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야-야 :이진언은 관세음보살님의 本身 이니 대자대비한 보살님의
용심을 보인 진언이다. 그러므로 이 대문은 높은 소리로 읽어서는 안된다.
나막 알-약 : 여의륜 보살님의 본신이니, 이진언을
읽을때는 오직 정성스러운 마음을 지니라.
바로 기제 새바 라-야 : 바리를 들고 계신 관세음보살님의 본신 시니, 만일 사리나 영골이 생기기를
하거든, 보살님의 바리드신 모습을 하면서 외우라.
모지 사다바-야 : 불공여래견색보살이 천병(千兵)을 거느린 상이다. 이보살은 원래 六 관음의 한 분인데, 묘법의 연꽃을 미끼로 하고, 심렴(心念)의 불공(不空)을 낚시줄로 하여, 고해중생을 낚아서 열반극에 보내는 관세음하 현이시다.
마하 사다바-야 : 보살의 종자를 뜻하는 주문이며,
스스로 주문을 우는 상을 나타낸 모습.
마하 가-로 니가야 : 망명보살의 본신이시니, 손에
번뇌를 끊고 악마를 항복받는 신비로운 무기를 가지고 있는 상.
옴 : 이 옴자는 일체귀신이 무릎을 끓고 합장하여 부처님이 말씀하신 주문을 정성으로 듣는것을 뜻하는
주문이다.
살 바 바예수 : 이 진언은 육계 육천(六天) 가운데
첫째 하늘인 四대천왕이 마귀를 항복하는 위력을 뜻한다. 四대천왕은 동주(東州)를 수호하는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주(南州)를 수호하는 증장천왕(增長天王), 서주(西州)를 수호하는 광목천왕(廣目天王), 북주(北州)를 수호하는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말한다.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 이 진언은 사대천왕이
각각 지배하는 사대천의 귀신의 이름을 뜻한다. 곧
동방천왕이 거느린 건달바와 서방천왕이 거느린 용왕중과 북방의 야차와 남방천왕이 거느린 구반디를 가르킨다.
나막 가리다바 이맘 알-야 : 이 진언은 용수(龍樹)보살의 본신이니, 이 주문을 읽을때는 모름지기
빠뜨리거나 잘못 외우지말라. 이보살님은 성정(性情)이 엄하시다.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이라간타 : 원만보신(圓滿報身)노사나불(盧舍那佛) 의 본신이시니, 광대하고
원만하고 불가 사의한 공덕을 갖추시고 계시다.
나막 하리나야 : 이 진언은 온 법계의 근본이며 청정법신(淸淨法身)이신 비로자나불의 본신이시니, 조심하여 정성으로 외우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 양두신왕보살(羊頭神王菩薩)의 본신이니, 모든 천마로(天魔)로 권속 을 삼느리라.
사다님 수반 : 감로왕(甘露王)보살을 뜻하는데, 관세음보살의 성지에 있는 관세음보살의 권속이다. 관세음보살의 성지는 관세음보살의 원통교를 펴는 근본도량인 보타낙가산을 말하며, 관음보살의 권속이라함은 보타낙가산에 있는 모든 구도자를 일컽는다.
아예염 : 비둥차야차천왕(어둠에서 날아다는 신...대충그런뜻)을 말하는데, 사방을 두루다니면서 옳고
그른 선악을 살피는 신이다.
살 바-보 다남 : 바가제신왕이다. 모양이 검고 크며, 표범의 가죽 같은 것으로 갑옷을 해입고 손에는
철퇴를 들고 정법을 옹호하는 신장이다.
바바말아 미수다감 단냐타- : 군다리보살의 본신이다. 쇠로만든 바퀴와 겹으로 드린 쇠줄을 들고 있으며 눈은 셋이나 되는 분이다. 모든 나쁜 귀신을 항복 받는 분이다.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 이 구절은 대범천왕(大範天王)의 본신을 뜻하는 진언이니 신선들로 권속을 삼고 부락을 삼는 분 이다. 부락이라는 말은 삼범천 곧 대범천(大範天) 범보천(範輔天), 범중천(範衆天)의 대중을 가르킨다 (※範-법 범)
지가란제 : 제신왕(帝神王)을 가리킨다. 키가 크고
빛이 검은 신으로 역시 정법(正法)을 옹호하는 신이다.
혜혜 하례 : 육계육천(六界六天) 가운데 둘째 하늘인 三十三天을 뜻하며 마혜수라 천신(魔醯首羅天神)이 천병을 거느린 것을 뜻한다. 푸른색 모습을 하고
있다.
마하모지 사다바 : 진실한 보리.지혜의 마음이 견고하여 잡난한 마음이 없는 것을 보살이라 하는데,
이 진언은 향적보살(香積菩薩)이 五方의 '귀신 병사'(鬼兵)를 거느려 시종을 삼은 상을 뜻하며 불가사의한 위신력을 뜻한다.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 보살이 꾸짓고 벌주는
말로 훈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상을 보인 주문이다.
구로 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 공신보살(空身菩薩)이 천대장군(天大將軍)을 거느리고 이십만억 천병을 통솔하는 상이다.
도로 도로 미연제 : 이 구절은 엄준보살(嚴峻菩薩-엄하고 높은 보살)이 공작왕등의 공작군사를 거느린
모습을 보이는 주문이다.
마하 미연제 : 역시 엄준 보살이 많은 공작 군사를
거느리고 정법을 방해하는 마귀등을 항복받는 모습.
다라다라 : 관세음보살이 대장부 몸은 나눈 것 을
뜻한다.
다린 : 사자왕의 군사를 뜻하니, 독송하면 반드시
외호(外護)의 가피(加被)를 입는다.
나래 새바라 : 이 귀절은 벽역보살(霹역菩薩)이 모든 마귀들의 권속을 항복받는 위엄을 보이는 진언이다.
자라자라 : 최쇄보살(催碎菩薩)의 본신이며, 손에
금으로 만든 보배 바퀴를 들고 계신 모습을 뜻한다.
이금륜의 신통은 다 말할수없다.
마라 미마라 아마라 : 이 귀절은 마귀를 남김없이
다 항복받는 대항아금강 (大降魔金綱)의 본신을 뜻한다. 손에 금륜저를 가지고 있다 (※金輪杵-마귀를 항복받는 무기)
몰 제 : 모든 부처님이 합장하고,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의 신묘장구 외우는 뜻을 들으심을 보여준 진언이다.
에혜 혜 로계 새바-라 : 마혜수라천왕(魔혜首羅天王)을 뜻한다. 이 천왕은 하늘 병사를 거느리고 모든
귀신을 통솔한다.
라-아 미사미 나-사야 : 이 귀절은 관세음보살이
손에 방패와 활과 화살을 든 모습은 나타낸 진언이다.
나베 사미 사미 나사야 나사야 : 아미타불의 본신이시니, 곧 관세음보살의 본래 스승이시다.
호로 호로 마라 호로 하례 : 부처님의 정법에 생명을 걸고 보호하는 팔부신왕중(八部神王衆)을 뜻한다.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 오탁악세(五濁惡世)를 뜻한다. 마음씨가 흐리어, 악한 마음이 극성해진 말세를 가르킨다.
시리시리 : 관세음보살이 일체 중생을 이익되게 하시는 불가사의한 공덕을 뜻한다.
소로소로 : 모든 부처님의 나무잎 떨어지는 소리를
뜻한다. 곧 모든 부처님이 중생을 연민해 보시어 나무잎, 냇물소리로 다 법문을 돌려 깨쳐주시는 소식을
가리킨다.
모쟈못쟈 : 관세음보살이 고해에서 시달리는 중생들과 인연을 맺는 방편 지으심을 뜻한다.
모다야 모다야 : 아난존자의 본신인데 손에 칼을
가지고 계시다.
매다리야 : 대거보살(大車菩薩)이 손에 금칼을 들고
마귀를 항복받는 상이다.
나라간타 : 용수보살(龍樹菩薩)이 일체 악을 멸해
없애는 모습을 칼을 들고 서 계신 상으로 보인 진언이다.
가마사날사남 : 이 귀절은 보당보살(寶撞菩薩)이 손에 철퇴를 든 무서운 모습이다.
바라 하라 나야 마-낙 : 보금광보살(寶金光菩薩)이 손에 금강저(金綱杵)를 든 것을 뜻한다.
사바하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이다.
싣다야 : 일체 법문을 통달한다는 뜻이다.
사바하 마하 싣다야 : 이 진언은 방광보살(放光菩薩)이 손에 붉은 당을 든 것이다.
사바하 싣다유예 : 모든 하늘보살들이 모두 손에
금칼을 잡고 계신 모습이다.
새바 라야 : 이 진언은 서역국(西域國)의 안식향(安息香)이라는 좋은 향이 타는 것을 뜻한다.
사바 하 니라 간타야 : 이 진언은 산해혜자재왕보살(山海慧自在王菩薩)의 본신을 뜻하며, 손에 금칼을
들고 모든 삿된것을 제지하시는 것을 뜻한다.
사바 하 바라하 목카 싱목카야 : 보인왕보살이 손에 금도끼를 들고 모든 악을 멸해 없애는 것을 뜻한다.
사바 하 바나마- 하다야 : 약왕보살을 뜻한다. 중생의 모든 병을 고쳐주시는 자비의 화현이시다.
사바 하 자가라욕다야 : 약상보살의 본신이시니,
약왕보살의 동생격이며, 역시 병고와 액란을 없애 주는 분이시다.
사바 하 상카섭녜 모다나야 사바 하 마하라 구타 다라야 사바 하 바마사간타이사 시체다 가릿
나 이나야 사바 하 먀가라 잘 마 이바 사나야
사바 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 알 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 하 (세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