분만이 너무 늦어지면 태반의 기능 약화로 태아곤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태반은 기저막, 융모조직, 융모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저막 : 자궁에 붙어있는 부위입니다.
▶ 융모조직 : 태반의 중심 조직이며 모체와 태아간의 물질교환이 일어나는 부위입니다.
▶ 융모막 : 태반의 안쪽으로 태아와 양막을 싸고 있는 부위입니다.
▶ 태반 순환 : 모체와 태아 사이에 영양분, 산소, 항체 등 물질교환이 이루어집니다.
▶ 호르몬 생산 및 분비 : 임신에 필요한 호르몬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기능을 합니다.
▶ 호흡 기능 : 태아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폐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태반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여 호흡이 가능하게 됩니다.
▶ 흡수 및 배설 : 태반의 융모세포를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합니다.
▶ 면역기능 : 태반을 통해 모체의 항체가 전달되어 면역기능을 수행합니다.
▶ 보호기능 : 모체에 들어간 해로운 물질이 태아에게 들어가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태반의 크기는 산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너무 작거나, 너무 두꺼운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태아의 염색체 이상, 산모의 당뇨, 빈혈, 감염, Rh 부적합 등에 의해 태반은 두꺼워질 수 있으며 임신중독증이나 태반 혈관순환 장애가 있을때는 태반의 크기가 작을 수 있습니다.
▶ 태반이 유해한 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약품, 세균, 연탄가스, 알콜 등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태아의 배꼽과 태반을 연결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것.
의학용어로는 제대(臍帶)라고 한다. 성숙한 태아에서는 지름 약 1cm, 길이 약 50cm이다. 표면은 평활한 막으로 덮여 있고, 속에 두 가닥의 제동맥(臍動脈)과 한 가닥의 제정맥(臍靜脈)이 있으며, 교양질(膠樣質)로 보호되어 있다. 제정맥의 발육이 빨라 길어지고, 양자가 모두 교양질조직(膠樣質組織)보다 빨리 발육하므로, 제정맥이 제동맥의 주위를 감아서 구불구불해져 있는데, 좌염전(左捻轉)이 우염전의 3배가 된다. 탯줄은 태아의 태내생활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태아에게 공급하는 통로이며, 성인의 기도(氣道)나 식도에 해당한다.
첫댓글 태줄의 원 개수도 3개 단면적으로 보아도 자궁 태반 태아의 구성도 토로스의 원 3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