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회장님의 카톡에서]
♣.....좋은글♡감동글
***인생에 하찮은 일은 없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런던의 켄더베리 교회에
니콜라이라는 집사가 있었다.
열 일곱 살에 교회를 관리하는
사찰 집사가 되어 평생을 교회 청소와
심부름을 했다.
그는 교회를 자기 몸처럼 사랑하고
맡은 일에 헌신하였다.
그가 하는 일 중에는 시간에 맞춰
교회 종 탑의 종을 치는 일이 있었다.
그는 교회 종을 얼마나 정확하게 쳤던지
런던시민들은 도리어 자기시계를
니콜라이 집사의 종소리에 맞추었다고 한다.
그가 그렇게 교회에 열심히 하면서
키운 두 아들은
캠브리지와 옥스포드 대학교수가 되었다.
어느 날 그 두 아들이
아버지 니콜라이에게 말하였다.
“아버지, 이제 일 그만 하세요.”
그러나 니콜라이는 단호히 말했다,
“아니야, 나는 끝까지 이 일을 해야 해.”
그는 76살까지 종을 치며
교회를 사랑하고 관리하였다.
그가 노환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을 때
가족들이 그의 임종을 보려고 모였다.
그런데 종을 칠 시간이 되자 일어나
옷을 챙겨 입더니 비틀거리며
밖으로 나가 종을 쳤다.
얼마간 종을 치다 종 탑 아래에서
그는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 이야기를 들은 엘리자베스 여왕은
감동을 받고 영국 황실의 묘지를
그에게 내주었으며
그의 가족들을 귀족으로 대우해 주었다,
모든 상가와 시민들은
그 날 하루 일을 하지 않고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심지어 유흥주점도 문을 열지 않자
자연히 그가 세상 떠난 날이
런던의 공휴일로 되었다.
열일곱 살 때부터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사람들에게 종을 쳤던 그가 죽은 날이
***공휴일이 된 것이다.
엘리자베스 여왕시대에
수많은 성직자들이 죽었으나
황실의 묘지에 묻히지 못하였다.
그러나 단지 하찮게 보이는
예배당 종치기가
황실의 묘지에 묻히는 영광과
자기가 죽은 날이 공휴일이 되는
명예도 함께 얻었다.
우리가 하는 일에 하찮은 일은 없다.
어떠한 일이든 진심으로
헌신하고 노력한다면
그 일은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일이 될 수 있다.
주어진 일에 사명감을 갖고
죽기까지 하면
사람들은 물론 하늘도 감동시킨다.
행복의 비밀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는 일을 좋아하는 것이다.
- 좋은글 중에서 -
=======================
♡ 人生의 돌뿌리 ♡
1911년 영국 출신의 스턴트맨 바비 리치가
나이아가라 폭포 위에 섰다.
강철 드럼통에 몸을 싣고 폭포 아래로 뛰어내렸다.
골절상을 입고 병원 신세를 졌으나 다행히
살아 남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1926년 뉴질랜드에서 길을 걷다가
오렌지 껍질에 미끄러져 다리에 심한 골절을 입었다.
상처 부위에 세균이 침투하는 바람에 다리까지
절단해야 했다.
결국 두 달 후 그날의 사고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알프스산을 올랐던 어떤 세계적 산악인은
자기 집 담장을 넘다 발을 헛디뎌 다리가 부러졌다.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는 우주를 연구하기 위해
하늘을 쳐다보며 걷다가 웅덩이에 빠졌다고 한다.
사자가 제일 무서워하는 것은 모기라고 한다.
대개 사람들을 다치게 만드는 것은
이렇게 작고 사소한 일이다. 조고각하(照顧脚下)
라는 말처럼 자기 발밑을 조심해야 합니다.
불의의 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내 주변부터 잘 살펴야 합니다.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들이 대중의 지탄을 받는
것도 큰 일을 잘못한 경우보다 자신의 주변 관리를
잘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자기가 잘못했거나 자녀들의 비행이 주된 요인입니다.
그러니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앞서 수신제가 (修身齊家)를 먼저 해야 합니다.
비단 유명 인사들 뿐이랴.
범부들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아프리카의 기아나 먼 나라의 지진과 같은 거대한
문제로 내 행복이 무너지는 일은 아주 적지만,
나의 작은 말 한마디로 부부관계에 금이 가고
가정의 평화가 깨어집니다.
발밑을 살피듯 혀끝을 조심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심하고 삼가해야 할 일입니다.
작은 돌뿌리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은 있어도,
큰 산(山) 뿌리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은 없습니다.
ㅡㅡ펌 글ㅡㅡ
========================
♻️ 복(福)은 받는 게 아니라 서로에게 나누는 것이랍니다.
산 속 깊은 곳에 토굴(土窟)을 짓고 혼자 수행 전진(修行 前進)해 온 노 스님이
먼 마을로 겨울 양식(糧食)을 구하러 탁발(托鉢)을 나섰다.
날이 저물어 무명 촌로(無名 村老)의 집에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노승(老僧)은 주인 부자지간(主人 父子之間)의 대화(對話)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아버지가 자식(子息)에게 이른다.
" 윗마을에 사는 박 첨지(朴 僉知)가 어젯밤에 죽었다는데
지옥(地獄)에 갔는지
천당(天堂)으로 갔는지 알아보고 오너라"
" 예"
노 스님은 참으로 알 수 없었다.
자기(自己)는 일생(一生)을
참선 수행(參禪 修行)을 하며
살아왔지만
죽은 사람이 지옥(地獄)을 가는지 극락(極樂)으로 가는지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일인데 한 촌부(村夫)가 어떻게 저런 거침없는 말을 하는지 놀랍기만 했다.
그러한데 얼마후, 그 아들이 돌아와 자기(自己) 아버지께
" 천당(天堂)으로 갔습니다" 하고 아뢰니
" 그랬을 거야" 하는 것이다.
노 스님은 더욱 기가 막혔다.
이 노인(老人)과 저 젊은이가 죽은 자가 극락(極樂)으로 가는 것을 볼 수 있는 신통력(神通力)이라도 있다는 말인가?
궁금증 속에 날이 밝았다.
이번에는 주인 노인(主人 老人)이
또 아들을 불러
" 이웃마을 김진사(金 進士)도 죽었다는데 어디로 갔는지 알아보고 오너라"
잠시후(暫時 後), 이웃 마을을 다녀온 아들이 아버지께 " 김 진사(金 進士)는 지옥(地獄)으로 갔습니다"아뢰었고
" 그럼 그렇지" 하는 것이었다.
더 이상 긍금증을 참지 못한 노 스님은 주인(主人)을 찾아가 물어보게 된다.
" 노 처사(處士)님..!
죽은 사람이 지옥(地獄)을 가는지
극락(極樂)을 가는지 어떻게 알 수가 있으시오"
주인(主人)은 미소(微笑)지으며
" 죽은 사람 마을에 가면 금방(今方)알 수가 있지요"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 윗마을 박 첨지(朴 僉知)는 살아 생전(生前)에 심성(心性)이 후덕(厚德)하고 양심(良心)이 고우며 동리(洞里)의 궂은 일은 도맡아 했으니,
온 동리(洞里) 사람들이 모여 그의 죽음을 애통(哀痛)해 하며 극락왕생(極往生)을 빌고 또 빌었으니 필경(畢竟), 극락(極樂)에 갔을 것이며..
이웃마을 김 진사(金 進士)는 평소(平素)얼마나 인정(人情)머리 없이 모질고 독하였던지
김 진사(金 進士)가 죽자 동리(洞里)사람들이 모여
수군대기를..
' 그 많은 재산(財産)두고 아까워 어찌 죽었을고,
귀신(鬼神)은 지금(只今)까지 뭘 먹고 살았노,
저승사자 어긋 만나 오래도 살았지'
이렇게 악담(惡談)을 퍼부으니 지옥(地獄)밖에 더 갈 데가 어디 있겠소"
결코 웃고 넘길 이야기는 아니다.
' 민심(民心)이 천심(天心)'이라 했듯이 민심(民心)이 곧 하늘의 심판(審判)이요, 염라대왕(閻羅大王)의 판결문(判決文)이며 업경대(業鏡臺)다.
그래서 옛선인(先人)들께서
" 이름 석자를 남기고자 딱딱한 돌을 파지 마라,
오가는 길손들의 입이 곧, 비문(碑文)이니라."
한 것도 같은 뜻이다.
복(福)을 받기 위해 기도(祈禱)하거나 절을 하기 전에 내 마음부터
찬찬히 들어다 보는 게 먼저다.
마음거울에 먼지가 끼었으면 맑게 닦아내는 게 사람의 도리(道理)가 아닌가.
복(福)은 달라고 해서 주는 게 아니다.
각자(各自) 자기(自己)가 가지고 있는 마음그릇의 크기에 따라 받게 된다.
그릇이 크면 많이 담겨지고 작으면 적게 담겨진다.
너무 많다고 적게 달라느니, 적다고 많이 달라고 해도 하늘의 법도(法道)는 변(變)함이 없는 그대로다.
복(福)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은 말고 남에게 베푸는 후박(厚朴)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복(福)은 받는 게 아니고 서로에게 나누는 것이기 때문이다.
후박(厚朴)한 향기(香氣)는 천리(千里)를 넘어 만리(萬里)를 간다고 한다.
(꽃) 주향백리(酒香百里)
(꽃) 화향천리(花香千里)
(꽃) 인향만리(人香萬里)
(꽃) 덕향만리(德香萬里)
- 옮겨온 글 -
=======================
GOODMORNING
*사랑 보다
정이 더 무섭다*
"사랑"은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지만
정(情)은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납니다.
"사랑"은
<좋은 걸> <함께> 할 때
더 <쌓이지만>
정(情)은
<어려움을> <함께> 할 때
더 <쌓입니다. >
"사랑" 때문에
서로 <미워>할 수도 있지만
정(情) 때문에
미웠던 <마음>도
다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사랑"이 --꽂히면
뚫고 지나간 <상처>라
곧 <아물지만>
"情"이 --꽂히면
빼낼 수도 없어
계속 <아풉니다.>
"사랑"엔
<유통기한>이 있지만
"情"은
< 숙성기간 >이 있습니다
"사랑"은
<상큼>하고 <달콤>하지만
"情"은
<구수>하고 <은근>합니다.
"사랑"은
돌아서면 ---<남>이지만
"情"은
돌아서도 --<우리>입니다.
"사랑"이 <깊어>지면
언제 끝이 --보일지
몰라-- <불안>하지만
"情"이 --깊어지면
마음대로-- 뗄 수 없어
<더 무섭습니다...>
*김수환 추기경말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