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0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제2교시]
1.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적절한 말은?
인도의 공경법인 오체투지를 ( )라고도 한다. 절을 하면서 공경하는 마음을 표시할 때 반드시 상대방의 발에 자신의 손이나 이마를 닿게 하기 때문이다.
① 접안례(接眼禮) ② 접수례(接手禮) ③ 접족례(接足禮) ④ 접심례(接心禮)
2. 과거·현재·미래의 삼세를 통하여 중생을 교화하는 삼세불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②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
③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미륵보살
④ 제화갈라보살, 석가모니불, 미륵보살
* 제화갈라는 디빵까라 즉 연등불이다. 한문의 提는 중국어에서 디로 발음이 된다. 그래서 디화갈라 즉 디빵까라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현대 발음과 차이가 나서 이상하게 되었다.
3. 석가모니불의 좌우보처로서 지혜와 실천행을 상징하는 불상이 차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문수보살 – 보현보살 ② 가섭존자 - 아난존자
③ 관세음보살 - 대세지보살 ④ 일광보살 - 월광보살
4. 불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불화는 경전에 등장하는 여러 존상들을 형상화한 그림이다.
② 불화의 기원은 불교 성립 초기부터 법당을 장엄했다는 사실을 전해 주고 있다.
③ 불화가 지니는 의의는 크게 종교성과 예술성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④ 오색을 기조로 갖가지 문양을 베풀어 장엄하는 단청은 불화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5. 우리나라의 성보문화재(불교문화재) 가운데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경주의 석굴암과 불국사 - 해인사의 장경판전
②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 직지심체요절
③ 백제 부여문화유적지 - 경주역사 유적지구
④ 수륙재와 영산재 - 연등회와 팔관회
* 팔만대장경판이 아니라 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인 장경판전이 세계문화유산이다.
6. 괄호 속에 들어 갈 말로서 가장 바르게 연결된 것은?
불교는 ( ㉠ )의 종교이자 ( ㉡ )의 종교이다.
㉠ ― ㉡ ㉠ ― ㉡
① 과학 ― 자연 ② 과학 ― 신들
③ 신앙 ― 수행 ④ 신앙 ― 걸식
7. 우란분절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된 것은?
① 백중날과 우란분절은 같은 날이 아니다.
② 우란분절에는 포살할 필요가 전혀 없다.
③ 우란분절은 여름 안거가 끝나는 해제일이다.
④ 우란분재와 같은 말이고 음력 8월 보름날이다.
* 우란분절은 마하목갈라나존자가 어머니를 구제한 이야기인 목련경에서 시작된 날이다.
우란분은 범어 울람바나로서 “거꾸로 매달린 것을 구제한다”라는 말로 삼악도의 고통 속에 처한 영가를 구제한다는 뜻이다.
우란분제에 쓰이는 그림이 감로도입니다. 백중은 하안거 해제일인 7월 보름이다.
8. 경주 불국사 대웅전 앞쪽에는 석가탑과 다보탑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 한 쌍의 탑을 세운 것은 법화경의 경설에 따른 것이라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이 설해진 곳은 『법화경』중 어느 품인가?
① 관세음보살보문품 ② 견보탑품
③ 화성유품 ④ 오백제자 수기품
9. 고려시대 일연스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남해 분사도감의 대장경 판각불사에 참여하였다.
② 경북 군위의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③ 우리의 문화전통과 민족의 주체의식을 강조하였다.
④ 야사와 설화 등을 통해 유교적 합리주의를 강조하였다.
10. 근대 불교계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사찰령 반포 ㉡ 통합종단 출범
㉢ 선학원 건립 ㉣ 태고사 창건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11. 각 사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찰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자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① 운영위원회는 소임을 맡은 승려와 신도로 구성한다.
② 신도 운영위원은 해당 사찰에 20년 이상 신도로 재적한 자로 한다.
③ 사찰 주지는 5인 이상 30인 이내의 위원으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한다.
④ 운영위원회의 의장은 주지가 맡고, 사찰신도회의 회장과 부회장은 운영위원이 된다.
* 사찰운영위원회 법 시행령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제2조(운영위원회 구성)
① 각 사찰주지는 실정에 따라 5인 이상 30인 이내의 위원으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한다.
② 운영위원회는 소임을 맡은 승려와 신도로 구성한다.
③ 운영위원회의 의장은 주지로 한다.
④ 사찰 신도회의 회장, 부회장은 운영위원이 된다.
⑤ 운영위원회 위원은 주지가 위촉하며 그 임기는 1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신도 운영위원은 신도회의 추천으로 주지가 위촉한다.
⑥ 주지 및 신도회 임원의 친, 인척은 운영위원으로 위촉할 수 없다.
⑦ 주지는 재직 중인 운영위원이 그 임무를 태만하거나 사찰 및 종단에 해로운 행위를 할 때는 해당 운영위원을 해촉할 수 있다.
제 3조(운영위원의 자격)
① 승려 운영위원은 해당 사찰에 상주하는 승려로 한다.
② 신도 운영위원은 본 종단 신도증 소지자로서 매년 신도교무금을 납부하고 해당 사찰에 3년 이상 신도로 재적한 자로 한다.
12. 중도(中道)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중도는 양 극단을 떠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고, 조화로운 관계는 곧 연기에 입각한 관계이다.
② 중도의 가르침은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양 극단을 버리는 가르침으로 적절한 고통과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이 좋다.
③ 중도는 중간(中間)과 같은 의미로서, 흑백 논리의 경우 양 쪽 주장의 가장 중립적 위치를 찾아서 자신의 자리를 정하는 것이다.
④ 중도는 고락(苦樂), 유무(有無), 단상(斷常)의 양극단을 버리기 위해 옳고 그름이나 착하고 악함에 대한 일체의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 중도는 사람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수행의 방법으로의 중도인 고락중도 즉 고행주의와 쾌락주의 둘 다 맞지 않는다는 것이고, 세상을 보는 인식의 중도로서 유무중도 우주의 끝, 혹은 내세의 존재 등의 문제이며, 단상중도는 단멸론과 상주론으로서 죽으면 모든 것이 없어진다는 이론과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상 계속 된다 라는 문제 등이다.
유무중도에 대해서는 무기로서 답변치 않으셨다.
13. 12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12처의 6경은 안, 이, 비, 설, 신, 의를 말한다.
② 처(處)란 일체가 들어가 머무는 장소라는 뜻이다.
③ 12처는 6가지 인식주관과 6가지 인식대상을 일컫는다.
④ 일체법은 십이처에 포함되므로 십이처는 세계 전체, 모든 존재를 일컫는다.
*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한 문제로 불교는 삼과설을 이야기 한다.
즉 일체법은 오온, 십이처, 십팔계의 3가지로 설명을 하고 있다.
십이처와 십팔계는 연관된 것인데 인식의 기관은 육근과 인식의 대상인 육경이 합쳐서 십이처이고, 여기에 인식인 육식을 더해 십팔계가 되는 것이다.
즉 육근은 안이비설신의이고 육경은 색성향미촉법이다.
14. 교단의 근본 분열 이후 여러 부파들이 전성하던 시대의 불교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재가와 출가를 엄격히 구분하였다.
② 출가주의와 승원불교를 특징으로 한다.
③ 출가자들이 연구와 수행에만 전념하였다.
④ 승단은 대중과 멀어져 경제적으로 곤궁하였다.
* 부파불교시대에 스님들이 출가하여 학문과 수행에만 전념할 수 있었던 것은 왕족이나 귀족, 혹은 상인들의 귀의와 경제적 후원을 받아 승단이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15. 전륜성왕으로 칭송되는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까 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칼링가 전쟁에서 승리한 후 불교로 개종하여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
② 제4차 결집을 후원하여 논서를 집대성하고 동서양의 교류를 촉진하였다.
③ 인도 각지에 비석과 돌기둥을 세워 불법을 널리 알리고 지키도록 권장하였다.
④ 스리랑카, 시리아, 이집트 등으로 불교 사절단을 보내 불교의 교세를 확장했다.
* 아쇼까왕은 3차결집을 후원하였으며, 이 때에 논장이 결집되었으며, 4차결집은 카니슈카왕의 후원으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을 결집하였다.
16. 모든 것은 마음이 변화되어 나타났다고 보는 사상으로 중관학파와 함께 대승불교의 양대 체계를 이루고 있는 유식학파의 사상을 담고 있는 논서가 아닌 것은?
① 유가사지론 ② 섭대승론
③ 십지경론 ④ 십이문론
* 중론, 백론, 십이문론은 중관학파의 저서들이다.
17. 유식(唯識)에서 똑같은 물이라도 보는 자의 입장에 따라 4가지로 다르게
보인다는 일수사견(一水四見)의 비유를 바르게 말한 것을 고르시오.
① 아귀 - 갈증을 달래 줄 마실 물
② 사람 - 배를 띄우고 놀이하는 연못
③ 물고기 - 자신들이 사는 보금자리 집
④ 천상의 신 - 고통에 빠져 있는 위험한 곳
* 천인은 보석연못으로 보고, 인간은 마시는 물로 보고, 아귀는 피고름으로 본다.
18. 사법계(四法界)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사법계는 언제나 평등한 본체의 세계, 즉 진실한 깨달음의 세계를 말한다.
② 이법계는 현실 미혹의 세계, 사물들이 대립하는 차별적인 현상의 세계를 말한다.
③ 이사무애법계는 번뇌와 보리, 즉 현실과 이상의 세계가 각각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④ 사사무애법계는 현실 속 개개의 존재들이 서로 자리를 내주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 서로 연기적 관계에 있음을 말한다.
19. 화두 참구의 중요한 세 가지 요소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대신심(大信心) - 대분심(大憤心) - 대의심(大疑心)
② 귀의불(歸依佛) - 귀의법(歸依法) - 귀의승(歸依僧)
③ 신업(身業) - 구업(口業) - 의업(意業)
④ 제행무상(諸行無常) - 제법무아(諸法無我) - 열반적정(涅槃寂靜)
* 화두참구의 세가지 중요한 요소라 하요 삼요(三要)라고 한다.
대신심은 자신이 원래 부처이며 이 참선수행으로 성불할 수 있다는 굳건한 믿음이며, 대분심은 부처인 자신이 이렇게 중생놀음을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분한 마음과 철저한 반성을 통하여 절절한 마음이 있어야 하며, 대의심은 화두에 대한 사무치는 의심이다.
20. 종단은 2015년 1월 28일에‘종단혁신과 백년대계를 위한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첫 번째 마당을 열었다. 매월 1차례씩 9회에 걸쳐 열리게 될 이 행사는 2012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실시한 자정과 쇄신을 위한 1000일 결사의 어느 분야와 가장 관련이 깊은가?
① 나눔결사 ② 문화결사
③ 평화결사 ④ 생명결사
* 시사문제를 내려면 그냥 “종단혁신과 백년대계를 위한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를 내야지 어쩡쩡하게 내면 안 된다고 본다.
연관도 없는 문제를 억지로 만들다 보니 무어라고 말할 수 가 없어서 4개 다 정답으로 판정한 것 같다.
100인공사는 주제를 확정하지 않고 모여서 결정하기로 하였기에 어떤 부분이라 이야기할 수 없다.
21. 상좌부와 대중부로 불교교단이 분열된 계기가 된 것은?
① 제1결집 ② 제2결집
③ 제3결집 ④ 제4결집
* 2차결집에서 계율의 해석문제로 서로 충돌이 생겨 대중부와 상좌부로 근본분열이 일어난다.
22. 황룡사를 창건하였으며, 정법으로 통치하는 이상적인 성군인 전륜성왕을 꿈꾼 신라의 왕은 누구인가?
① 법흥왕 ② 진평왕
③ 진흥왕 ④ 선덕여왕
* 진흥왕은 부처님과 같은 크샤트리아(찰제리)라고 믿었으며, 그래서 자신들을 진골(眞骨)이라고 하였다.
아들의 이름도 금륜태자, 동륜태자 등 전륜성왕과 관계된 이름으로 지었으며, 동륜태자의 아들이 진평왕으로 이름이 백정이며 왕비도 마야부인이라고 하였다.
즉 후대에서 미륵부처님이 태어나기를 기원한 것이다.
23. 안타깝게도 노래가 불리게 된 유래만 전해지고 정작 그 가사나 곡조는 알 수 없는 신라 때의 노래가 있다. 원효 스님이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백성에게 깨우침을 가르쳤다고 하는데, 광대들이 큰 바가지를 들고 춤추며 노는 것을 보고 그 모습을 본떴다고 하며, 『화엄경』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란 구절에서 이름을 땄다고 하는 이 노래의 제목은?
① 수심사 ② 하여가
③ 무애가 ④ 회심곡
* 일체무애인에서 따서 무애가라고 불리우며, “모든 것에 걸림(꺼리낌)이 없는 사람만이 한 길로 생사의 번뇌를 벗어나리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24.“부처님의 뜻을 전하는 것이 선이요, 부처님의 말씀을 깨닫는 것이 교인데도 이를 모르고‘선종이다, 교종이다’하고 싸우는 것은 부처님의 참뜻을 모르기 때문이다.”라고 설파한 고려시대 스님의 사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선교일치, 정혜쌍수를 표방하여 조계종의 선풍을 확립하였다. [오답]
②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통합하였으며, 무신정권의 후원을 받았다.
③ 수선사(修禪社)를 중심으로 정혜결사를 결성하여 새로운 수행풍토를 마련하였다.
④ 종파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선을 아우르는 교관겸수를 주장하였다. [정답]
* 정답이 잘 못 표시되었다.
보조국사 지눌의 이야기로 정혜결사를 이끌어 조계종의 중천조로 모셔지고 있다.
대각국사 의천은 화엄학을 중심으로하여 선을 아우르는 교관겸수를 주장하였다.
25. 고려시대 조성된 대장경 중, 거란족의 침입을 계기로 조성된 대장경을 일컫는 것은?
① 초조대장경 ② 속장경
③ 팔만대장경 ④ 재조대장경
* 거란 침입 때 만든 것이 초조대장경이며, 대구의 팔공산 부인사에 모셨다.
몽고침입으로 초조대장경이 불타자 다시 만든 대장경이 바로 강화도 선원사에 모셨다 해인사로 옮겨 모신 팔만대장경이다.
26. 사법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제행무상 - 세상의 모든 존재는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② 제법무아 - 세상 만물은 영원불변하여 그 자체로 독립성을 가진 고정된 실체가 없다.
③ 일체개고 - 세상을 살아가면서 느끼는 희로애락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영원한 것이다.
④ 열반적정 - 이 세상이 무상하고 무아인 것을 알고 집착에서 벗어나면 고통이 사라진다.
* 무상, 무아가 즉 고이다.
즉 고라는 것은 영원하지 않고 인연에 의거해서 나고 사라지는 일시적인 것이다.
27. 육바라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초기불교에서 강조한 대표적인 수행법이다.
② 바라밀이란‘피안에 이르는 길’이라는 의미이다.
③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바라밀을 말한다.
④ 지혜바라밀 없이는 앞의 다섯 바라밀을 이룰 수 없다.
* 육바라밀은 대승불교시대에 강조된 수행법이다.
초기불교는 사성제와 팔정도가 대표적인 수행법이다.
28. 부파불교 시대에 세친(世親)스님이 저술한 『구사론(俱舍論)』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중생들이 지닌 108가지 번뇌를 열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② 인간이 과거·현재·미래로 윤회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③ 깨달음에 진입하는 성인의 단계와 수행법을 설명하고 있다.
④ 윤회의 원인이 되는 운명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 불교는 운명론을 믿지 않는다.
운명은 정해져 있어서 인간의 힘으로 벗어날 수 없다는 말은 막칼리 고살라의 주장으로 육사외도 중 사명외도(아지위까 교도)라 불리운다.
구사론에서는 윤회의 원인을 업으로 보고 있으며 업의 종류와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29. 유식(唯識)사상에서는 마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삼라만상의 모든 것이 저장되어 있다고 해서‘장식(藏識)’이라고 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① 전오식(前五識) ② 의식(意識)
③ 말라식(末那識) ④ 아뢰야식(阿賴耶識)
30. 역대 조사나 선사 스님들이 남긴 법어, 선문답, 수행하는 방법, 가르침을 담은 것을‘선어록’이라고 한다. 다음 중 중국의 혜능스님이 출가해서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과 조사선의 핵심 사상을 잘 드러내고 있는 어록은?
① 전심법요(傳心法要) ② 임제록(臨濟錄)
③ 육조단경(六祖壇經) ④ 조주록(趙州錄)
31. 대한불교조계종의 직영사찰이 아닌 것은?
① 봉은사 ② 낙산사 ③ 선본사 ④ 보문사
* 직영사찰은 조계사, 봉은사, 선본사(갓바위), 보문사 등이다.
32. 『금강경』의 사구게와 관계없는 것은?
①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어라.
② 처하는 곳마다 주인이 되면, 서는 곳마다 진리가 된다. [정답]
③ 모든 유위법은 꿈, 물거품, 허깨비, 아침이슬, 번개와 같다.
④ 모든 상을 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는 것이다. [오답]
* 정답 표시가 잘못 되었다.
④은 금강경 사구게 중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즉견여래(則見如來)이며,
②는 임제선사의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을 풀이한 것이다.
금강경 사구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
무릇 형상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하나니 만약에 모든 상이 상 아님을 안다면
곧바로 그 자리서 여래를 보느니라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 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
응당 색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 향, 미,촉, 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고
응당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
만약에 색상으로 나를 보거나 소리나 음성으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지라 여래를 능히 보지 못하느니라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
분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유위법 꿈과 환과 물거품 그림자니라
이슬 같고 또한 역시 번개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33. 신라 후기 대문장가 최치원은 네 곳에 세운 비문을 지었는데, 그 비문에는 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까지의 불교 역사뿐 아니라 당대의 정치, 사상, 문화, 풍속 등에 관한 기록이 비석에 새겨져 있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편찬 이전에 가장 중요한 기록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음 중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四山碑銘)이 아닌 것은?
① 초월산 대숭복사비명
②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명
③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명
④ 지리산 쌍계사 진감선사대공영비명
* 최치원의 사산비명중 다른 하나는 “숭엄산 성주사 낭혜화상 백월보광탑비명”이다.
낭혜화상은 구산선문 중 성주산문의 창시자 무염스님이다.
대숭복사비명은 스님의 비명이 아니고 신라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왕의 2대에 걸친 4왕의 공덕을 그린 내용이 많다.
보조국사창성탑의 보조국사는 고려말 보조 지눌이 아니라, 신라의 보조 체징으로 가지산파의 3조로 실질적으로 보림사에 산문을 세운분이다.
가지산파는 조계종 종조인 도의국사 - 염거화상 - 보조 체징으로 이어지는 법맥이다.
34. 다음은 우리 종단 『종헌』에 규정한 종지(宗旨)와 전혀 관계없는 것은?
① 직지인심 견성성불은 선의 돈오사상를 표현한 것이다. [오답]
② 석가세존의 근본교리를 공부해서 불교의 정견을 세워야 한다.
③ 우리 종단은 직지인심 견성성불의 선종이므로 참선 이외에 다른 수행법을 하면 안된다. [정답]
④ 『종헌』‘자각각타’와‘전법도생’이란 표현은 스스로 깨치고 남도 깨우치는 것을 말하며, 법을 전해서 중생을 구제하는 것을 뜻한다.
* 정답표기가 잘못 되었다.
조계종 종헌 1-3조를 소개한다.
제 1장 종명 및 종지
제 1조. 본 종은 대한불교 조계종이라 칭한다.
본 종은 신라 도의국사가 창수한 가지산문에서 기원하여 고려 보조국사의 중천을 거쳐 태고 보우국사의 제종포섭을 거쳐 조계종이라고 공칭하여 이후 그 종맥이 면면부절한 것이다.
제 2조. 본 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하고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며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제 3조. 본 종의 소의 경전은 금강경과 전등법어로 한다. 기타 경전의 연구와 염불 지주 등은 제한치 아니한다.
35. 한국영화사에서 최다 관객을 모은 『명량』이란 영화에 의승군(義僧軍)이 이순신장군의 수군을 도와 일본군과 전투를 하며 살상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잘못된 견해는 무엇인가?
① 서산, 사명, 영규 대사 등 의승(義僧)들이 부처님의 불살생 계율을 어기고 전쟁에 참여한 것은 외침으로 도탄에 빠진 백성과 나라를 구하고, 일본군의 무도한 침략과 악행을 더 이상 짓지 않게 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쳐 대승 보살행을 한 것이다.
② 서산대사의 총궐기 호소문으로 전국 주요 산중의 승려 약 5천여 명이 자발적으로
의승군을 조직하여 전쟁에 참여하였으며, 평양성 탈환에 큰 공을 세웠고, 선조왕의 한양 귀성을 호위하고 행주산성 수호와 청주성 탈환, 금산전투 등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③ 이순신장군의 수군 활약 뒤에는 의승군이 정보 수집, 첩보, 연락, 보급, 전투 참여 등 다양한 활동으로 도왔다.
④ 자장율사는 왕이 재상으로 중용하려 하자,‘하루 동안 계율을 지키다 죽을지라도
백 년 동안 계율을 어기며 사는 것을 원치 않는다’했으므로, 불살생의 계율을 위배한 것은 파계행이니 전쟁 참여는 명백한 잘못이다.
* 출가자가 제일 먼저 배우는 초발심자경문 즉 계초심학입문, 발심수행장, 자경문 중 계초심학입문의 첫 문장을 소개합니다.
夫初心之人(부초심지인) 須遠離惡友(수원리악우) 親近賢善(친근현선) 受五戒十戒等(수오계십계등) 善知持犯開遮(선지지범개차) 但依金口聖言(단의금구성언) 莫順庸流妄說(막순용류망설)
무릇 처음 마음을 낸 사람은 반드시 나쁜 친구를 멀리하고 어질고 착한 친구를 가까이 하며,오계와 십계 같은 것을 받아, 지키고 범하고 열고 막음을 잘 알아야 한다. 다만 부처님의 성스러운 말씀에 의지할 뿐이며, 어리석은 무리의 헛된 말을 따르지 말라.
36. 우리나라 가람 배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탑이 법당 앞에서 짝을 이루어 양쪽에 세워지는 쌍탑 가람이 생겨나는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② 익산 미륵사지의 경우는 나란히 세 곳에 각각 탑과 법당을 배치한 삼탑삼당식 가람배치를 이루고 있다.
③ 우리나라는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전래됨에 따라 중국식의 건축 양식과 가람배치 방식을 따르게 되었다.
④ 고구려의 가람 배치는 팔각탑을 중심으로 동·서·북면의 세 곳에 법당이 배치된 일탑삼당식(一塔三堂式) 배치법을 따랐다.
* 신라시대 감은사지에서 이미 쌍탑이 나타나고 있고, 통일신라 시대인 불국사에서도 쌍탑이 있지요.
37. 부도(승탑)에 관한 설명 가운데 잘못된 것은?
① 우리나라 승탑 가운데 조형미가 뛰어난 승탑들은 주로 조선시대에 조성되었다. [정답]
② 부도는 승려의 묘탑을 돌로 만든 것으로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착안해 낸 것이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절의 외곽에 따로 탑원(塔院)을 마련하여 부도(승탑)와 탑비를 안치하고 있다.
④ 통일신라시대에 승탑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중국에서 선종이 들어옴에 따라
조사숭배사상이 짙어졌기 때문이다. [오답]
* 정답표시가 잘못 되었다.
승탑은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연곡사지 동부도, 철감선사부도, 고달사지부도 등 조형미가 뛰어난 승탑들이 조성되었다.
38. 사천왕은 불교의 방위신이면서 호법신이다. 각 방위와 사천왕의 배치가 잘못된 것은?
① 동방 – 지국천왕 ② 남방 – 비사문천왕
③ 서방 – 광목천왕 ④ 북방 – 다문천왕
* 비사문천은 다문천의 다른 이름이다.
남방은 증장천왕이 지키고 있다.
39. 시왕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명부에서 죽은 자의 죄업을 심판하는 열 명의 대왕인 시왕을 그린 그림이다.
② 명부전에는 본존으로 지장보살상과 지장보살도가 봉안되며 그 좌우에 시왕도를 배치한다.
③ 시왕은 명부의 재판관인 염라대왕이 중국에서 도교와 결합되어 십대왕으로 확대된 것이다.
④ 육도 윤회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해주는 구세주로서 신앙되며, 특히 지옥의 중생을 구원하는 것을 서원으로 삼고 있는 명부신앙의 주인공을 그린 그림이다.
* ④번 문항의 주인공은 시왕이 아니라 지장보살이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시왕을 그린 불화는 지장시왕도라고 한다.
40. 범종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은 성덕대왕신종이다. [정답]
② 범종을 치는 막대기를 당목(撞木)이라 하는데 전남 순천 선암사와 충남 예산 수덕사의 당목은 고래 모양을 하고 있다.
③ 우리나라 범종의 전형을 이루고 있는 신라의 종 형태는 종 꼭대기에 한 마리의 용으로 된 종고리와 소리를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④ 종의 꼭대기에 있는 용은 울음소리가 꼭 종소리와 같으며 동해의 고래를 만나면 운다고 하는‘포뢰’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오답]
* 정답이 잘못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은 상원사동종이다.
41. 이것은 원래 집안의 정원을 밝히는 등화구(燈火具)였는데 중국 한나라 때부터는
능묘에도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불교가 도입된 이후로는 진리를 밝히는 상징물로 받아들여 다양한 형태의 이것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찰의 탑 앞에 배치되는 것을 비롯하여 고승의 부도(승탑) 앞에도 세워졌고, 고려시대부터는 임금과 정승의 능묘 앞에도 장명등(長明燈)이란 이름으로 세워졌다. 이것은 무엇인가? [4점]
( 석등 )
42. 고려 중엽의 고승으로 도의국사가 주석한 설악산 ( )로 출가하여 수행하였으며,
뒤에 구산선문의 좌장으로 선문의 통합과 수행종풍 진작을 도모하였다. 선사로는 드물게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며, 대표적인 저술로 『삼국유사』가 있다. 이 스님의 출가 사찰과 법명은 무엇인가? [4점]
(출가사찰: ㉠ 진전사 법명: ㉡ 일연)
43. 대승불교가 성립되기 전 불교에서는 사과(四果)를 얻은 사람을 성인이라고 부르고,
더불어 각각의 사과로 향하는 사람 또한 성인으로 취급하는데
이를 사향(四向)이라고 한다. 여기서 사과(四果)란 무엇인지 각각 쓰시오. [4점]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
44. 아래는 종단 표준의례 한글 반야심경으로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4점]
<한글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모두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상행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상행식도 없으며,
안 이 비 설 신 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고집멸도도 없으며,(㉢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3번)
45. 신라시대의 고승인 의상대사께서 깨달음의 경계를 글로써 표현한 게송이다.
‘법(法)’자로 시작하여‘불(佛)’자로 끝나는 210자로 된 게송은 무엇인가? [4점]
(법성게)
|
첫댓글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_()_
언제나 잊지않고 올려주시니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