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열대야 역대 최장 2위…낮에도 찜통더위
서울의 열대야가 24일째로, 역대 두 번째로 긴 밤더위를 기록했습니다. 말복인 오늘도 폭염은 이어지겠습니다.
낮 체감온도는 35도를 웃돌겠고, 내륙을 중심으로 소나기도 예상됩니다.
■ '방송장악 청문회' 충돌 예고…이진숙 출석
국회에서는 오늘 야당이 주도하는 이른바 '방송장악 청문회'가 또다시 열립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출석할 예정이어서, 여야 극렬 대치가 예상됩니다.
■ 7월 취업자 17만2천 명↑…10만 명대 회복
지난달 취업자 수가 17만 명 증가하며 석 달 만에 10만 명대를 회복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 취업자는 27만 명 늘어난 반면, 청년층 취업자는 15만 명 가까이 줄었습니다.
■ '물가 안정' 신호…뉴욕증시 일제히 상승
나스닥 지수가 2.4% 뛰는 등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7월 생산자물가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연방준비제도가 강도 높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 우크라 "74곳 장악"…러 "격퇴 작전 중"
러시아 본토를 공격 중인 우크라이나가 남부 쿠르스크주 74개 마을을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는 격퇴 작전 중이라며 병력을 추가 보강했습니다.
■정부, 국내 모든 전기차에 '배터리 정보' 공개 권고
중앙일보 기사입니다.
정부가 최근 인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을 계기로 모든 전기차 제조사가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국무조정실 주재로 열린 범부처 대책 회의에서는 완성차 업체들에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고, 지하 주차장의 소방 시설도 긴급 점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같은 정부의 권고에 앞서 현대차, 기아, BMW코리아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미 배터리 정보를 공개했으며, 무상 점검도 시행할 계획입니다.
한편 서울시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진입 전기차의 충전율 90% 제한하는 대책과 관련해 배터리별 특성 등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현대차 ‘전기차 위기’ 넘을 新무기 꺼낸다
한국경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보도했습니다.
EREV는 내연기관 엔진을 배터리 충전용으로만 사용하며, 주행은 전기 모터로 하는 차량입니다.
이 차량은 최대 주행거리가 1000km에 이르며, 전기차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해 온 주행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2~3년 뒤 싼타페와 GV70을 시작으로 EREV를 출시할 계획이며, 현대차와 기아가2028~2029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픽업트럭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전기차 시대를 대비하면서도 전기차 캐즘이 길어지는 현 시장 상황에 적합한 전략으로, EREV와 하이브리드카가 전환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증시 불안에 돈몰리는 '개인용 국채'…1조 판매 눈앞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최근 안전 자산인 국채에 눈을 돌리는 개인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널뛰기 장세 속에서 미래 현금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국채의 매력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개인용 국채 발행을 시작했으며, 이번 청약에서 누적 판매액이 1조 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기적으로 채권을 매입하면 1인당 매입액 총 2억 원까지 14% 세율로 분리과세가 적용되는 데다, 10년 또는 20년 뒤 원하는 시점에 일정한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어 자녀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개인투자자의 채권 순매수는 지난 2년 동안 8.2배 증가해 2022년 20조 6113억 원에서 지난해 37조 5620억 원으로 급증했습니다.
그러나 개인용 국채는 중도 환매 시 불이익이 있어 신중한 투자결정이 필요합니다.
■‘車담대’에 예금도 담보로… 불황형 대출 내몰린 서민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경기 불황과 고금리로 인해 서민들이 '불황형 대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돈줄이 막히면 서민들이 가장 먼저 찾는 카드론 잔액은 사상 최대인 40조 6059억 원에 달하며, 대출 비교플랫폼 '핀다'를 통해 올 상반기 자동차담보대출 한도 조회 건수는 1484만 건으로 전년 대비 118% 증가했습니다.
담보가 없는 중저신용자들은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상황도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정책금융 상품조차 예산 부족으로 제 역할을 다 못해 서민들의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서민들은 생활비 마련조차 버거운 '대출절벽' 상황에서 차까지 담보로 맡기고 있지만 신용점수나 소득이 높은 이들은 부동산 구입 등을 위해 가계대출을 큰 폭으로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대출 시장에도 고신용자와 중·저신용자 간의 양극화가 갈수록 벌어지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美서 1000억 팔린 국산 신약, 국내선 못 산다
조선일보 기사입니다.
한국 제약사들마저 국내 시장을 외면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SK바이오팜이 개발한 뇌전증신약 '세노바메이트'는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허가조차 받지 못한 상황입니다.
SK바이오팜의 수면장애 신약과 동아ST의 피부 감염증 신약도 한국에서만 판매하지 않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환자 편익과 재정 부담 등을 고려해 약가를 낮춰온 점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글로벌 신약의 1년 내 도입률도 5%로 OECD 평균(18%)에 크게 못 미치고, 글로벌 신약이 보험 급여 적용까지 걸리는 기간은 한국이 46월로 미국(4월)의 11배, 일본(17월)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300억 넘는 전세·피싱 사기…최대 무기징역 때린다
매일경제 기사입니다.
법원이 전세사기와 보이스피싱 같은 고액 사기범죄에 대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도록 양형기준을 대폭 강화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사기 금액이 300억 원 이상인 경우 가중영역의 상한을 17년으로 올리고, 죄질이 무거운 경우 특별 조정을 통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전세 사기와 보이스피싱 같은 다중 피해·고액 사기범죄에 대한 엄벌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양형기준안은 공청회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내년 3월 최종 의결될 예정입니다.
🌐 편집 【매일뉴스 브리핑】