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글들을 읽어봐도 이해되는게 한 15%도 될까말까입니다.
pda 처음 사서 기능 익힐때보다 훨씬 어려운것 같아요.
어제도 질문을 하였었는데 그 질문에 대한 답글도 솔직히 이해가 잘 안가더군요.
이러면서 일은 어찌 할런지...... --
제가 궁금한것은요.
아크뷰에서 등고선아이콘을 클릭하면 등고선이 하늘색으로 다 뜹니다.
50미터간격으로 등고선이구요, 이 화일이 "등고선.avl"화일입니다.
강원도 전지역 등고선(접경지역 제외)이구요.
이 화일이 실제 데이터 화일인지 아니면 원본데이터화일에서 파생된 화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등고선을 기계에 넣으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통 모르겠네요.
지도화일은 샌드맵을 이용해서 전송하라고들 하시는데...
어떻게 사용하는지 명령어를 뭘루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짧은 영어루 해석하다가 엉뚱한 명령 내려서 기존 데이터 다 날리는게 아닌지 해서... ^^*
두번째 질문은요, 도상지도를 스캔을 뜨는데 해상도를 어느정도로 해서 편집해서 올려야 하는지 모르겠네요.반복작업으로 최상의 해상도를 나름대로 찾으면 되긴 되는데...사무실에서만 작업을 하다보니그럴 여건이 안되서...
첫댓글님이 질문하신것에 대하여 답변 드릴 실력은 안되지만, 참조가 될만한 것을 몇자 적어보지요. 왜 50M 가민 GPS에 넣을라고하는지요? 강원도 전지역 등고선 파일 (50M 간격)이 한파일로 되어 있다면 지리원 판매 수치지도(cad파일)중에서 등소선 레이어만 뽑은 것 같고요.
제 생각으로는 1:250000 수치지도일 가능성이 크고 오차는 상당히 큰폅입니다.(GPS에 넣기는...좀... 누구처럼..ㅋㅋㅋ... 후회?). 축척만 봐서는 그런데로 종이지도상에서는 쓸만하지만 (1mm=250M)... GPS에는 넣기는???? 등산용이 아닌 그냥 참조용이라면 몰라도...
첫댓글 님이 질문하신것에 대하여 답변 드릴 실력은 안되지만, 참조가 될만한 것을 몇자 적어보지요. 왜 50M 가민 GPS에 넣을라고하는지요? 강원도 전지역 등고선 파일 (50M 간격)이 한파일로 되어 있다면 지리원 판매 수치지도(cad파일)중에서 등소선 레이어만 뽑은 것 같고요.
제 생각으로는 1:250000 수치지도일 가능성이 크고 오차는 상당히 큰폅입니다.(GPS에 넣기는...좀... 누구처럼..ㅋㅋㅋ... 후회?). 축척만 봐서는 그런데로 종이지도상에서는 쓸만하지만 (1mm=250M)... GPS에는 넣기는???? 등산용이 아닌 그냥 참조용이라면 몰라도...
용도는 산림업무에 쓸 예정입니다. 입목벌채,굴채취허가 면적산정, 산불피해면적산정, 자연휴양림관조성등의 업무등입니다.
제가 좀있다가 전화드리겠습니다.
그런 용도라면 기존의 맵핑소프트웨어만 활용하셔도 될 듯합니다. 아울러 [공지]란의 글번호 50번의 활용법이나 PDA에 지도를 손쉽게 입력하는 조합 GPS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아다곤님이 사무실로 전화주셔서 한 20분간 친절히 답변해 주셔서.. 그간의 궁금증이 싹 풀렸습니다. 아크뷰공부좀 많이 해야 겠다고 다짐했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