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결석 치료 미루면 합병증 발병 위험 높여
요로결석이란 남성 환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비뇨기 이상 증세를 뜻한다. 요로계에 어떤 이유로 결석이 발생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것이 특징이다.
요로결석은 소변에 포함된 물질들이 결정을 이뤄 돌처럼 굳어 생성된다. 주로 신장에서 발생하는 가운데 신우 요관 이행부, 요관, 방광, 요도을 따라 이동하며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요로결석이 나타나면 마치 칼로 찌르는 듯한 옆구리 통증과 더불어 배뇨장애, 탁뇨, 혈뇨 등을 경험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옆구리 통증이 두드러지는데 결석으로 좁아진 요로계가 격렬한 연동 운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 포인트다. 이로 인해 옆구리 주변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기 때문이다.
더욱 큰 문제는 요로결석 증상을 눈치채지 못한 채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안타까운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소변이 흐르는 통로 중 어느 부분이 막힐 경우 해당 부위 압력이 상승하고 나아가 구조적인 팽창 양상을 보인다. 만약 막힌 부위가 신우, 요관 경계 부위라면 신우와 신배만 늘어나는 수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보다 더 아래 부위가 폐쇄될 경우 해당 상부의 요관이 늘어나는 수뇨관증을 일으킬 수 있다.
요로결석을 장기간 방치하면 급성 신부전 위험도 커진다. 잉여의 수분이 올바르게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 저류돼 신장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요로결석이 의심되면 지체하지 말고 비뇨의학과에 내원해 정밀 검사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요로결석 진단 방법으로 소변 검사 및 경정맥신우조영술, 초음파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을 꼽을 수 있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결석 크기 및 위치, 치료 방법 등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세탑비뇨의학과 박중현 원장은 “요로결석 치료는 약물요법, 체외충격파 쇄석술, 내시경수술 등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므로 요로결석이 쌓이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 섭취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또 스포츠 활동이나 육체적 노동을 수행하여 땀을 많이 흘린 경우, 햇빛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라면 평소 대비 수분 섭취량을 더욱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