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개기름과 식물성기름의 차이
식물성 식품 중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식품군으로는
일반적으로 아마 기름, 들깨 및 올리브유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오메가-3 지방산은 리놀렌산이 전부이고
EPA, HPA 및 DHA는 전무하다.
또 올리브유에는 리놀렌산이 거의 들어있지 않다.
한편 서구인의 식생활에서
식물성 마아가린을 동물성 버터 대신 먹기 시작하면서
불포화 지방산을 섭취하게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오메가-3과는 다른 유형의 오메가-6 지방산이다.
즉 40여 년 전 혈중 콜레스트롤을 낮추기 위하여
불포화 지방산을 섭취하여야 한다고 권장한 이래
서구인들의 식물성 기름 섭취량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의 지방산의 대부분은 오메가-6 지방산으로
인체에 필요한 섭취량 이외의 잉여분 오메가-6는
오메가-3을 파괴하여 오메가-3 부족현상을 초래함으로써
혈액의 응고를 유발하고
이는 혈전증 또는 동맥경화에 이르게 한다.
물개기름에는 오메가-6가 2%이하이다.
서구인들의 오메가-6대 오메가-3 섭취비율은 50:1 인데 비해
에스키모들의 섭취비율은 1:1이다.

Harp Seal Oil 의 우수성
-Seal oil은 생선기름에 비하여 여러 면으로 월등한 오메가-3의 공급원이며
생선기름보다 10배 이상의 DPA를 함유하고 있다.
혈액내의 오메가-3 지방산중 DPA의 비율이 약 1/3에 이른다는 사실을
프랑스와 일본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일본의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연구팀은
EPA의 효능 중 혈액세포 전이현상은 DPA를 통해서 일어나며
DPA는 이 과정에서
동맥내부의 지방 진적 방지 활동을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DPA는 이런 기능에서 EPA보다 10-20배 더 강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DPA는 자연계에서는 유일하게 seal oil로부터 만 섭취할 수 있다.

-Seal oil외의 DPA공급원은 모유이다.
모유는 유아의 시력과 정신개발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DPA를 비롯한 오메가-3 지방산이 결핍되면 시력,
운동신경개발 등이 저조하다는 것이 연구 조사에 의해 밝혀졌다.
대부분의 생선기름에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의 성분은
모유와 일치 하지 않는 반면
seal oil의 지방산은 그 분자 구조가 모유에 더 가깝다.
인체흡수력에 있어서도 seal oil이 생선기름보다 앞선다.
-Seal oil의 오메가-3 함량은
20-25%로 대부분의 생선기름보다 높아 생선기름에 비해
seal oil이 오메가-3 공급원으로 훨씬 우수하다.
또한 대부분의 생선이나 생선기름이 비교적 높은 콜레스트롤을 함유한 반면
seal oil에는 콜레스트롤이 거의 들어 있지 않다.

-Seal oil이 생선기름보다 우수한 영양소 공급원이라는 것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생선기름이 산화되기 쉬운 분자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seal oil은 쉽게 산화되지 않는 것이 Nakla and David의 연구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은 seal oil이 암을 비롯한 다른 질환의 유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seal oil은 다량의 vitamin-E와 selenium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어 산화에 의한 악취발생을 방지한다.
산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은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