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령진산도'를 읽다/ 김영옥
사라진 호랑이가 배꼽을 떨어뜨린 곳은 이쯤일 거야
성곽 옆구리에 엎드려 숨소리에 귀기울여봐
고깔 운무 쓰고 돌아앉은 어미 산
새재를 품에 안은 그림자도 우뚝한데
골짝 물길이 실핏줄로 감아 도는 등고선 한가운데
어느 멸망한 종족의 태실이 있지
예로부터 태를 묻은 곳엔 복이 들었지
장돌뱅이들이 등목을 하던 삼복더위에도
털옷을 걸치고서 평생을 떠돌았을 호랑이가
죽어서도 숲의 으쓱한 쇄골에 덮어둔 가죽은
하룻밤 묵어가는 길손들의 지름길 되고
봄비도 티 나지 않게 몸 낮추는 곳이 있다면
바로 여기 성황당 어디쯤일 거야
처녀치마로 둘러쳐진 아름드리 귀목을
노령의 소나무가 호위무사처럼 지키고 서있는 무림에서
아침햇살도 동티가 나지 않게 만다라를 그리는데
흙꽃 위에 두툼한 그늘막을 덮어주는 단풍 손은
어느 내생의 천수보살일까
길이 나기 전부터 탯줄을 품고 있던 이 숲은 보름달의 태반
오래전 궁예가 반달 같은 활을 내려놓고
신의 태엽을 발굴한 물의 나이테가 생사윤회의 바퀴라면
지아비의 발등 위로 불거진 핏줄은 사방으로 뻗은 산맥
못 박힌 발바닥에서 팔자로 갈라진 샛길은
괴나리봇짐 지고 호랑나비로 날아가는 활주로
이 울창한 안개들이 숨겨놓은 수구막이숲
길섶에 묻혀 있는 호랑이의 발품은 미래의 족보라지
예로부터 혈을 지른 자리에서 영웅이 났지
대대로 기를 받는 명당이 있다면
백두대간 등줄기를 제 피로 서늘하게 적시며
진달래꽃밭서덜로 새끼들을 밀어낸 어미의 자궁처럼
옴폭해서 아늑한 여기 이쯤일 거야
- 제2회 <문경새재문학상> 당선작(대상)
《 심사평 》
불안을 밟고도 시의 꽃은 핀다
2020년 우리 모두는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낯설고 예측불가인 상황에 부딪쳤다. 코로나 19라는 신종 바이러스는 모두의 마음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소통과 교류는 멈췄고 세상은 봄의 문턱에서 차가운 겨울로 되돌아가는 듯 했다. 하지만 순리대로 봄은 왔고 꽃은 피고 다시 초록의 물결이 세상을 물들이고 있다. 어려운 시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지만 우리는 다시 희망의 등불을 켜들어야 한다. 문학의 불씨만은 가슴 속에 간직하여 서로에게 물리적 거리를 두어야만 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위로해 주어야 한다. 문학이 가진 힘이 이런 때 빛이 나리라 생각한다. 불안정한 시기임에 응모작이 적지 않을까 염려했으나 많은 이들이 좋은 작품을 응모해 주셔서 무척 기뻤다. 응모된 281편 작품의 1차 심사를 끝내고 본선 심사를 앞둔 시점에 문경 인근 지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여 부득이 하게 심사가 미루어진 점에 응모자 여러분께 양해의 말씀을 드리는 바이다.
작년에 비해 응모작의 수준이 훨씬 향상되었음을 느끼며 기쁜 마음으로 심사에 임했다. 다만 다시 지적할 수밖에 없는 부분을 잠시 언급하기로 한다. 응모를 할 때는 주최 측의 공모 의도를 좀 더 심사숙고 했으면 한다. ‘문경새재문학상’은 문경과 문경새재에 대해 알리고 문경에 대한 애정을 북돋우기 위해 시행하는 문학상이다. 작품 자체로는 너무나 훌륭하고 시적인 완성도를 갖추고 있어도 너무 난해하거나 현학적인 시는 곤란하다. 다수의 작품을 보면서 이런 안타까움을 느꼈다. 이해 반해 너무 성의 없이 인터넷 검색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시들도 있었고 표현은 요란한데 도대체 알맹이가 없는 시들도 실망감을 주었다. 문경과 문경새재라는 정해진 소재가 있는 시인만큼 그 소재를 얼마나 새로운 시각으로 형상화 시켜서 보여주는지에 심사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알린다.
김완수 「새재엔 관문이 네 개 있다」, 김겨리 「문경새재를 읽다」, 오영록 「구름 공방」, 김향숙 「문경새재 아리랑」, 김영욱 「‘조령진산도’를 읽다」, 김국현 「태양의 꽃 오미자」, 이은정 「순례의 영토 문경새재에 들다」, 정영숙 「물박달나무의 해원」 최종 여덟 작품을 선정하여 거듭 돌려 읽고 심사숙고 하여 대상으로는 김영욱의 「‘조령진산도’를 읽다」, 우수상에는 김겨리의 「문경새재를 읽다」,와 김완수의 「새재엔 관문이 네 개 있다」로 확정했다.
김영욱의 「‘조령진산도’를 읽다」는 다른 이들은 미처 생각하지 못한 고지도 ‘조령진산도’ 읽어내기를 시로 이끌어온 시도가 훌륭했다. 사라진 호랑이의 존재를 통해 새재라는 공간을 단박에 신화 속의 영험한 공간으로 이동 확장시켜 놓았다. 공간의 이동을 통해 신령한 기운을 품은 호랑이의 발자국이 곧 우리의 발자국임을 상기시키고 그가 남긴 가죽은 길손들의 지름길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신화 속의 세계는 모든 것이 신성하다. 성황당의 오랜 귀목도 손을 펼친 단풍나무도 모두가 존재만으로 수호신이 된다. 이로써 새재는 보름달을 탄생시키고 장대한 산맥들을 길러내는 명당이 되었다. 아무나 찾을 수 없는 새재의 신성한 영역을 보아내고 시로 엮어낸 솜씨가 놀랍다.
김겨리의 「문경새재를 읽다」는 문경새재를 한 권의 서책으로 보고 한 걸음 한 걸음 읽어나가며 시를 완성했다. 막힘없이 읽히는 문장의 수려함이 돋보였다. 매끄럽고 적절한 표현으로 누가 읽어도 문경새재가 눈에 보이듯 아름답게 읽힌다. 자연이 발행하고 문경이 소장한 새재라는 책을 탐독하는 시인을 따라 읽는 이 누구나 함께 마음이 즐거워질 것이다. 특히 낭송을 통해 새재를 전달하기에도 아주 잘 어울리는 작품이다. 김완수의 「새재엔 관문이 네 개 있다」는 오로지 오르려고만 하는 욕심을 평생 내려놓지 못하는 우리의 모습을 새재의 세 개의 관문을 통해 말하고 있다. 더 높은 곳에 오르려고 애쓸수록 내려올 때는 허무감이 큰 것이 생이지만 그래도 놓지 못하고 자꾸 오르고 싶은 것이 인간사임을 보여주고 있다. 세 개의 관문을 통과하며 그 욕심을 내려놓고 한 꺼풀 허물의 벗을 수 있음을 안도한다. 새재가 내 안에 스스로 만들어둔 또 하나의 관문마저 훌쩍 지나가게 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 다시 찾고 싶은 곳이 될 것이다.
문경과 문경새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응모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통이 힘든 시기이지만 시를 통해 마음의 거리는 더 가까워지기를 기원해 본다.
- 심사위원 : 황봉학, 엄정옥, 박윤일, 도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