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할 억(憶)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뜻의(意)자를 했습니다. 뜻 의(意)자는 마음을 말로 표현했다는 표시입니다. 억 억(億), 감탕나무 억(檍), 가슴 억(臆)자들은 뜻 의(意)자가 들어 있어서 ‘억’으로 읽습니다. 억야(憶夜) 억념(憶念) 억석(憶昔) 추억(追憶) 기억(記憶) 회억(回憶) 억측(憶測)
누를 억(抑)자는 스스로 억제하고 절제한다는 의미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자신을 의미하는 나 앙(卬)자를 했습니다. 나 앙(卬)자는 스스로 자신을 우러러 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서양의 ‘나르시스’와 같은 개념입니다. 누를 억(抑)자의 옛글자를 보면 손으로 사람을 누르고 있는 그립입니다. 억압(抑壓) 억불(抑佛) 억하(抑何) 억원(抑冤) 억제(抑制) 억양(抑揚) 겸억(謙抑)
억 억(億)자는 사람 인(人,亻)변에 뜻 의(意)자를 했습니다. 생각할 억(憶), 감탕나무 억(檍), 가슴 억(臆)자들은 의(意)자가 들어 있어서 ‘억’으로 읽습니다. 형성(形聲)글자입니다. 뜻 의(意)자는 살 립(立)자 아래에 날 일(日)을 했고, 마음 심(心)자를 더 했습니다. 날(日)마다 세우는(立) 마음(心)이 뜻(意)입니다. 사람의 마음이 그렇게 수가 많다는 표시입니다. 억만(億萬) 일억(一億) 억대(億代) 억대(億臺) 거억(巨億) 공억(供億) 억조(億兆)
선비 언(彥,彦)자는 글월 문(文)자 아래에 낭떠러지 엄(厂)자를 하고, 터럭 삼(彡)자를 했습니다. 선비 언(彥,彦)자에서 글월 문(文)자는 선비는 글을 하는 사람이기에 붙인 것이며, 아래에 낭떠러지 엄(厂)자를 한 것은 선비가 있는 집을 표시한 것이고, 터럭 삼(彡)자는 선비의 빛나는 문채(文彩)를 표시한 것입니다. 선비 언(彥,彦)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선비 언(彥,彦)자는 선비가 공부를 해서 문채가 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준언(俊彦) 제언(諸彦) 언성(彦聖) 언성(彦星) 산언(山彦) 언사(彦士) 영언(英彦)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