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로 영어단어 찾기
endorphin(엔돌핀, 힘들어삔)
오늘은 문득 의학관련 책을 보다가 “엔돌핀”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 왔어요. 너무 많이 쓰는 단어인데 과연 이 것도 한글일까? 생각했어요. 만약 이 단어도 해결된다면 이 또한 “영어가 한글”인 것은 틀림없을 것이니까요. 그런데 예상을 깨고 너무 쉽게 찾아냈어요. 사전에서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면 이렇네요. 우리 몸에 산모의 고통처럼 상상도 안 가는 엄청난 고통이 오면 우리 몸은 고통 경감을 위해 대수술 후에나 쓰는 몰핀보다 100~300배의 효과가 있는 엔돌핀을 분비한다고 해요. 그래서 비관적으로 사는 사람이 긍정적으로 사는 사람보다 오래 살지 못하는 이유가 고통으로 살면 엔돌핀을 급격하게 소모하게 된다고 하죠. 몸에 엔돌핀이 많아질려면 마음 편하게 살아야 한다나 봐요.
1. tolerate (탈러레이트, 참다, 관대하다):
타일러랬지, 타이르다가 어원.
* 라틴어 tolerare (타일러라): endure (견뎌) 견딤
2. withstand (위드스탠드, 견디다, 이겨내다):
일어섰습니다, 일어서다가 어원
3. endure (인듀어, 참다, 인내하다):
1. 이긴다가 어원.
2. 힘들어, 힘들다가 어원
3. 견뎌, 견디다가 어원.
* ㅇ(ㅎ)이 ㄱ으로 바뀐 예
* 라틴어 durare ((힘)들어): endure 견디다
4. endorphin(엔돌핀):
1. 이긴다해삐라, 이긴다해라가 어원
2. 힘들어삔, 힘들어버리다가 어원.
3. 견뎌삔다. 견뎌버리다가 어원, 아픔을 완화시킨다.
엔돌핀은 “이겨삔” 즉, “이겨버리다”라는 뜻도 되고 “힘들어야 나오는 물질”이니 그대로 “힘들어삔”이지만 우리말중에서 ㅎ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에 ㄱ발음이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ㅎ을 ㄱ으로 바꾸면 “견뎌삔”이 되지요. 그러면 “힘들다”와 “”견디다“는 같은 어원에서 출발한 것이지요.
* ㄱ ⇌ ㅎ(ㅇ) 으로 변환됨.
예)가득 ⇌ 한거석
했다 ⇌ 캤다,
뭐라카노? ⇌ 뭐라하노?
하모 ⇌ 기다
~하고 ⇌ ~쿳고(경상도 사투리)
휘다 ⇌ 굽다
힘들다 ⇌ 견디다
가씬했어요 ⇌ 하마터면
구부리다 ⇌ 휘어지다
널쿠다 ⇌ 넗히다
꾸무리하다 ⇌ (날씨가)흐리다
개주머니(개줌치) ⇌ 호주머니
거시 ⇌ 회충, 지렁이
예) 문화(文化): 분가 (일본어)
희망(希望): 기보 (일본어)
무한(無限): 무겐 (일본어)
만회(挽回): 만까이 (일본어)
호(好): 고 (일본어)
실현(實現): 시쯔겡 (일본어)
구라마스 (일본어) ⇌ 유혹하다
이렇게 일본어는 ㅎ발음이 거의 발음이 납니다. 우리 경상도 사투리에도 이런 발음이 많아요. ㅎ의 고대발음이 ㄱ이라는 뜻이지요. ㄱ발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withstand"도 우리말을 짜맞춘 단어같아요. “일어섰니더”, 즉 “일어섰습니다”가 되죠.
ice(아이스, 얼었어)
요즘 날이 무척 더운데 시원한 얼음이 생각나는 계절이죠? 그래서 시원한 얼음(아이스)으로 동의어를 찾아봤어요.
1. cold (콜드, 추운, 차가운, 무관심한):
차다가 어원
* c(ㄱ) ⇌ ch(ㅊ)로 서로 변환되어 쓰임.
* 고대영어 cald (차다): 추운
* 원시 인도유럽어 gel-: freeze
2. cool (쿨, 무관심한, 멋진, 시원한, 좋다:
1. 찰,
2. 시원할,
3. 좋을
* 고대영어 col (추울): cold 감기들다.
3. frigid (프리지드, 몹시 추운, 냉담한):
얼어지다가 어원
4. freeze (후리즈, 냉동하다, 얼다, 추워지다):
얼리지, 얼리다가 어원.
* (ㅇ과 ㅎ이 비슷하게 쓰임)
* 고대영어 freosan (얼려서): 얼게하다.
5. ice (아이스, 얼음, 얼다, 쌀쌀맞다):
얼었어, 얼다가 어원.
6. calm (캄, 고요, 평온, 평안):
고요함, 고요하다가 어원
Buddha(붓다, 붙다)
오늘은 충격적인 얘기를 하려 합니다. 우리들이 흔히 신(神)이라고 하면 굉장히 어렵고 두려운 존재로 알고 있는데요. 그럼 신의 실체로 들어갑니다. 불교에서 부처와 붓다는 우리말로 “붙여”와 “붙다”입니다. 부처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서 깊고 깊은 명상을 해 보니 남녀의 결혼광경이 보였어요. 한 참을 생각해 보니 아! 그래 온 우주가 사랑으로 되어 있고 생명체를 기준으로 본다면 음과 양의 성적인 교접을 상징한다는 것을 알았지요. 진리로 말하자면 음과 양의 전체를 상징한다고 봐야 합니다.
우린 매 번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즉, 양의 부분만 보게 되어 있지만 신은 음과 양, 전체를 상징하고 전체를 위한 신으로 존재하며 우주 전체를 위해 모든 것을 다 주는 그런 신이랍니다. 왜냐하면 온 우주는 출발부터 “사랑”이란 테마로 이루어졌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어차피 산스크리트어도 한글이니 한 번 대입을 해 봤습니다. 그런데 아주 우스운 결과로 나옵니다. 바람둥이 하늘의 신이라는 "Zeus"는 “잤어, 줬어”가 됩니다. 잠시 틀어서 ㅈ발음을ㅇ발음으로 바꾸면 ㅇ과 ㄴ이 서로 호환되므로 “넣었어”가 됩니다.
* 발음의 변천과정을 참조해 보세요 (ㅇ ⇌ ㅈ)
흔히 제우스아버지라는 단어 “Zeuspater"는 ”줘삤다, 넣어삤다“가 되며 제우스의 어원이 인도 유럽어 “deieu"인데 우리말로 ”도“, ”줘“의 경상도 발음입니다.
* 고대 인도어로 “dyauspita"는
”다 줘 삤다“ 즉, ”다 줘 버렸다“가 되며
* 라틴어로 “Diespiter"도 ”줘삤다“
혹은 “luppiter"는 ”넣어 삤다“
1. Diana (다이애나, 달의 여신):
1. 달이 어원
2. 달래나, 달라고 하나 (음을 상징)
3. 줬나, 주다가 어원.
2. Poseidon (포세이돈, 바다의 신):
(물) 푸세, (물) 푸다가 어원
3. Hera (헤라, 결혼의 신):
(성 행위를) 해라, 하다가 어원
4. Apollo (아폴로, 태양, 남성, 예술, 시, 예언의 신):
1. 나와버려, 나와버리다가 어원. (양을 상징)
5. eros (에로스, 사랑):
1. 외로워서, 외롭다가 어원.
2. 줬어, 줘버렸어, 줘버리다가 어원.
3. 넣었어, 넣다가 어원
6. somnus (솜누스, 잠의 여신):
잠이와서, 잠이오다가 어원.
* ㅅ ⇌ ㅈ으로 변환되는 발음의 변천과정 참조 바람
7. hypnos (히프노스, 잠의 신):
잠이 와서, 잠이 오다가 어원
* ㅎ ⇌ ㅈ으로 변환되는 발음의 변천과정 참조 바람
8. Jupiter (쥬피터, 하늘을 관장하는 신, 제우스 신):
1. 줘삤다, 줘버렸다가 어원.
2. 넣어삤다, 넣어버렸다가 어원. (음양의 조합)
* ㅈ ⇌ ㅇ으로 변환되는 발음의 변천과정 참조 바람
ㅇ은 ㄴ으로 변환 가능함.
9. Zeus (제우스, 하늘의 신, Jupiter):
1. 줘삤어, 줘버리다가 어원.
2. 넣었어, 넣다가 어원. (양을 상징)
10. Freyia (프레야, 불의 여신):
불이야, 불이다가 어원. (friday의 어원)
11. delos (델로스, 신화속의 섬 이름):
떠올랐어, 떠오르다가 어원.
* 고대 그리스어: 떠오른 섬이라는 뜻
12. Gaia (가이아, 땅의 여신):
줘, 주다가 어원.
제가 쓴 “명상록”에 자주 거론했던 “당신이 신입니다”라는 말과 많이 상통하죠? 고대에서도 그냥 “자연현상”을 두고 “신이 개입된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이지요. “부처, 붓다”도 음양의 교접을 상징하고 “Zeus"라는 바람둥이 하늘의 신도 결국 사랑을 상징한다는 것이지요. “불이야!”가 불의 여신이 되는 것두요. 경외감으로 신을 본다면 제대로 신을 볼 수 없지만 몽땅 다 없애놓고 보면 신이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한 자신감을 확률로 따진다면 거의 99%는 자신합니다. 왜 1%는 자신 없냐구요? 원래 100% 맞는 것은 없답니다. 그래서 그냥 비워놓은 것입니다.
gangster(갱스터, 깡짜)
오늘은 영화포스터에 “gangster"가 나와서 어째 이 단어도 우리말일 것이라는 예감으로 인터넷을 헤매어 봤어요. 금방 “깡짜놓다”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말 그대로 “깡패”도 되고요. 그래서 아예 “깡패”를 가지고 몽땅 찾아 봤어요.
1. bad (배드, 나쁜, 좋지 않은, 불량한, 불충분한):
빼다가 어원
* 중세영어 badde (빼다)
* 고대영어 baeddel (빼다): defective 열등한
2. gangster (갱스터, 악한, 갱단의 일원):
1. 강짜놓다에서 강짜가 어원.
2. 깡패가 어원.
3. rough (랍, 거친, 험한, 난폭한, 버릇없는, 대강의):
나빠, 나쁘다가 어원.
* 고대영어 ruh (놔): untrimmed 손질하지 않은
4. blackguard (블랙가드, 불한당, 상놈같은 짓을 하다):
1. 볼라캐도, 못 봐주겠다는 의미
2. 불한당이 어원.
5. racketeer (래커티어, 갱, 무법자, 밀수하다):
났아채, 낚아채다가 어원
6. ruffian (라피언, 악당, 악한, 잔인한):
나쁜, 나쁘다가 어원.
7. hooligan (훌러건, 깡패, 불량배의, 건달):
불량한, 불량하다가 어원.
* ㅂ ⇌ ㅍ ⇌ ㅎ은 서로 호환되어 사용되어 왔음
8. hoodlum (후드럼, 갱, 협박자, 폭한, 자객):
불량, 불량하다가 어원.
9. thug (싹, 갱, 악한, 폭력배, 강도):
썪어, 썪다가 어원
예) 썪을 놈: 인간 안되는 놈
10. tough (터프, 질긴, 단단한, 힘든, 어려운):
질기다가 어원
* 고대영어 toh (토): 깨기 힘든
* ㄷ ⇌ ㅈ의 변천과정 참고 바람
“깡패”가 “깡짜놓는 놈”, “질긴 놈”, “썪을 놈” “불량한 놈”, “났아채 가는 놈”, “나쁜 놈”, “불한당”, “빼야 하는 놈”, “볼라캐도 못 보겠는 놈” 등입니다. 비슷한가요? 뭐 그런대로 쓸만하네요
real estate(리얼 이스테이트, 나라에 있은 땅)
이 단어도 오랫동안 미제단어였습니다. 사실 지금도 잘 이해 못하고 있기도 하구요. 그럼 왜 올리냐고 반문하겠지만 그래야 같이 고민해 볼 것이 아닙니까? 맨날 뻔히 아는 단어들로 아는 체 해봐야 금방 밑천이 들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무식하게 올리면서 알아지기도 하거든요. 어쩌면 무식이 유식을 이끈다고나 할까? 왜 부동산을 real estate라고 하는지 아는 사람이 없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서양인들 조차도..... 하긴 우리말이라서 자신들이 아무리 짜 맞추어 봐도 안 되는 것이 뻔합니다.
real은 나라일 것이다. 물론 추측이지만 나라 ⇌ 로얄 ⇌ 레알 ⇌ 리얼로 변해갔을 것입니다.
estate는 (그 자리에) 있은 땅, 즉, 있었던 땅이라는 말이겠지요. 그러니 (원래부터) 나라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나라에 있는(은) 땅”
무슨 말인가 하면 원래 부동산은 개인 것이 아니라 나라 즉, 국가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옛날엔 왕의 재산으로 봤을 것입니다. 지금의 개념으로는 국가의 부동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나라가 royal, real로 변해갔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부동산은 개인 것이 아닙니다. 국가의 것이지요. 자신의 토지에 어떤 행위를 하든 국가에 신고를 해야 하고 신고하지 않고 토지를 훼손하면 벌금을 내거나 구속이 됩니다. 집을 지어도 허가를 받아야 하고 증, 개축도 신고를 해야 합니다.
국가는 토지를 자신들이 찍어 만든 돈으로 사게 만들고 개인의 부족분을 은행을 만들어 대출해서 관리를 하죠. 그러니 국가의 토지를 농사짓게 해서 세금을 만들고 돈을 만들어서 금융이자로 또 다시 세금을 만드니 어쩌면 영원히 자신의 토지도 아닌 것을 세금으로 소유권 행세를 하게 만드는 꼴입니다. 힘 빠지나요?. 이 것이 제대로 본 부동산입니다.
1. royal (로얄, 왕족, 왕의): 나라가 어원.
* 고대프랑스어 roi (나라): 왕의.
* 라틴어 reg (나라가): rex, king 왕의
2. real (리얼, 진실의, 실제의):
1. 나라가 어원
2. 얼이 어원
3. real estate (리얼 이스테이트, 부동산):
나라에 있은 땅
4. estate (이스테이트, 재산, 부동산, 계급, 토지):
1. 있었다가 어원. 사실은 있은 땅
5. property (프로퍼티, 재산, 소유권):
불려삤다, 불리다가 어원.
* ㅂ ⇌ ㅍ ⇌ ㅎ은 서로 호환관계임.
6. wealth (웰쓰, 재산, 부):
1. 불었어, 불어나다가 어원
2. 잘 쓰다가 어원
3. 올랐어, 오르다가 어원
* ㅇ ⇌ ㅈ ⇌ ㅎ으로 변환되는 경우
예) Jesus(지저스) ⇌ 예수로 발음 남.
general (제너럴) ⇌ 헤너럴
유도(柔道): 주도 (일본어)
응대다(경상도 사투리) ⇌ 지우다
* 고대영어 wel (잘): 잘 해나가다.
* 고대영어 wielle (잘해): 좔좔 나오다 (샘물이)
* 고대영어 wiellan (잘한): 좔좔 나오다.
7. asset (에셑, 자산, 재산, 유산, 이점):
1. 남았었다, 남다가 어원.
* l ,n, o는 같은 음가라서 서로 호환이 됨.
우리말로는 ㄹ,ㄴ,ㅇ
2. 쟀었다, (부를) 재다가 어원
3. (부를) 쌓다가 어원
* ㅇ,ㅅ,ㅈ은서로 변환되어 사용됨.
위 참조
* 고대프랑스어 assez(남았었지): 충분한
재산이라는 것은 “재다”, “쌓다”, “남다”, “보태다”, “불다”, “오르다”, “불리다”등으로 나오네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돈은 불려야 제 맛인가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