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역사 길 비봉산의 강이식 장군 (10)
고구려 병마도원수 강이식장군(高句麗兵馬都元帥姜以式將軍) 사적비명
진주는 삼한 이래의 옛 고을이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영남의 명승지인데 고을의 진산인 비봉산 남쪽 기슭 만인이 우러러 보는 곳에 높이 지은 사당은 고구려 시대에 수병을 무찔렀던 민족의 영웅 강이식 장군을 모신 봉산사이다.
대대로 전한 옛터에 사당을 처음 세운 것은 선조 3년 서기 1570년이요 임진왜란 때 진주성이 무너졌던 계사년 서기 1593년에 불타 버렸다가 백여 년 후 숙종 40년 서기 1714년에 중건했으나 순조 때 또 타버리고 뒤에 다시 개축, 이건을 거듭한 나머지 이같이 장엄한 새집을 이루어 놓았다.
진주강씨 시조님이신 강이식 장군은 고구려 병마도원수군을 지내며 많은 전공을 세우신 분이시다.
사당에 올라 옷깃을 여미고 참배한 다음 물러나 옛 역사를 멀리 상고하건대 우리 민족은 일찍이 백두산 흑룡강 일만 리 평야 위에 나라의 첫 터전을 열고 유구한 세월을 거쳐 오면서 민족으로서의 집단 생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대륙의 침략세력에 대항하여 피로서 싸우기에 편한 잠을 자본 적이 없었다.
한무제가 수륙으로 군사를 이끌고 와 침공했을 때 희생된 이가 얼마였던지 강토 일부일망정 저들에게 빼앗겨 소위 한사군의 설치를 보았던 것이나 사백년 동안 끈질긴 항쟁 끝에 고구려 사람의 손으로 수복하고야 말았다.
대륙의 세력이 바뀔 적마다 그들의 새로운 야망에 대항할 수밖에 없었기에 일찍 공손씨(公孫氏) 또 혹은 위구(魏寇)와도 싸우면서 장렬한 유혈(流血)을 아끼지 아니했으며 마침내 수, 당 양조 오제(五帝) 70년 동안 연인원(延人員) 700만 대군의 침략을 겪으면서 매양 그들을 물리친 민족의 의기는 우리들의 혈관(血管) 속에 전해 내려온 것이다.
그 옛날, 우리 고구려는 압록강(鴨綠江) 지류인 동가강(佟佳江) 유역을 무대로 하고 일어선 뒤 만주(滿洲)와 연해(沿海)와 서로 요하(遼河) 유역에까지 세력을 퍼갔던 대 강국이었고 다른 한편 중원대륙(中原大陸)에서는 수문제(隋文帝) 양견(楊掔)이 일어나 남북조(南北朝)를 통일시킨 다음 그의 세력을 멀리 몽고(蒙古)와 서역(西域)에까지 뻗어나갔던 막강한 제국(帝國)이었으므로 서로의 충돌을 피할 수 없어 드디어 민족항쟁이 벌어지고야 말았던 것이다.
평원왕(平原王) 마지막 해 32년 서기 590년에 수문제가 남조(南朝) 진(陳)을 평정하자 일찍부터 진과 친선관계를 맺어왔던 고구려로서는 놀라지 아니할 수 없어 평원왕 다음 영양왕(嬰陽王)이 즉위하여 두 나라 사이의 충돌을 미리 내다본 나머지 성곽(城郭)을 수축하고 군비를 확충하며 군량을 비축하기에 모든 힘을 다하던 중 수문제로부터 고구려를 협박하는 내용의 무례한 국서(國書)를 보내왔던 것이니 그 국서의 내용은 진작 삼국사기(三國史記) 평원왕(平原王) 마지막 해 본기(本紀)에 실려 있음을 본다.
영양왕은 모욕적(侮辱的)인 국서를 받고 군신(群臣)을 불러 모아 회답할 말을 의논했을 때 강이식 장군이 글로써 대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써 대답하자고 주장하므로 영양왕도 거기에 찬동하여 왕의 9년 수문제 개황(開皇) 18년 서기 598년에 장군을 병마원수(兵馬元帥)로 삼아 정병(精兵) 5만을 이끌고 임유관(臨楡關)으로 향하게 하고 먼저 말갈(靺鞨)병 1만 명으로 지금의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요서(遼西)로 나아가 요서총관 위충의 군사와 접전하여 임유관, 곧 산해관(山海關)으로 수병(隨兵)을 유인했다.
수문제는 한왕(漢王) 양량(樣凉)과 왕세적(王世績)을 행군원수(行軍元帥)로, 주라후(周羅喉)를 수군총관(水軍總管)으로 하고 수육군 아울러 30만을 이끌고 고구려를 정벌하고저 요동을 향했으나 수의 육군은 요서의 유성까지 나왔으나 장마를 만나고 군량도 떨어졌으며 주라후의 수군은 산동성 동래에서 출병하여 바다를 건너 평양(平壤)을 향하다가 해상에서 폭풍을 만나 파선(破船) 혹은 표류(漂流)로 요수(遼水)를 건널 수도 없었거니와 실상은 강 장군이 벽루(壁壘)를 지켜 항전(抗戰)하고 수군을 풀어 거의 전군을 격침(擊沈)시켜 수병은 30만 명 중에서 열의 여덟, 아홉을 잃어버리고 9월에 헛되이 돌아가니 이것이 수와의 제 1차 전쟁이었던 임유관전투(臨楡關戰鬪)로서 강 장군의 큰 공적이었다.
그러나 전쟁기록은 역사책에 적혀있으면서도 강장군의 성명은 적히지 않아 우리 모든 국민들은 천수백년이 지나도록 그의 사적(史蹟)을 아는 이가 없더니 국사학계의 태두(泰斗)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 선생이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에 처음 밝혀냄으로써 민족적 영웅의 이름과 업적을 알게 된 것은 참으로 흔쾌(欣快)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단재는 그의 저서 속에 서곽잡록(西郭雜錄)과 대동운해(大東韻海) 등 두 가지 문헌을 인용했는데 잡록에는 임유관전투 때 병마원수(兵馬元帥)로 운해에는 살수대전 때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로 각각 달리 적혀 있는 중에서 단재는 서곽잡록의 기사를 좇는다고 말하면서 임유관 전투로부터 13년 뒤 수양제 때에 일어난 제 2차 살수대전 때에는 왕제건무(王弟建武)가 해군을 맡고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육군을 맡아 있었기 때문이라 했었다.
물론 그같이 희귀한 문헌을 발굴해낸 단재의 견해를 따라야만 하겠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제 1차 임유관 전투 대 병마원수로 지휘했던 강 장군이라 제 2차 살수대전 때에는 병마도원수로 지휘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구태여 장군의 지위(地位)를 따져야 할 필요를 느끼기보다는 그때에 그 같은 민족적 대 영웅이 계셨던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족한 것이다.
그리고 수문제(隋文帝) 뒤 양제 양광(楊帝 楊廣)이 대업(大業) 8년 영양왕 23년 서기 612년에 2백만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쳤다가 참패한 제 2차 살수대전 역사는 이미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고 사기(史記)에 자세히 적힌 바라 재록(再錄)하지 않거니와 강씨세보(姜氏世譜)에 의하면 본시 장군의 묘소가 고구려 심양현(瀋陽縣) 원수림(元帥林)에 있다고 했고 지금도 만주(滿洲) 봉길선(奉吉線) 원수림 역전에 병마원수강공지총(兵馬元帥姜公之塚)이라는 큰 비가 있어 수십 년 전까지도 여러 후손들이 참배하고 돌아온 일이 있었다고 적혀있다.
세상에 역사란 오래 지나면 희미해지기도 쉽고 잃어버리기도 쉬운 것이다. 장군으로써 강씨 시조(始祖)를 삼아 왔으면서도 자세한 사적을 전하지 못하고 뒷날 신라말엽에 태중대부판내의령(太中大夫判內議令)을 지낸 휘 진(諱縉)은 시호(諡號)가 정순공(正順公)이요 진양후(晉陽候)로 봉(封)한 어른이라 그로부터 진주로써 강씨의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거니와 장군으로부터 1300년을 지나오는 동안에 여러 지파로 나뉘었으니 각파 역대를 통하여 문무장상(文武將相)으로 무수한 인물들이 배출(輩出)되었던 것이므로 여기에 세운 봉산사(鳳山祠)는 다만 강씨 일문의 영광이 아니요 민족 전체의 자랑이라 우리 모두 민족의 영웅(英雄) 앞에 예배(禮拜)하고 의기전통(義氣傳統)을 이어받아야 할 것이다. 해같이 영롱(玲瓏)한 민족의 영웅이며 역사의 구름 뒤에 그 모습 가리웠다 나타나 환하시오니 더욱 눈부십니다.
임유관 싸움터에 요하의 파도 속에 수병 삼십만을 쓸 듯이 무찌르고 우리님 개선하실 제 그 영광이 어떠하던고 일천삼백년이 바람같이 지나갔어도 장하신 그 이름 겨레에 새기옵고 피 끓는 의기의 전통 자손만대에 이어가리라.
임유곤 전투후 2379주년 되는 단기 4310년(서기 1977년) 3월 1일
후학 문학박사 노산 이은상(鷺山 李殷相) 짓고
영가 김충현(永嘉 金忠顯) 쓰다
*최진수 상봉동지 2015,3,2 도서출판 화인 P.94-97
강이식 장군의 사적비의 내용이 길지만 다 실은 이유는
강이식 장군의 기록이 비문과 역사의 기록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서 내용을 다 실었습니다.
앞의 내용들과 비교하여 보시면 좋으리라 생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