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에 관한 갈등
장성숙/ 극동상담심리연구원, 현실역동상담학회
blog.naver.com/changss0312
이혼 문제로 상담자를 찾은 부부의 안색은 말이 아니었다. 아내는 잔뜩 화난 표정으로 이혼하겠다고 강경하게 말했고, 남편은 좌불안석하며 아내를 달래려고 애썼다. 아내는 남편에게 이혼하자는 말을 자기가 먼저 꺼내놓고 웬 변덕이냐고 쌩쌩거렸다. 반면에 남편은 홧김에 한 말을 가지고 그렇게 나오면 어떻게 하냐고 저자세를 취했다.
남편은 사업을 통해 제법 돈을 벌었고 궁핍했던 처가를 번번이 도와주었다. 그런데 처가 식구들이 고마워하는 몸짓을 덜 보였는지 남편은 그들에게 뻔뻔한 구석이 있다고 툴툴거렸다. 자신의 형제들에게 다소 그런 면이 있다고 여겼던 부인은 남편에게서 그런 말이 나올 때마다 자존심이 상해도 꾹꾹 참았다. 그러던 중 최근에 친정 오빠가 남편에게 아쉬운 소리를 하자, 화가 난 남편은 아내에게 와서 너의 친정 식구들은 피가 불순한 것 같다며 비꽜다. 그렇게 하여 부부 사이에 싸움이 커졌는데, 이때 소리치는 부인에게 남편은 시집와서 잘한 게 뭐가 있다고 큰소리냐며 이혼하자고 소리쳤다.
굴욕감을 참을 수 없었던 부인은 변호사를 찾아가 이혼에 관한 문의를 했고, 그 과정에서 이혼했을 경우 자기에게 돌아오는 재산이 꽤 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면서 용기백배해진 아내는 이혼소송 착수금을 지급한 후 이혼 신청서를 가정법원에 접수하고자 남편에게 알렸다. 그러자 남편은 펄쩍 뛰며 이혼은 절대 할 수 없다고 버티었다. 그러자 이혼 운운하며 난리 친 사람이 누구인데 인제 와서 딴소리냐고 아내가 되받아쳤다.
이러한 부부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궁리하던 나는 그 부인에게 큰딸이 결혼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큰딸은 회사에 다니는 사회 초년생이고, 둘째는 대학 졸업을 앞두었고, 막내인 아들은 대학교 1학년이라고 하였다. 이런 대꾸에 나는 그녀에게 자녀들을 아직 결혼시키지도 않았는데 이혼을 결심했느냐며 놀랍다는 듯이 반응했다. 그러자 그녀는 남편에게 자존심을 짓밟히며 사느니 이혼하는 게 아이들에게도 더 안정감을 줄 수 있지 않겠느냐고 응수했다. 이런 아내의 응수에 남편이 이혼가정의 자녀가 어떻게 제대로 된 결혼할 수 있겠느냐고 거들었는데, 이러한 남편의 그 부인은 울화를 터트리며 두 딸에게도 인색하게 굴었던 그가 이혼하지 않으려는 것은 재산이 동강 나는 것을 견딜 수 없어서가 아니냐고 쏘아붙였다. 정곡을 찔렸기 때문인지 아니면 현 상황에서는 무슨 말을 해도 치받칠 뿐이라고 여겼기 때문인지 남편은 얼굴을 벌겋게 물들이며 입을 다물었다.
그들을 마주하며 내가 생각한 것은 함부로 이혼 운운하던 남편이 이참에 시달려보는 것도 나쁘진 않겠지만, 자녀들을 위해서라면 이혼을 하더라도 늦추는 것이 나을 듯했다. 더구나 이런 식으로 이혼한다면 성공보수로 변호사에게 거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그것도 큰 낭비이지 싶었다. 그리하여 나는 그 부인에게 이혼은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자녀들이 결혼한 다음에 하는 게 어떠냐고 구슬렸다.
하지만 워낙 약이 올랐던 탓인지 그 부인은 즉답을 피했다. 사람을 무시하는 남편의 악습이 좀처럼 고쳐질 것 같지 않은 데다가 두 딸도 아버지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아 오히려 이혼하기를 원한다고 부인은 무심결에 말했다. 이런 말에 나는 정색을 하며 다 자란 딸들이 부모의 이혼을 바라다니, 도대체 자녀교육을 어떻게 한 거냐며 두 사람 향해 이맛살을 찌푸렸다. 나아가 그들이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 떵떵거리고 살아도 실질적으로는 실패한 인생이 아니냐고 쓴소리를 하였다.
이런 쏟아지는 질타에 상담자 앞에서도 투덕거리던 그 부부는 부끄러웠는지 고개를 숙였다. 서로의 잘잘못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낳아 키운 자녀들이 부모의 불화를 저지하기는커녕 도리어 갈라서기를 바라다니 이거야말로 자녀교육에 실패했다는 증거 아닌가.
그 후 그들을 상담하며 두 사람의 문제보다 자녀교육을 제대로 하고, 이혼하더라도 자녀를 결혼시키고 나서 해야지 지금은 때가 아니라고 구슬렸다. 특히 부인에게는 모든 것을 남편 탓으로 돌리는데, 제삼자가 보기에는 그녀가 남편에 대해 둔감했기 때문에 사태를 이렇게 키운 것 같다고 하였다. 즉 남편이 인사받는 것을 좋아하면 중간에서 친정 식구들이 그렇게 하도록 조율했어야 했다고 한 것이다. 그리고 남편에게는 좋은 말도 한두 번인데 처가 식구들에 대한 부정적인 언사를 어찌 그렇게 해댔느냐고 꼬집었다. 결혼 생활을 하는 한 처가에 대해 부정적인 언사를 하는 것은 자살행위와 다름없다고 일렀다. 즉 격 떨어지는 태도가 바로 그런 것이니 조심해야 한다고 간곡하게 말했다.
가까스로 그들은 화해하였다. 수백만 원이나 되는 이혼소송 착수금을 날리긴 했어도 아내는 그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확고한 의지를 표명했고, 남편은 그 수준에서 일단락된 것에 안도하는 듯했다. 그러고 보면 꼭 그렇게 야단법석을 떨어야 간에 기별이 가듯 다소 정신 차리니 우리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면서도 우매하기 짝이 없는 존재 같다.
첫댓글 장성숙 선생님!
2025년 설 명절
즐겁게 지내셨는지요?
제 생각은
그 남편은 처가를 도와주는 만큼
인사받기를 원하는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젊은니들이 너무 타산적인지 몰라도 삶의 방식이
많이 똘똘
하더라구요.
현대에 맞추어 인사할것은 하고
받고 주는것도
확실히 하는 세대라
부인께서 생각이 좀 옛날식인것같습니다.
부부가 결혼했으면
둥글게 맞춰야 좋을것 같습니다.
이혼은 하느님이
원하지 않으실겁나다.
이혼한 사람들
보기도 좋지 않습니다.
이건 제개인의
생각일 뿐입니다.
아무튼 한세상 그런 대로 살기 위해서는 둥글게 둥글게 살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하지 싶습니다.
그렇게 대상에 휘둘리지 않고 살려면 정말 많이 노력해야 하지 싶습니다.
이혼소송 착수금?
얼마나 되는 지 아깝네요...
오늘도 좋은 상담사례
감사해요..
미국인 부부 58년 결혼 기념 행사
정말 축복입니다.
보기 드물지요..
존경입니다..
변호사들도 사건이 생기면 일단 거드는 편이지요.
그래더 때로는 씁쓸핼 때가 있습니다.
멋지게 설득시키셨네요.
남남이 만나 하나가 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