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3/ 복음서의 교회 정치학/ 게르트 타이센/ 류호성, 김학철 옮김
* 5월 1일/ 5월 27일
* 줄거리:
1. 서론/ 복음서의 사회 수사학적 해석
- 복음서는 특정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복음서의 최종 저자는 공동체의 지도자 또는 공동체 형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한 사람이다. 곧 분명한 방향감각을 가지고 집단을 인도해야 주어진 상황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다. 이것을 상호작용의 표현으로 사회 수사학적 접근으로서 저자는 교회정치학이라 부르고자 한다. - 신념, 방향성, 유대교와의 경계 설정, 갈등, 권위
2. 마가복음서의 교회 정치학
- 마가복음서는 이야기 형태로 계시 신학을 발전시켰고, 유대전쟁과의 연관속에서 발전되었다. 마가 기자는 복음이라는 용어로 두 전승을 결합시켰다(기적전승과 수난전승).
- 마가는 예수의 비밀 말씀을 근거로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숨길수 있는 가능성과 공개적으로 고백할 수 있는 용기를 주어 적대적인 환경의 끊임없는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실제적인 방법을 가르쳤다. 유대교와의 관계에서 발전된 기독교를 정의하였고 세례와 성찬식이라는 독립된 제의적 체계를 가졌다.
- 마가의 메시지는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그리스도의 제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3. 마태복음서의 교회 정치학
- 마태복음서의 유대적 성격은 이미 초대교회에서 강조되었다. 교회의 복음서로 불린다.
- 위대한 교사 예수는 자신의 행동이 아니라 가르친 말을 세상에 선포하라고 한다(28:20).
- 마태복음서는 유대기독교전승과 이방기독교 전승을 하나로 종합한 것이다.
- 예수만이 유일한 권위를 갖는 회중을 꿈꾸었다.
4. 누가복음서와 사도행전의 교회 정치학
- 누가는 현실 순응적인 신학자가 아니라 세상을 구별해서 보는 신학자이다. 정치권력의 신격화를 비판하고 기독교를 위해서 선포의 자유가 위협받았을 때는 시민 불복종 권리를 주장하였다. 누가는 비판적 신학자다.
5. 요한복음서의 교회 정치학
- 예수의 가장 중요한 계승자는 성령이다. 성령은 최고의 권위자가 된다.
6. 결론
- 정경의 탄생도 일종의 교회정치학의 문제였다고 저자는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